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 주요변인 상관관계

표 3 자아존중감, 심리적 복지감, ,정서표현양가성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분석

<N=311>

자아존중감 고독감 생활만족도 심리적

복지감

정서표현 양가성

자아존중감 1

고독감 -.584*** 1

생활만족도 .581*** -.431*** 1

심리적복지감 .688*** -.920*** .722*** 1

정서표현 양가성 -.270*** .409*** -.260*** -.459*** 1

***p<.001. **p<.01, *p<.05

표 3.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아존중감, 고독감, 생활만족도, 심리적복지감, 정 서표현 양가성간의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고독감은 부 적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r= -.584, p<.001),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 .581, p<.001). 자아존중감과 심리적복지 감은 정적 상관관계를(r= .699, p<.001), 자아존중감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부적 상관관계를(r=-,270, p<.001)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독감과 생활만족도는 부적 상관관계(r= -.431, p<.001)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독감과 심리 적복지감은 부적 상관관계(r= -.920, p<.001)를, 고독감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정 적 상관관계(r= 409, p<.001)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는 심리적복지감과 정적 상 관관계(r= 722, p<.001)가 나타났으며, 심리적복지감은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적 상관관계(r= -.260, p<.001)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복지감과 정서표현 양 가성은 부적 상관관계 (r= -.459,p<.001)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각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 적, 부적 상관관계가 나왔으므로 최종단계인 매개효과 분석에 적합하다고 본다.

단계 종속변수 독립변수 R²  F  B  SE β  t

단계 종속변수 독립변수   F  B  SE β  t

존중감 .073  24.222  -.286  .058  -.270  -4.922***

 

비표준화계수B(b) = .415 , 표준오차SE(b) = .053

***p<.001. **p<.01, *p<.05

그림 3. 자아존중감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관계에서 고독감의 매개효과

우선, 첫 번째 단계로 독립변수인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인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5과 같다. 검증결과 자 아존중감은 고독감에 유의미함을 알 수 있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자아존중감이 종속변수인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유의한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자아존중감(β

=-.270, p< .001)이 세 번째 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자아존중감(β=-.048, p< .001)보다 줄어 들었다. 또한 회귀분석의 세 번째 단계에서 자아존중감(β=-.048, p< .001) 유의미하지 않고 고독감(β=.381, p< .001)은 유의미하므로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z값이 –5.38로 –1.96보다 이하인 값을 보여 고독감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1-2. 여가활동 참여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활만족도가 매개효과

여가활동 참여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활

단계 종속변수 독립변수   F  B  SE  β t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자아존중 감(β=-.270, p< .001)이 세 번째 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자아존중감(β=-.018, p< .001)보다 줄어들었다. 또한 회귀분석의 세 번째 단계에서 자아존중감(β=-.018, p< .001) 유의미하지 않고 생활만족도(β=-.155, p< .001)은 유의미하므로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z값이 –2.28로 –1.96보다 이하인 값을 보여 생활 만족도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 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