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민 의식 조사

제3장

2. 주민 의식 조사

2.1. 삶의 만족도: 행복도

❍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행복도에 대한 삶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행복도에 대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 10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은 7.99점임.

- ‘나는 지금 살고 있는 마을에서의 생활에 만족한다’라는 응답이 10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 8.18점으로 나타남.

- ‘나는 주변 이웃들과 화목하게 지낸다’가 8.17점, ‘나는 현재 행복하다’가 7.98점, ‘나는 지금 하고 있는 일(작업)에 만족한다’가 7.83점, ‘나와 가족 의 삶의 질 수준에만 만족한다’가 7.81점 순으로 나타남.

<그림 3-7> 삶의 만족도: 행복도

2.2. 삶의 만족도: 개방성

❍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개방성 정도를 살펴본 결과, 10점 만점 기준으로 평 균은 7.08점임.

- ‘마을 주민들이 외지인에게 호의적이다’라는 응답이 10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 7.61점으로 나타남.

- 그다음으로 ‘귀농어/귀촌인이 마을 활동 적극 참여’가 7.18점, ‘귀농어/귀 촌인이 마을 발전에 도움이 된다’가 7.15점, ‘마을에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외지인이 있다’가 6.84점, ‘외지인이 마을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가 6.64점 순으로 나타남.

<그림 3-8> 삶의 만족도: 개방성

2.3. 마을 공동체활동 변화

❍ 마을 공동체활동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과거에 비해 침체되었다’는 응답 이 43.7%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과거에 비해 활발해졌다’가 20.6%, ‘과거와 변함없이 활발하다’가 14.3%,

‘과거와 변함없이 저조하다’가 11.3%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3-9> 마을 공동체활동 변화

2.4. 마을 공동체활동 참여 여부

❍ 마을 공동체활동에 대한 참여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마을 조직에 참여하 는 비율’이 72.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그다음으로 ‘마을친목모임’이 65.3%, ‘마을회의 참여’가 57.5%, ‘마을공

동작업’이 56.7%, ‘시설관리’가 19.0%, ‘동아리활동’이 18.7%, ‘외부강사

초빙 교육’이 17.9%, ‘공동경작활동’이 13.3%, ‘마을사업’이 8.7%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0> 마을 공동체활동 참여 여부

2.5. 마을 공동체활동 참여 수준

❍ 마을 공동체활동에 대한 참여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공동경작활동’이 5점 만 점 기준 4.0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마을공동작업’이 3.92점, ‘동아리활동’이 3.90점, ‘시설관리’와 ‘외부강사

초빙 교육’이 각각 3.88점, ‘마을회의 참여’가 3.79점, ‘마을친목모임’이

3.71점, ‘마을조직’이 3.60점, ‘마을사업’이 3.52점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1> 마을 공동체활동 참여 수준

2.6. 최근 정주환경 변화

❍ 최근 정주환경 평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치안/안전을 위협하는 일이 증가’

라는 응답이 5점 만점 기준 3.7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그다음으로 ‘자연경관을 해치는 시설 증가’와 ‘소음, 악취, 쓰레기 등 환경

오염이 증가’가 각각 3.46점, ‘귀농/귀촌인 증가’가 2.55점, ‘도시의 관광

객 증가’가 2.31점, ‘일자리 증가’가 2.13점, ‘병원, 식당 등 생활 시설 증

가’가 1.90점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2> 마을 정주환경 변화

2.7. 행정리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

❍ 최근 행정리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친 일에 대해 살펴본 결과, 1+2순위 합 100%

초과 기준으로, ‘인구 감소 및 고령화’가 79.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1순 위 기준으로도 ‘인구 감소 및 고령화’가 70.8%로 가장 높음.

- 그다음으로 ‘귀농어/귀촌인 증가’가 33.7%,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사업

시행’이 20.8%, ‘도로,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개선’이 20.4%, ‘외부인 왕래

및 방문 증가’가 16.1%, ‘농어업여건 변화’가 13.5%, ‘태양광시설, 공장 등

시설 증가’가 10.5%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3> 행정리 변화 요인

2.8. 현 거주지의 가장 안 좋은 점

❍ 현 거주지의 가장 안 좋은 점에 대해 살펴본 결과, 1+2순위 합 100% 초과 기 준으로 ‘생활하기가 불편하다’라는 응답이 53.4%로 가장 높게 나타남. 1순위 기준으로도 ‘생활하기가 불편하다’가 36.1%로 가장 높음.

