•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 모바일의료의 현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1. 중국 모바일의료의 필연적인 발생과 성공적 정착

과다한 인구로 여러가지 사회문제에 직면해 있던 중국정부는 인구축소를 국가정책의 기초로 두었고, 개개인의 건강증진보다는 전염병유행으로 인한 대규모의 사상을 막는 방역 중심의 보건의료 정책을 시행해왔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보건 의료인프라의 큰 발전이 없었으며 개방이후 경제 성장에 따라 양질 의료서비스를 요구하는 국민에게 부응하기 어렵게 되었다. 질병이 생겨도 의사를 만나 제대로 된 진료를 받을 수 없는 심각한 중국의 의료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중국정부는 의료인력의 급속 확대를 이해 노력하던 중, 2014 년 원격의료를 허가하는 법을 제정공표하였다. 23)

21

그에 따라 부족한 의료자원(병원,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등)과 지역적으로 불균형 분배가 심각하여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양질의 진료를 받을 수 없었던 어려움을 일부 해결할 수 있었다. 그 시장규모는 2009 년 기준, 330 억 위안(한화 5 조 2 천 8 백억원, 160 원/위안)에서 빠른 성장을 통해 2018 년 5 조 위안에 이르렀다. 2012 년 이후 매년 40%의 성장률을 보이던 중, 2020 년 2 월부터 COVID-19 팬데믹으로 대형 국립병원들이 비대면진료를 위한 온라인 원격진료와 전자약품처방전 발행 서비스를 적극 추진함에 따라 그 시장규모는 급 성장하였고 2020 년 6 월 기준 9 조 위안(한화 1,440 조원)을 돌파할 정도에 이르렀고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24)

2. 모바일의료에 대한 국민의 긍정인식 확산

분급진료 미형성과 삼장일단 (三长一短) 현상 등으로 대형병원 방문 트라우마가 만연 되어있던 중국국민에게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를 통해 쉽게 실력있는 의사의 의견을 구할 수 있는 모바일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자, 그 이용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과거와는 달리 언제나 헬스케어정보, 자가 건강평가, 치료 등과 관련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과거처럼 의사를 만나기 위한 긴 여행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중국 하남성 거주 시민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중 91.3%가 모바일 의료 사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그 중 66.4%가 유로로 모바일의료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의사도 환자와 지리적 제한없는 온라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입과 자신의 평판을 올릴 기회를 얻게 되었다. 또한, 멀리 떨어져 있는 의료인-의료인 간 연결도 가능해졌다. 상호 의료정보를 나눔으로써 지역 간 의료자원 불균형을 줄이고 의료 자원의 균등 분배를 촉진하는 효과를

22

낳아, 농촌지역에서도 고품질 의료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 되고있다.

전문인력이 부족한 병원에서는 모바일의료를 통해 타 병원의 전문의에게 원격자문을 받고 환자에게 더 좋은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격의료를 지원하는 포털 기업은 병원업무 지원을 통해 축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고 있으며, 모바일의료의 품질과 실효성을 계속 향상시켜 나가고 있다. 다양한 진료사이트와 병원보유 자원 연결을 통해 이용자는 보다 전문성, 신뢰도가 높은 다양한 정보를 얻게 되고, 의료기관은 환자의 기본병력 및 의료차트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모바일의료 이용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만족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21)

3. 모바일의료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사례

중국 모바일의료는 소아환자, 만성병노인, 임산부 등의 건강관리에 효과적 이고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정보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져 있는 임산부 및 가족들이 모바일의료를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임산부, 산모, 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편리하고 경제적이어서 이용자의 만족도 가 매우 높다.25)소아과분야에서 모바일의료를 통한 다양한 방식의 정보제공은 환아와 환아가족들의 건강지식에 대한 수요를 해결해주는 동시에, 환아가 직접 참여하는 의료서비스로 발전하며 의사-환자 간의 소통이 더 수월해 지는데 도움이 되었다.26) 모바일의료를 이용한 간호관리 또한,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고 간호사들의 팀워크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7)

만성병 관리 연구의 일환으로 100 명의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게 모바일의료를 적용하였을 때 혈당통제 효과와 건강관리 수준 향상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28)

23

이렇게 인터넷을 이용한 여러 의료서비스들이 일상생활에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도 새로운 의료서비스 방식에 쉽게 적응하며 갈수록 의존도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의료에 대한 만족도는 만 45 세 이하 및 학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만 45 세 이상의 환자는 새로운 인터넷기기에 대한 수용도가 떨어지고 모바일의료에도 낮은 신뢰도를 보여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29) 한편, 60 세 이상에서도 건강정보를 찾기위해 모바일의료를 적극 활용하는 노인의 경우에 건강의식이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자신의 건강상태와 생활을 수시로 점검하는 자가건강평가능력은 노인의 심신 욕구를 만족시킴으로써 건강한 고령화에 도움이 된다는 평가가 있다.3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