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SWOT 분석 가. 강점과 기회요인

문서에서 섬유산업의 한· (페이지 44-47)

[그림 4] 국내 지역별 혁신 클러스터 구축 현황

자료 : 산업연구원

▶ 화학섬유/방적사 - 직물/염색·가공 - 의류/섬유제품으로 이어지는 전 공급가치 사슬이 균형 있게 발전하면서 시너시효과 극대화

- 가치사슬 구조를 살펴보면 생산액 기준 2013년 현재 업스트림(화학섬유, 방적사)이 20.7%, 미들스트림(직물, 염색·가공)이 31.4% 및 다운스트림(의류, 섬유제품)이 47.8% 차지

▶ 지역별로 차별화된 혁신 클러스터 구축, 즉 지역별로 특화되어 있는 생산단지와 함께 지역 업체의 구조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한 스트림별 연구 인프라가 잘 구축

▶ 우리 정부는 높은 국내외 수요증가 및 고부가가치 창출산업인 산업용 섬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역별 차별화된 고성능 산업용 섬유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 어, 앞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중심의 산업구조고도화가 빠르게 진전될 것으로 기대

- 즉, 전주에 탄소밸리 구축사업, 대구에 슈퍼섬유 융합제품 산업화 사업, 경북에 첨 단메디컬 섬유소재 개발사업, 부산에 해양 융복합 소재 산업화 사업을 추진

▶ 국내에 ICT, NT, BT 등 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섬유기술과 신기술과의 융복합화를 통해 고성능 융복합 섬유 및 스마트의류 개발이 가능

▶ 한·미 및 한·EU FTA에 이어 한·중 FTA 체결로 경쟁국에 비해 우리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개선되어 수출증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나. 약점과 위험요인

▶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연구개발 투자 부진 등에 따른 원천기술 개발 및 제품 차별 화 미흡으로 일본 등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히지 못한 채 중국 등 후발 개도국 과의 기술추격 가속화

▶ 국내 패션산업은 낮은 브랜드 인지도, 디자인 수준 미흡, 마케팅력 열세 등으로 글로벌 시장개척에 한계

- 우리나라의 패션디자인 수준은 이탈리아의 60%, 브랜드 이미지는 50%에 머물고 있음.

▶ 국내 브랜드들은 외국 글로벌 브랜드와의 경쟁력 취약

- 중소업체들은 브랜드 투자를 소홀히 하고, 대기업 브랜드들은 국내시장에 안주하여 글로벌 인지도가 미흡

-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 수준의 글로벌 브랜드 부재

▶ 1980년대 후반부터 생산공장의 해외 이전, 인력 고령화 등으로 국내 패션제조기 반 취약

- 국내 패션제조업은 20년 이상된 풍부한 경험을 가진 많은 봉제기술자를 보유하고 있고 있지만, 열악한 근로환경, 낮은 임금, 발전비전 부재에 따른 젊은 층 인력의 유입 단절 및 생산인력의 고령화로 인해 생산인력 부족 심화

▶ 일본 화섬업체들은 섬유소재의 높은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을 선점하 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 화섬업체들의 어려움을 가중 시킬 것으로 우려

- 도레이는 2011∼2013년 기간 동안 3,500억 엔 규모의 설비투자, 아사이화섬은 2011

∼2015년 기간 동안 1조 엔 규모의 장기투자, 그리고 데이진도 2012∼2015년 기간 동 안 매년 1,000억 엔 규모의 투자 계획

2. 정책 과제

문서에서 섬유산업의 한· (페이지 44-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