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 선행연구는 분권과 균형발전

(

성경륭

2017,

강현수

2018,

이원섭 외

2018)

이나 분권에서 중앙과 지방간 관계

(

구균철

2018,

윤영근

2017),

특별지방행정기관

(

이환범‧권용수‧최진식

, 2011

)

등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옴

.

○ 본 연구는

분권형 국가

로 가기 위해 현재 우리의 분권 실태

(

현황과 문제점

)

을 분석하고 과제를 도출하며 분권형 모델의 대안과 단계별 전략을 제시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중앙과 지방간 역할분담과 협력체제 구축 및 법‧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됨

.

(

연구의 차별성

)

분권형 모델 대안 및 단계별 전략 제시

/

중앙과 지방간 역할분담과 협력체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 1 절 국가의 형태 : 집권형 국가와 분권형 국가

1. 집권형 국가와 분권형 국가

가. 집권형 국가와 분권형 국가의 권한 분담

○ 연구제목과 최근

10

년간의 선행연구 키워드로 볼 때

분권형

과 본 연구에서 추구할 분권의 수준을 먼저 밝힐 필요가 있어 분권형 국가에 대한 논의부터 시작함

.

○ 몬테비데오 협약에 의하면 국가 구성의 필수요소는 국민

,

영토

,

주권

,

정부임

.

‒ 몬테비데오 협약은

1933

12

26

일 아메리카 대륙에서 어떤 나라가 독립 국가라고 주장 할 때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

국제법상 어떤 경우 국가가 성립되었다고 봐야 하는지 등을 의논해서 발표한 선언문임

(

위키백과

).

‒ 몬테비데오 협약에 근거한 국가의 구성요소를 지방자치단체에 적용해 볼 때 지방자치단체 가 지방정부가 되려면 주민

,

영토

,

자치권을 가져야 함

.

○ 국가의 역할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자유와 권리 보호를 통해서 최소한의 인간다 운 삶을 보장하는 주체임

.

‒ 이를 위해서 국가는 국가공동체 유지

,

적정수준의 인구 유지

,

적정 수준의 경제성장률 유지

,

적정규모의 일자리 확보

,

지역간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

.

○ 국가와 정부의 임무가 국가공동체를 유지하고 적정수준의 인구를 유지하며 적정수준의 경제 성장률 유지

,

적정규모의 일자리 확보

,

지역간의 균형 유지 등이라고 본다면 어떤 국가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가

?

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

○ 국가의 형태는 권한의 분산 기능과 정도에 따라 크게 집권형 국가

,

분권형

(

준 연방형 분권

)

국 가

,

그리고 연방형 국가로 구분 가능함

(

성경륭

, 2017).

‒ 집권‧집중형 국가는 중국

,

한국이 해당함

.

‒ 집권에서 분권화한

(

준 연방형 분권

)

국가는

(

일본

),

프랑스

,

스페인

,

영국이 해당함

.

‒ 연방‧분산형 국가는 미국

,

독일

,

스위스

,

호주

,

캐나다

,

벨기에가 해당됨

.

○ 집권‧집중형 국가는 중앙정부에 권한이 집중되고 지방정부나 주민의 자기 결정권이 제약을 받으며 권력의 중앙집중이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과 경제집중을 부르는 폐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분권을 실현코자 함

(

성경륭

, 2017).

‒ 그레고리 헨더슨

(Gregory Henderson,

이종삼‧박행웅 역

, 2013)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The Politics of the Vortex)”

에서 권력의 집중이 인구집중을 초래한다고 지적함

.

‒ 실제로 분권‧분산형 국가는 수도에 인구비중이 평균

1.5%~5%

인 반면 집권‧집중형 국가는 평균

9~23%

에 달함

.

