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을의 물리적 환경

제2장

4. 마을의 물리적 환경

<그림 2-36> 마을 내 휴경지 현황

4.3. 공동시설

❍ 행정리 내 공동시설 유무에 대해 살펴본 결과, ‘마을회관’과 ‘경로당’이 각각 96.1%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쓰레기 분리수거 시설’이 73.5%, ‘공동 창고’가 33.3%, ‘마을 소유 숙박/체 험시설’이 19.6%, ‘구판장’과 ‘가공시설’이 각각 16.7%, ‘직판장’이 14.7%,

‘정미소’가 9.8%, ‘공동 육묘/퇴비/작업장’이 8.8% 순으로 나타남.

<그림 2-37> 마을 내 공동시설 현황

❍ 공동시설의 주민 이용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거의 모든 주민 이용’이라는 응답은 ‘쓰레기 분리수거 시설’이 82.7%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그다음으로 ‘마을회관’이 67.3%, ‘구판장’이 52.9%, ‘정미소’가 50.0%,

‘경로당’이 49.0%, ‘공동 육묘/퇴비/작업장’이 44.4%, ‘공동 창고’와 ‘가 공시설’이 각각 41.2%, ‘직판장’이 40.0%, ‘마을 소유 숙박/체험시설’이 10.0% 순으로 나타남.

<그림 2-38> 마을 내 공동시설 이용 정도

4.4. 환경 저해시설 유무

❍ 행정리 내의 환경 저해시설 유무에 대해 살펴본 결과, ‘축사’가 40.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그다음으로 ‘태양광 발전시설’이 20.6%, ‘창고’가 14.7%, ‘공장’이 10.8%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2-39> 마을 내 환경 저해시설 유무

❍ 환경 저해시설의 환경 저해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수용 가능’이라는 응답 은 ‘창고’가 66.7%로 가장 높으며, 그다음으로 ‘공장’이 63.6%, ‘태양광 발전 시설’이 42.9%, ‘축사’가 34.1%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2-40> 마을 내 환경 저해시설 수용 정도

4.5. 축사 현황(참여 농가 수, 사육두수)

❍ 마을 내 축사가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n=41)를 대상으로 축산업 참여 농가 수

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 참여 농가 수는 5.0호임.

- 축종별로는 ‘우사’가 3.6호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다음으로 ‘돈사’가 0.9호,

‘계사’가 0.2호 등 순으로 나타남.

- 평균 사육두수는 전체 6,118.9마리로, ‘계사’가 21,197.8마리로 가장 많 고, ‘돈사’ 2,712마리, ‘우사’ 239.9마리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2-41> 축종별 축산 농가 수

4.6. 태양광발전시설 현황(소유 여부, 면적)

❍ 행정리 내 태양광 시설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태양광 시설을 보유한 행정 리 비율은 23.5%임.

- 이 중 마을 주민 소유’가 10.8%, ‘외부인 소유’가 14.7%로 외부인 소유의 태양광 시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태양광 시설의 면적은 ‘마을주민 소유’ 1천115평, ‘외부인 소유’ 7천8백 평으로 면적도 외부인 소유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그림 2-42> 소유별 태양광발전시설 유무

4.7. 주민 생활권

❍ 마을 주민들이 생활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주로 방문하는 지역에 대해 살펴 본 결과, 대부분의 생활서비스를 ‘읍・면소재지’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식료품 및 기초생필품 구입’ 75.5%, ‘생활편의시설 이용’ 69.6%, ‘간 단한 진료’ 72.5% 등 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의 경우에 읍・면소재지 이용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상업서비스 이용’ 및 ‘전문 진료’는 시・군청소재지 이용 비율이 각각 31.4%, 47.1%로 읍・면소재지 이용 비율보다 같거나 높게 나타남.

<그림 2-43> 마을 주민들의 생활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