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타 국가의 모바일의료 현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3)

H. 중국의 주요 모바일의료 플랫폼

I. 타 국가의 모바일의료 현황

1. 대한민국

한국은 원격의료 허용여부에 대해 정부와 의료계, 산업계 간에 아직도 사회적, 제도적 합의가 없이 이해당사자간 의견충돌이 계속되고 있다. 의료계는 2020 년 1 월 ‘OECD 원격 의료 보고서’를 근거로 원격의료는 사회 전반 여러 분야가 얽혀있고, 안전성 및 유효성 그리고 비용효과 검증이 불분명하므로, 현재 대한민국의 경우 원격의료

APP (중국명) APP(한글명) 종류 병원등급 소재지

福建省 妇幼保健院 복건성부유보건원 의료기관 3 등갑 복건성 복주시

掌上妇幼 장상부유 의료기관 3 등갑 호남성 창사시

南京儿医 남경대 소아병원 의료기관 3 등갑 강수성 남경시

浙大儿院 절강대 소아병원 의료기관 3 등갑 절강성 항주시

重庆市 妇幼保健院 중경시 부유보건원 의료기관 3 등갑 중경시

复旦儿科 복단대학 소아과 의료기관 3 등갑 상해시

慈溪 妇幼保健院 자시 부유보건원 의료기관 3 등갑 절강성 자시성

北京 儿童医院 북경 아동병원 의료기관 3 등갑 북경시

义乌妇幼 이우 부유보건병원 의료기관 3 등갑 절강성 금화시

南京妇幼 남경 부유보건원 의료기관 3 등갑 강수성 남경시

东明妇幼 동명 부유보건원 의료기관 2 등갑 산동성 허쩌시

熊猫儿科 팬더 소아과 상업기관 - 북경시

儿科专家 소아과 전문가 상업기관 - 상해시

妈咪知道 마미쯔따오 상업기관 - 광동성 심천시

贝生超级医生 베이슨슈퍼의사 상업기관 - 상해시

育学园 위쉐웬(육학원) 상업기관 - 북경시

38

추진의 필요성은 낮고 준비도 되어있지 않아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세계적인 흐름을 읽어 여러분야에 걸친 면밀한 준비를 통해 그 효과와 안전성 등을 수시로 검증할 수 있어야 비로소 원격의료의 시행이 가능하다 주장했다. 43) 44)

한편, 보건복지부는 그동안 만성질환관리 및 의료취약지 등에서 원격의료가 효과적이었다며,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이나 환자를 위해‘동네의원 중심의 의사•환자간 원격진료’개시를 2013 년 10 월 입법예고 하고, 사회 각계 의견을 수렴하여 법률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의사•환자간 장벽의 철폐로 의료접근성을 높여, 국민건강 증진을 꾀함은 물론 ICT 기반 의료기기·장비의 개발촉진을 통해 수출을 할 수 있도록 의료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45)

2. 기타 국가 (미국, 유럽, 일본)

미국의 원격의료는 1950 년도 방사선과학 분야에서 처음 탄생된 후 1993 년 미국원격의료협회(American Telemedicine Association) 설립으로 활성화되어 2019 년 기준 지난 5 년간 연평균 35%의 성장을 하고있다.46) 2002 년에 출범후 원격진료 시장의 70%를 차지한 Teladoc 은 일반기업, 보험사, 의료기관에서 정기구독료를 받아 운영하는데, 2018 년 자본규모가 41 억 달러에 달한다.47) 그외 화상통화 진료지원 American Well 사, 순환기내과 관련 모니터링 기기 제공 Biotronik 사, 인공지능 헬스케어 개발 Johnson & Johnson 사 등이 있다.

특히 모호한 진단 결과, 희귀질환, 위험한 수술 등의 경우 한 명의 의사에게만 진단을 받지 않고 2 차 소견(Second Opinion Telemedicine Solutions)을 구하는 원격진료가 활발한데, 여기에는 의사 그룹이 운영하는 Best Doctor, Second Opinion Expert 등과, 메사추세츠종합병원, 클리블랜드클리닉 같은 대형병원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다.

39

유럽의 경우는 지역간, 국가간 원격의료 서비스를 공유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스위스-독일의 원격 냉동조직 슬라이스 병리검사 전송, 스페인-유럽 대륙간 영상의학 자료 전송 등, 유럽 전체 원격의료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원격의료시스템 국가연합 프로젝트가 있으며, 영국의 WSD(Whole Systems Demonstrators) 프로젝트는 가정내 건강과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Telecare’와 만성질환 환자(당뇨, 심장질환 등)의 바이탈 사인을 모니터링 하는 ‘Telehealth’

두 가지가 있다. 벨기에의 Vinca 프로젝트는 간호사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하여 가정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서버에 연결된 환자정보, 처방내역, 중증도평가 등의 조회가 가능하고 간호업무와 관련된 행정적 서류작성에 도움이 되고 있다. 덴마크의 Odense 대학병원은 만성 호흡기질환(COPD)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응급콜벨을 갖춘 가정용 원격의료 장치를 제공하며, 후속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 환자에게 원격감시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1995 년 일찍이 원격 심전도시스템을 도입하여 구급차나 가정에서 환자의 의료데이터를 병원으로 즉각 발송하게 함으로써 치료시간 단축과 치료경과 향상 면에서 획기적인 효과를 얻고있다.3)

일본의 원격의료는 1971 년, 환자의 정확한 진단을 얻기 위해 전문의의 자문을 받아내려는 일반의사들의 요구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이후 1997 년에 의료인 간 원격의료가 제도화 되었으며, 2011 년부터는 의사-환자 간 원격 의료가 제한적으로 허용 되었고, COVID-19 가 유행하면서 2020 년 4 월부터는 초진 환자의 경우에도 의사를 만나지 않고도 온라인과 전화를 통해서 복약 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 기업도 진출하여 일본에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8)

4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