집권‧집중형 국가 연방‧분산형 국가

- 일본: 도쿄(9.4%) - 영국: 런던(12.6%) - 프랑스: 파리(16.2%) - 포르투칼: 리스본(19.0%)

- 한국: 서울(19.6%), 수도권 (49.5%)

- 미국: 워싱턴(1.6%) - 스위스: 베른(1.8%) - 호주: 캔버라(2.0%) - 캐나다: 오타와(3.1%) - 독일: 베를린(4.6%)

수도인구의 비중(평균): 9~23% 수도인구의 비중(평균): 1.5~5%

<2-1> 집권‧집중형 국가와 연방‧분산형 국가의 수도 인구비중 비교

자료: 성경륭(2017), 재정리

○ 집권․집중형 국가이나 분권․분산을 실현하여 가고 있는 국가들을 세분화하면 분권도 그 수준 에 따라 낮은 분권수준부터 순수연방제까지 구분 가능함

.

‒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한국은 낮은 분권 수준임

.

‒ 프랑스

,

일본

,

제주특별자치도는 분권형이라고 볼 수 있음

.

‒ 영국

,

스페인 등은 지역정부에 정치

·

행정권한이 이양되어 있어 준연방으로 구분 가능함

.

○ 분권형 국가는 집권형 국가와 연방형 국가의 중간에 위치하며 중앙정부가 가진 행정권

,

입법권

,

재정권

,

조직권

,

계획권 등을 지방정부로 일부 이양한 형태임

.

‒ 집권형 국가는 중앙정부가 사법권

,

입법권

,

행정권

(

재정‧조직‧계획 권한 등

)

등을 가짐

.

‒ 반면에 연방형 국가는

2

개 이상의 주권국가가 결합하여 하나의 주권을 갖는 형태의 국가로 서 사법권

,

입법권

,

행정권

(

재정권

,

조직권

,

계획권 등

)

측면에서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동등 한 권한을 보유하고 분담함

.

[그림 2-1] 분권형 국가의 분권 분야

분권수준 해당사례 지향목표

순수 연방 ⇒ 미국/독일/스위스 등

준 연방제 수준의 분권․균형 국가

준 연 방 ⇒ 영국(스코틀랜드/웨일즈) 등

분 권 형 ⇒ 프랑스/일본(제주특별자치도) 등

낮은 분권 ⇒ 한국

<2-2> 분권형‧준연방제형 국가

자료: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2019), 재구성

○ 정부형태의 모형으로는 분권강화 지방정부형

,

지역정부형

,

연방정부형으로 구분됨

.

‒ 분권강화형 지방정부 유형은 현재 우리나라가 채택하고 있는 정치‧행정체제의 근간을 유지 하면서 개선안을 모색하는 가장 보수적이고 소극적인 대안임

.

‒ 지역정부형은 중앙정부의 기존 역할과 기능을 새로운 초광역정부에 이양하는 방식으로 초광역지역정부를 창설하며 지역정부에 정치‧행정권한을 이양하여 과감한 분권으로 연방제 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대안임

.

‒ 연방정부형은 단방제의 정치‧행정체제를 연방제로 전환하여 국가를 연방정부와 주정부로 개편하는 대안으로 가장 혁신적인 방안이자 자치분권 관점에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임

.

○ 분권화 수준별로 구분하는 외에 주요 선진국의 지방분권 모형을 보면 이상적 분권모형

,

협상적 분권 모형

,

지배적 분권 모형

,

계층적 분권 모형으로도 구분할 수 있음

.

나. 권한분담과 분권모델

1) 이상적 분권 모델

○ 제도 및 운영상에서 정치행정권한이 지방정부에 비교적 충실하게 분권화되어 있는 형태로 지방정부를 통치주체로서 인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정치행정권한을 부여하는 형태임

(

김순 은

, 2003).

○ 정책기능면에서 볼 때 이상적 분권모델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이 적절하게 분리되어 있는 형태이며 민주주의

,

자치

,

참여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형태임

.

○ 사례로는 미국의 자치모델

,

영국의 상호공존모형

,

잉글랜드의 광역지역정부 등이 있음

.

2) 협상적 분권 모델

○ 지방정부를 통치주체로서 인정하는 차원에서 정치행정권한은 지방정부에 분권화되어 있으 며

,

정책기능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유하는 형태임

.

