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선정, 연구절차, 자료를 수집하는 데 사용한 연구도구, 자료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여가활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심리적복지감 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 문화센터와 노인대 학, 경로당에서 여가활동을 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한 결과, 375부이고 불성실한 응답을 했거나, 결측으로 인해 분석이 불가능한 64부를 제외한 311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 용하였다.

2. 연구절차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10월 9일부터 2016년 1월 27일까지, 설문지는 자아존 중감척도, 심리적복지감(고독감척도, 생활만족도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순 서로 구성되었다. 문화센터와 노인대학 담당자 그리고 경로당 회장들께 본 연구 의 목적과 취지 및 질문지의 기재 방법을 설명한 후 배부하였다. 수거한 질문지 375부에서 제외한 311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3. 연구도구

1) 자아존중감 척도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72)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기반으로 한 연구 인 민숙, 장숙희, 박재경((2001), 김연희(2002), 이은주(2005)의 선행연구들을 참조 하여 구성하였다.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5개의 긍정적인 문항과 5개의 부정적인 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정적인 문항은 역 채점 하여 합산한다. 전체 점수는 10점 에서 50점까지 나올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 한다. 척도의 응답방식 Likert-Type 5점 척도로, 질문에 대해서는 (1= 전혀 그렇 지 않다, 2=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그저 그렇다, 4= 그런 편이다, 5= 매우 그렇 다)로 점수 처리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은 724이었 다.

2) 심리적복지감

(1) 고독감 척도

고독감은 Russell, Pepl이며 뭉 Cutrono(1980)가 공동으로 개발한 UCLA 고독감 척도에 기초해서 선행 연구인 원형중(1994), 이성철(1996)이 사용한 척도로 선행연 구들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총 10문항으로 7개의 부정적인 문항과 3개의 긍정적 인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정적인 3문항은 역 채점 하여 응답한 점수를 합산한 다. 총점은 10점에서 50점까지 나올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고독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척도의 응답방식 Likert-Type 5점 척도로, 질문에 대해서는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그저 그렇다, 4= 그런 편이다, 5=

매우 그렇다)로 점수 처리하였다. 고독감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은 789 이었다.

(2) 생활만족도 척도

생활만족도는 Wood, Wylie, and Sheafor(1969)에 의해 개발한 Life-Satisfacti on Index-Z scale(LSIZ)의 척도를 Kim, W(2000)이 번안한 것 선행연구들을 참

구성개념 문항 수 역채점 문항 Cronbach’s α

자아존중감 10 3, 5, 8, 9, 10 .724

심리적 고독감 10 1, 5, 9 .789

복지감 생활만족도 13 3, 6, 10, 11, 13 .841

정서표현 양가성 24 없음 .910

조하여 구성하였다. 총 13문항 중 긍정적인 문항 8개와 부정적인 문항 5개로 이 루어져 있다. 부정적인 5개 문항은 역 채점 하여 응답한 점수를 합산하였다. 총점 은 13점에서 65점까지 나올 수 있으며, 응답한 점수를 합하여 전체 점수가 높을수 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척도의 응답방식 Likert-Ty pe 5점 척도 로, 질문에 대해서는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그저 그 렇다, 4= 그런 편이다, 5= 매우 그렇다)로 점수 처리하였다. 생활만족도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은 841이였다.

3)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King과 Emmons(1990)가 개발한 정서표현 갈등 질문지 AEQ(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28문항을 민정환등(2007)이 한국의 문화 적 맥락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AEQ-K)를 사 용하였다. 본 척도에서는 정서표현 불능감과 표현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하는

‘자기방어적 양가성’요인 14문항과 인상관리 및 대인관계민감성과 관련된 행동 통제 를 반영하는 ‘관계관여적 양가성’요인 10문항의 이 요인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본 연 구에서는 하위요인을 구분하지 않고 단일차원으로 사용하였다.

응답한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응답방식 Likert-Ty pe 5점 척도로, 질문에 대해서는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 은 편이다, 3= 그저 그렇다, 4= 그런 편이다, 5= 매우 그렇다)로 점수 처리하였 다.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은 910이였다

표 1. 연구도구의 신뢰도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