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종합 요약 및 시사점 97

❑ 온라인 자료납본 보존 사례

∙전자납본 자체가 의무사항이 아닌 미국이나 네덜란드에서는 상업적 기관과 협력체 제를 구축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도 출판사, 법적납본 도서관 및 정부 단체 간의 협약을 촉진하고 비인쇄물의 납본에 대한 규제 및 비 규제 옵션 을 자문하기 위한 자문단이 구성되었다. 일본의 경우 유료와 무료 전자자료에 대하 여 차별화하여 수집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상업적 전자자료와 저작권관련 이슈로 인하여 국가도서관에서는 디지털 법적 납본 자료의 접근성 허락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모색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이나 캐나 다 사례에서 나타났듯이 상업적 전자자료에 대하여 저작권 침해 없이 접근을 허용 할 수 있도록 협력체제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전자책 납본 시 출판사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납본시스템으로 연계하여 국가도서관 의 전자자료 납본에 대한 업무를 적절 수준까지 자동화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 는 추세이다. 프랑스의 경우 납본시 기초 메타데이터를 입수한 후 PREMIS와 같은 보존 메타데이터까지 한 프로세스로 연동하는 메타데이터 종합관리 체계를 구축하 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독일의 경우 납본자에 따라 차별화된 납본 플랫폼을 제공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최근 들어 보존된 디지털 파일의 이용성을 고려하여 장기보존에 관련된 이슈를 논 의하고 있는데 보존된 디지털자료가 가독될 수 있는지를 고민하며 디지털자료의 포맷 변환에 대하여 주목하고 있다. 프랑스 경우 전자책 보존 시 장기보존을 고려 하여 포맷을 관리하고 각 전자책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 단위까지 장기보존을 고려 하고 있으며 독일 경우 다양한 기관과 포맷뿐만 아니라 리더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 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웹 아카이빙 보존 사례

∙기본적으로 국가기관 및 공공자료를 대상으로 아카이빙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미국의 경우 국제적인 범위로도 인터넷 콘텐츠를 수집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 어 주제별로 아카이빙을 할 경우에는 국가내외로 범위를 확장하는 추세이다.

∙웹 아카이빙 시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컴포넌트를 처리하는 이슈가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웹 아카아빙 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및 PDF 등의 컴포넌트를 가능한 한 원본 사이트에 포함시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 하였으나 다양한 컴포넌트를 장기보존하였을 때 활용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 에 대하여 주목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온라인 접근과 관내 접근, 기타 기관에서의 접근 가능한 자료가 구분되 어 있으나 수집된 웹자료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서관 통합검색서비스에서 통합검색을 지원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웹 아카이브의 장기보존을 위한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는 경우 PREMIS, OAIS 등 기록관리 장기보존 시스템의 표준을 도입하여 장기보존 시스템을 표준화하는 추세 이다.

❑ 디지털화 자원 보존 사례

∙디지털화는 기본적으로 장기보존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디지털 파일 형식과 표준화가 주요 이슈이다. 일본의 경우 아날로그 매체를 디지털 파일로 전환 하는 작업과 병렬하여 장기보존을 위한 포맷에 대한 연구를 전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데 아날로그 매체에서 디지털 파일로 전환하기 전에 디지털 파일의 포맷과 포 맷 레지스트리, 디지털 파일 저장매체 등 전반적인 환경 전체에 대하여 중장기적으 로 단계별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화에 대한 이슈가 디지털화를 하는 프로세스 중심에서 디지털화한 컬렉션을 활용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화를 하는 궁극적인 목적 은 자료를 장기적으로 잘 활용하자는 것이므로 기존에 디지털화 한 컬렉션 이용을

활성화하는 서비스 방안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의 경우 2017년 에 디지털 컬렉션 이용을 위한 새로운 웹사이트 Labs를 개설하여 데이터 연구자들 이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실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이 트 이용자들에게 실험적인 애플리케이션과 크라우드 소싱 프로그램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시내에 DigLab 같은 다양한 시설을 설치하 여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디지털화된 컬렉션을 바탕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 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디지털화를 하는 대상 선별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콘텐츠 평가와 실현 가능성 평가 등의 2단계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어떤 디지털화 프로젝트가 캐나다인에게 가장 적합할지를 결정하는 데에 활용하고 있으 며 호주는 선택적 디지털화, 주문형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였다. 영국 경우는 디지털 문화유산 공동체와 협력하면서 디지털화 대상을 선정하고 있다.

∙디지털 장기보존의 경우 파일 포맷 활용성에 대한 이슈와 마이그레이션 이슈가 대 두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디지털 장기보존 시스템에서 디지털 파일의 활용성에 문 제가 있을 시기에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알람을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자원 보존전략 수립 연구

제 3 장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자원 보존 실무 개선

3.1 디지털자원 보존용 메타데이터

3.2 디지털자원 관련 업무 분석 및 KOLIS II 보존 기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