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과 일본의 산업정책 분석 가. 일본의 섬유산업 정책

문서에서 섬유산업의 한· (페이지 39-44)

□ 일 본

▶ 일본은 세계탄소섬유시장의 51%, 아라미드섬유시장의 50% 정도를 점유하는 등 세 계 1위의 고성능 산업용 섬유소재 생산국이자 세계 최고의 기술수준을 보유 - 일본은 세계 고성능 산업용섬유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 현재 20.3%로 세

계 1위의 생산국

- 일본은 항공기 동체용 탄소섬유 개발에 이어 세계 지동차시장 선점을 위해 자동차 용 탄소섬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도레이는 자동차용 탄소섬유 시장 창출을 위해 글로벌 사업 거점을 확충해 나가고 있 는데, 일본과 아시아에서는 나고야 사업장에 있는 자동차·항공기분야 종합기술개발 거점인 “A&A센터(Automotive & Aircraft Center)”의 핵심시설 “Advanced Composite Center(ACC)”와 “Automotive Center(AMC)”을 중심으로 탄소섬유복합소재를 활용한 제품의 설계 및 형성가공기술 및 제품개발을 추진

▶ 일본 섬유산업은 2020년에도 지속적인 신합섬 및 신기술 개발을 통해 신시장 개척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

- 특히, 일본은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 슈퍼섬유의 성능을 더욱 강화시키면서 신시장 개척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

- 또한 의류용 섬유도 초기능성 및 초극세사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차별화시장을 선도

2. 중국과 일본의 산업정책 분석

정비

- 수출촉진은 아시아지역과의 산업협력 촉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수출 역량을 강화

▶ 일본 섬유산업은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구축 등 생산자 중심에서 벗어나 소비자 중심(Market-in)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이의 일환으로 글로벌 수요구조 변화에 대응하여 후쿠이 합섬직물산지의 생산구조 를 수요확대가 예상되는 산업용 섬유소재 및 고급 패션소재 중심으로 구조개편

▶ 고성능·고기능성 섬유, 나노섬유 등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개발 활성화

- 도레이, 데이진 및 미쓰비시 레이온을 중심으로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 고성능 섬유 및 응용제품 개발을 위한 R&D 투자 확대

▶ 일본 경제산업성은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첨단 섬유소재의 글로벌 리더로서 의 위치를 확고히 구축할 수 있도록 탄소섬유 및 복합소재분야, 건설·IT·생활 자재 분야, 환경·에너지 분야의 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

- 탄소섬유 및 복합소재분야는 자동차 경량화에 의한 연비개선을 목적으로 성형시간 단축기술 개발, 리사이클 등 저렴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탄소섬유 복합소재 개 발, 접착, 보수 및 표면처리기술과 같은 소재가공기술, 고효율 구조화 설계기술, 정 밀제어기술 등의 개발 사업 추진

- 건설·IT·생활자재 분야는 초고기능성 나노섬유 제조기술 개발 및 셀룰로오스 싱 글 나노섬유를 사용한 환경친화형 고기능 포장재 개발 사업 추진

- 환경·에너지 분야는 경량화 섬유소재의 사업화, 리사이클 기술개발 등 에너지 사용 합리화를 위한 섬유관련 차세대 기술개발 사업 추진

나. 중국의 섬유산업 정책

▶ 중국 정부는 제12차 5개년 계획에서 생산의 효율성 향상,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의 산업구조조정, 첨단 산업용섬유 산업화 등을 통해 산업구조고도화를 추진

▶ 우선 염색, 화섬, 면방, 모방 등 산업 전반의 노후설비 폐기를 통해 생산설비의

▶ 자가 브랜드 개발능력 강화

- 5∼10개의 글로벌 브랜드를 확보하고 100대 자체 브랜드 선도기업을 육성하여 자체 브랜드 제품의 수출비중을 2015년까지 20%로 높일 계획

▶ 고부가가치·차별화 제품 중심의 산업구조 전환

- 산업용섬유 비중을 2010년 20%에서 12.5계획 말인 2015년에 25%로 더욱 높일 계획 - 화학섬유의 차별화 비율도 같은 기간에 42%에서 60%로 높일 계획

▶ 첨단 산업용 섬유 산업화

-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고분자량폴리에틸렌섬유, 현무암섬유 등 고성능섬유 및 복합섬유의 산업화 추진