○ 지방정부의 자율성이 인정될 뿐만 아니라 정책기능이 공유되어 있기 때문에 정책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협상의 필요성이 제기됨

.

○ 사례로는 미국의 협상 모형이 있음

.

3) 지배적 분권 모델

○ 정치행정권한이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고 지방정부를 통치주제로서 인식하기보다는 중앙 정부의 하부행정기관으로 인식함

.

○ 정책기능의 분리라는 측면에서 결정과 집행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음

.

○ 사례로는 미국의 계층모형

,

영국의 행정기관 모형 등이 있음

.

4) 계층적 분권 모델

○ 지방정부를 통치주체로 인식하지 않는 데에는 지배적 분권모델과 동일하나 정책기능을 중앙 정부와 지방정부가 공유하는 형태임

.

○ 사례로는 영국의 동반자 모형이나 대리인 모형

,

일본의 지배감독 모형과 운영상에서 본 일본의 수평‧대등 모형이 여기에 속함

.

2. 분권의 순 기능과 역 기능

○ 많은 학자들이 분권화하면 나타나거나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부정적인 점들을 실증적으로 밝힌 바 있음

.

‒ 첫째

,

중앙정부의 재분배 기능을 약화시키고 지방정부의 경제적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점임

(Litvack et.al., 2002).

‒ 둘째

,

정부규모가 과대화되고 효율성이 저하될

(Fukasaku & De Mello, 1998)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함

(

조경훈

, 2017

재인용

).

○ 자원배분과정에서 규모의 경제를 어렵게 하고 외부효과와 지역이기주의가 발생되게 하여 오히려 전체적으로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어 결국 국가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음

(

최영출

, 2016

재인용

).

○ 재정 분권 반대를 주장하는 학자들은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초래

,

지방의 기득권 세력에 의한 정치권력의 독점 초래

,

국가의 경제성장 내지 효율성을 저해한다고 주장함

(

최영출

, 2016).

○ 많은 분권사례를 통해 밝혀진 분권을 촉진하는 요인은 역사적인 공동체의 전통과 경험

,

높은 교육수준과 국민 참여욕구 증대

,

각계각층의 국가운영체계 개선 요구

, IT

발전으로 인프라 및 경쟁력을 갖게 되었다는 점 등임

.

○ 반면

,

분권화를 저해하는 요인은 지방자치에 대한 주민 만족도 저조

,

헌법에 자치권 보장 미흡

,

지역공동체 해체위기

,

제도수준 미흡 등임

.

○ 이기우

(2018)

는 우리나라에서 지방분권 개헌을 저해하는 부정적 주장들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 바 있음

.

‒ 지방분권의 전통이 없는 국가에서 지방분권이 어렵다는 주장

‒ 지방정치인을 신뢰할 수 없어 지방분권이 어렵다는 주장

‒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되어 지방분권이 어렵다는 주장

‒ 행정체제개편을 하기 전에는 지방분권을 할 수 없다는 주장

‒ 대한민국과 같이 작은 나라에서는 지방분권이 불필요하다는 주장

‒ 지방분권보다는 경제발전이 시급하다는 주장

‒ 지방분권을 위해서는 법률을 개정하면 되지 헌법개정은 불필요하다는 주장

‒ 지방분권이 되면 선심행정이나 권한남용

,

그리고 난개발이 우려된다는 주장 등임

.

○ 이러한 부정적 주장에도 불구하고 지방분권을 추진하지 않을 수 없는 대내외적 여건과 당위 성이 있음

.

3. 분권화 추세 및 당위성 가. 대외 여건

1970

년대까지는 유럽에서도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당연시되었고

,

지방은 중앙의 집행기관 에 불과하였음

(Rodriguez-Pose and Bwire, 2004;

김석태

, 2008).

‒ 분권화는

20

세기 말에 오면서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큰 조류가 되었고 우리의 경우도

‒ 분권화는

20

세기 말에 오면서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큰 조류가 되었고 우리의 경우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