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지털경제 추진을 통한 모바일의료의 육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39)

23

이렇게 인터넷을 이용한 여러 의료서비스들이 일상생활에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도 새로운 의료서비스 방식에 쉽게 적응하며 갈수록 의존도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의료에 대한 만족도는 만 45 세 이하 및 학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만 45 세 이상의 환자는 새로운 인터넷기기에 대한 수용도가 떨어지고 모바일의료에도 낮은 신뢰도를 보여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29) 한편, 60 세 이상에서도 건강정보를 찾기위해 모바일의료를 적극 활용하는 노인의 경우에 건강의식이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자신의 건강상태와 생활을 수시로 점검하는 자가건강평가능력은 노인의 심신 욕구를 만족시킴으로써 건강한 고령화에 도움이 된다는 평가가 있다.30)

24

그림 6. 중국의 신형인프라 구축의 일환인 스마트의료 인프라 (출처: 중국신통원)31)

(A) 신사회 인프라 구축을 통한 모바일의료의 육성

디지털인프라에 기반을 둔 ‘신형 인프라’ 확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 중국의 디지털경제 육성정책의 근간으로, 모바일의료를 통하여 의료자원 부족의 문제도 해결하는 한편 신산업의 수출도 계획하고 있다.

행정단위별로 보건의료와 관련된 모든 기관을 연합하고 관련지원기관까지 연결하는 융합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자의무기록, 전자건강기록, 개인식별정보, 등 빅 데이터를 통한 인구건강정보 플랫폼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그림 7)32) 이를 통한 부수적 효과로 병원관리의 스마트화가 이룩되었고, 이렇게 수집된 빅데이터와 전통적인 병원정보시스템 HIS, 진단검사정보시스템 LIS, 경영정보시스템 MIS 등과 접목을 통해 의료진이 진료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25

환경을 제공하여 업무 효율성도 눈에 띄게 향상되고 환자중심 의료서비스가 실현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33)

그림 7. 중국 인구건강정보 플랫폼: 온-오프 라인 융합 네트워크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EHP, Electronic Healthcare Records; PID, Patient Identifiable Data (출처: ZOE SOFT, 위생 도시 전체 해결방안 보고서)32)

(B) 광범위하고 스마트한 의료서비스의 구현

모바일의료는 다차원적인 의료자원을 활용하여 의료서비스의 품질과 편리성을 개선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서비스 이용자인 환자는 기층의료기관에서도 대형의료기관의 전문가들로부터 원격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고, 병의 경중에 관계없이 무조건 대도시 대형병원으로 몰리던 환자들을 선별 분배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대한민국의 의료전달체계와 유사한 분급진료 (그림 8) 질서가 확립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32)

중국의 모바일 의료는 건강관련 정보 서비스뿐 만 아니라 중국 의료

26

시스템의 삼장일단(三长一短)현상을 해소시켜주는 온라인 외래예약 및 병원수납, 검사결과서 열람, 약복용 영상 지도, 치료 방안 제시 등은 물론 모바일 원격진료와 온라인 전자 약물처방 및 약품 배송 등의 기능이 공식적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환자들의 모바일의료 사용에 대한 욕구는 높아지고 있으며, 퇴원 후의 추적 서비스, 재활치료 서비스, 병원 간 원격교육 서비스도 등의 기능도 제공되며, 원격 심전도 진단, 원격 수술 지도, 임신 지도, 조산아 가정간호 등등 폭 넓은 서비스 영역으로 점점 발전하고 있다.

그림 8. 중국의 모바일의료를 활용한 분급진료 구현 구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3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