- ‘취미나 여가활동을 할만한 곳이 없다’가 39.7%, ‘일자리와 소득 기회가

부족하다’가 38.7%, ‘쓰레기, 환경오염 등 주변 환경이 좋지 않다’라는 응

답이 28.2%, ‘자녀 교육하기가 안 좋다’가 25.2%, ‘이웃과 친해지기 어렵

다’가 4.2%, ‘생활비가 많이 든다’가 3.6%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4> 현 거주지의 안 좋은 점

2.9. 마을 발전 방향 중 가장 중요한 사항

❍ 마을 발전 방향 중 가장 중요한 사항에 대해 살펴본 결과, 1+2순위 합 100%

초과 기준으로 ‘마을 도로와 주택, 상하수도 등 노후시설 개선’이라는 응답이 55.2%로 가장 높게 나타남. 1순위 기준으로도 ‘마을 도로와 주택, 상하수도 등 노후시설 개선’이 44.4%로 가장 높음.

- ‘공폐가 혹은 노후주택 정비’가 35.3%, ‘마을 경관 보전’이 31.3%, ‘주민 스포츠시설 및 문화시설 확충’이 23.4%, ‘농산물 판로 개척 혹은 새로운 소득 작목 개발’이 21.0%, ‘인구 증가를 위한 귀농귀촌인의 적극 유치’가 13.5%,

‘마을에 도움을 주는 외부 인적자원 확보’가 13.1%, ‘도시민 방문을 위한

숙박 및 체험시설 개선’이 5.8%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5> 행정리 발전 방향

2.10. 향후 10년 후 마을 인구 변화

❍ 향후 10년 후 마을 인구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계속해서 감소할 것이다’

라는 응답이 32.1%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가 27.6%, ‘큰 변화가 없을 것이다’가 27.4%, ‘인구 가 없어져 소멸할 것이다’가 9.3%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6> 향후 10년 후 마을 인구 변화

2.11. 미래 마을 생활여건 변화

❍ 미래 마을의 생활여건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좋아짐’(현재보다 크게 좋아 질 것이다: 10.5% + 현재보다 조금 나아질 것이다: 29.0%)이 39.5%, ‘악화’

(크게 악화될 것이다: 9.3% + 현재보다 조금 나빠질 것이다: 12.9%)가 22.2%

로 미래에 생활여건이 좋아진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 ‘변화 없음’은 34.9%이며, 5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은 3.19점임.

<그림 3-17> 미래 마을의 여건 변화

2.12. 관계인구 증가 시 마을 변화 전망

❍ 다양한 관계를 맺는 외지인 증가 시 예상되는 마을 변화 전망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합 100% 초과 기준으로 ‘빈집 정비, 기초시설 확충 등 정주여건이 좋아 질 것이다’라는 응답이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쓰레기, 소음 발생 등 생활환경이 악화될 것이다’가 35.9%, ‘일자리가 늘 어나고 소득이 늘어날 것이다’가 33.9%, ‘마을의 공동체가 다시 활성화될 것 이다’가 24.6%, ‘외지인과 기존 주민 간의 갈등이 나타날 것이다’가 12.5%,

‘마을에 실질적인 변화는 없을 것이다’가 10.7% 순으로 나타남.

<그림 3-18> 관계인구 증가 시 마을 변화 전망

2.13. 스마트워크 마을 사업에 대한 의견

❍ 스마트워크 마을 사업 조성 시 찬반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찬성’(매우 찬 성: 14.1% + 대체로 찬성: 35.9%)이 50.0%, ‘반대’(매우 반대: 2.5% + 대체 로 반대: 18.3%)가 20.8%로 스마트워크 마을 사업 조성 시 찬성한다는 의견 이 높게 나타남.

- ‘보통’은 29.2%이며, 5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은 3.41점임.

<그림 3-19> 스마트워크 마을 사업 추진에 대한 인식

2.14. 코로나19로 인한 마을 변화

❍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마을이 겪은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마을에 방문 객이 크게 줄어듦’이라는 응답이 36.7%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그다음으로 ‘마을 주민들의 공동체 활동 크게 위축’이 17.5%, ‘별다른 변 화가 없었다’가 16.3%, ‘소규모 가족 단위 방문객 증가’가 15.5%, ‘독거노 인 등 취약계층 노인들의 어려움이 커짐’이 8.1%, ‘농산물 판매에 어려움 을 겪음’이 5.6%, ‘온라인 전화 주문 등 농산물직거래 증가’가 0.4% 순으 로 나타남.

<그림 3-20> 코로나19로 인한 마을 변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