▪ 특히, 중국의 탄소섬유 기술은 현재의 T300~350급 수준인데, 앞으로 T400~700급 고 성능 섬유 연구개발 추진

- 고성능 섬유를 이용한 풍력발전용 블레이드용 소재, 항공·우주용 소재, 전지분리막 소재, 환경 필터용 섬유, 인공기능용 생체소재 등의 고성능·고강도 복합섬유소재를 중점 개발

- 또한 화섬산업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연 생산액 100억 위안이 넘는 기업을 20개 이상 육성

▶ 저탄소·선순화 경제로의 발전

- 클린생산기술, 환경오염물질 관리 기술, 자원의 재생이용 기술의 개발력을 강화 - 2015년까지 섬유산업의 단위당 에너지소비량, 이산화탄소배출량 및 물사용량을 각

각 20%, 20% 및 30% 절감

- 리싸이클시스템 강화를 통해 재생섬유 생산량을 800만 톤으로 늘려, 섬유총가공량 의 15%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

▶ 중국 정부는 내륙지역 개발을 통해 연안해지역 업체들의 이전을 지속적으로 추진 - 이를 통해 중국 전체 섬유산업 생산에서 차지하는 내륙(중서부)지역의 생산 비중을

2015년에 28%로 끌어올릴 계획

3. 시사점

▶ 우리 섬유산업은 일본 등과의 기술격차를 좁히지 못한 채 중국과의 기술 및 품질 격차가 크게 축소되면서 샌드위치 상황이 더욱 악화

-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기술수준은 지난 5년 동안 일본과 4% 정도 축소된 반면, 중국 과는 8% 정도의 큰 폭 축소

▶ 또한 우리나라는 세계시장에서 대부분의 품목들이 중국제품과 경쟁관계에 있는 데, 중국이 생산설비 확충, 기술 및 품질수준 향상과 함께 수출확대를 꾀하면서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세계시장을 잠식

- 반면, 일본제품과는 기술 및 품질 경차로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글로벌 고부가가치 제품시장 개척에 한계

▪ 우리제품은 일본제품과는 가격차가 커서 경쟁관계보다는 제품차별화 보완관계 유지

▶ 우리나라는 이처럼 글로벌 고부가가치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중 국과의 경쟁 열세로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세계시장점유율이 크게 하락

- 세계시장점유율은 우리나라가 2007년 2.7%에서 2013년 현재 2.2%로 0.5% 포인트 하락

-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에 34.1%에서 37.9%로 3.8% 포인트 상승

▶ 이처럼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시장점유율이 하락하였지만, 아직도 기능성 섬유소재, 염색직물, 스판덱스제품 등을 중심으로 세계 6위(5.6%)의 섬유소재 시장점유율 기록

- 폴리에스터 강력사, 스판덱스사, 폴리에스터 및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연신사, 염색 한 나일론 직물, 비텍스처드 폴리에스터직물, 염색한 합섬직물, 염색한 재생·반합 섬직물, 탄성편직물, 염색한 화섬 경편직물, 면 환편직물, 염색·날염 합섬 환편직 물 등은 세계시장점유율 10%를 넘고 있음.

- 특히, 의류도 다품종 소량생산제품, 단납이 필요한 제품 등을 중심으로 최근 수출이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한류의 영향으로 아시아국가에서 한국산 선호도가 높아지면 서 수출이 늘어나고 있음.

▶ 하지만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앞으로도 일본과의 기술격차 축소보다 중국으로부터 의 기술추격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

-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기술수준은 2020년에 일본과 15% 수준의 격차를 유지하는 가 운데 중국과는 10% 수준으로 격차가 크게 축소될 것으로 우려

▶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산업구조조정, 첨단 산업용섬유 산업화 등을 통한 중국 의 산업구조고도화 정책은 우리 섬유산업에 커다란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 필요

- 일본은 산지 중소 섬유제조업자들의 자립화 등을 위한 산업경쟁력 강화정책 추진과 함께 고성능·고기능성 섬유, 나노섬유 등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개발을 더욱 강 화하고 있어, 앞으로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시장 개척에도 많은 어려움 이 따를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

문서에서 섬유산업의 한· (페이지 39-4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