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을의 경제활동 현황

제2장

2. 마을의 경제활동 현황

2.1. 농가

❍ 마을 이장들을 대상으로 행정리 내 농가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100.0%가

‘있다’고 응답함.

- 작목별 참여 농가 유무를 살펴보면, ‘밭농업(노지)’ 98.0%, ‘쌀농업’ 85.3%,

‘축산업’ 52.9%, ‘밭농업(시설)’ 50.0%, ‘시설원예농업’ 17.6%, ‘임업’ 15.7%

순으로 나타남.

- 작목별로 평균 참여 가구 수는 ‘농가’가 50.6호, ‘밭농업(노지)’가 39.9호,

‘쌀농업’이 26.7호, ‘시설업예농업’이 12.9호, ‘밭농업(시설)’이 9.9호, ‘축 산업’이 4.7호, ‘임업’이 4.6호임.

<그림 2-20> 마을 내 농가 현황

<그림 2-21> 작목별 농가 수

2.2. 어가

❍ 마을 이장들을 대상으로 행정리 내 어가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어가’는 18.6% 마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유형별 어가 여부를 살펴보면 ‘어로어업’이 14.7%, ‘양식업’이 10.8%로 나타남.

- 행정리당 평균 어업 참여 가구 수는 25.9호로, ‘어로어업’이 21.0호, ‘양식 업’이 20.3호임

<그림 2-22> 마을 내 어가 현황

<그림 2-23> 유형별 어가 수

2.3. 농림어업 관련 경제다각화활동 참여 가구

❍ 마을 이장들을 대상(N=102)으로 행정리 내 농림어업 관련 경제 참여 가구 여 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참여하는 가구가 있다는 응답이 37.3%로 나타남.

- 유형별로는 농어촌 민박 29.4%, 주말농장 및 체험프로그램 운영 14.7%, 직판장 운영 12.7%, 농림수산물 가공 11.8% 순으로 나타남.

<그림 2-24> 경제다각화활동 참여 여부

2.4. 비농어가 경제활동

❍ 행정리 내 비농어가 경제 참여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비농어가’는 88.2%

가 행정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유형별로는 ‘자영업’이 70.6%, ‘비농업부문 일용직’이 51.0%, ‘농업 임금노 동’이 45.1%, ‘서비스업 직장 취업’이 41.2%, ‘제조업 공장 취업’이 33.3%

순으로 나타남.

- 평균 비농어 가구 수는 24.6호로 나타났으며, ‘자영업’ 11.3호, ‘서비스업 직장 취업’ 10.0호, ‘농업 임금노동’ 9.1호, ‘제조업 공장 취업’ 6.9호, ‘비 농업 부문 일용직’ 6.7호임.

<그림 2-25> 비농어가 유무

<그림 2-26> 유형별 비농어가 수

2.5. 행정리 내 경제조직

❍ 행정리 주민들의 참여 조직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작목반1’과 ‘영농조합/

농업법인’이 35.3%로 높게 나타남.

- 그다음으로 ‘작목반2’가 16.7%, ‘어촌계’가 12.7%, ‘수리계’가 8.8%, ‘작 목반3’과 ‘영어조합/어업법인’이 각각 5.9% 등 순으로 나타남.

- 참여 조직 평균 실거주 가구 수는 ‘협동조합’이 31.0호, ‘어촌계’가 27.9호,

‘마을기업/농촌공동체’가 21.8호, ‘영농조합/농업법인’이 21.6호, ‘작목 반1’이 12.6호, ‘영어조합/어업법인’이 12.3호 등으로 나타남.

<그림 2-27> 마을 내 경제조직 유무

2.6. 공동경제활동

❍ 마을 이장들을 대상으로 마을 내 공동경제활동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 동농업활동’이 25.5%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그다음으로 ‘체험관광 프로그램 운영’과 ‘농기계 이용’이 각각 16.7%, ‘마 을 공동시설 운영’이 12.7%, ‘식품 가공, 판매’가 9.8%, ‘공동어업활동’이 7.8% 순으로 나타남.

<그림 2-28> 마을 내 공동경제활동 유무

❍ 마을 내 공동경제활동의 주민 참여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거의 모든 주민 이 참여’라는 응답은 ‘공동어업활동’이 37.5%로 참여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 로 나타남.

- ‘식품 가공, 판매’가 30.0%, ‘체험관광 프로그램 운영’이 29.4%, ‘농업활 동’이 26.9%, ‘마을공동시설 운영’이 23.1%, ‘농기계 이용’이 17.6% 순으 로 나타남.

- ‘일부 주민만 가끔 참여’라는 응답은 ‘공동농업활동’이 50.0%로 가장 참여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2-29> 마을 내 공동경제활동 참여 정도

2.7. 마을 공동 재산 여부

❍ 행정리 내 공동 재산 유무에 대해 살펴본 결과, ‘마을 소유 부동산’이 있는 마 을은 79.4%, ‘마을 기금’을 보유한 마을은 90.2%로 나타남.

- 공동 재산의 면적 및 규모는 ‘마을 소유 부동산’은 평균 26,282평이며, ‘마 을 기금’은 평균 3,697만 원임.

<그림 2-30> 마을 내 공동 재산 여부

❍ 마을 기금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n=92)를 대상으로, 마을 기금의 모금 방 법에 대해 살펴본 결과, 1~3순위 합 100% 초과 기준으로 ‘정기적 모금 또는 기부금’이라는 응답이 69.6%로 가장 높게 나타남. 1순위 기준으로도 ‘정기적 모금 또는 기부금’이 45.7%로 가장 높음.

- 그다음으로 ‘마을공동사업 수익금’이 57.6%, ‘출향민 비정기적 지원금’이 20.7%, ‘자매결연 성금’이 9.8% 등 순으로 나타남.

<그림 2-31> 마을 내 공동 재산 축적 방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