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종합 식량안보지수 산출과정

문서에서 식량안보 지표 개발 연구 (페이지 58-63)

새로운 식량안보 지표 개발

2. 종합 식량안보지수 산출과정

-국제유가 0.046 1.000

(0.153)

-외환보유액 0.230 0.880*** 1.000 (0.785) (6.137)

-주:*:10% 유의수준,**:5% 유의수준,***:1% 유의수준을 나타내고,괄호는 t값을 나타냄.

자료:WTO,OPEC,국제금융센터.

○ 안전성과 영양의 안전부문 세부지표는 이코노미스트지의 식품안전장치 존 재 여부와 FAO의 개선된 식수의 접근성,위생시설에 접근 가능한 인구율을 세부지표로 선정하였다.영양부문에서는 FAO의 영양결핍 정도와 이코노미 스트지의 미량영양소 공급력을 세부지표로 선정하였다.

○ 그러나 식중독 발생 건수나 칼로리 자급도 등은 각 국가의 데이터 수집이 용이하지 않아서 세부지표로 선정하지 못했다.

2. 종합 식량안보지수 산출과정

○ 선정된 세부지표를 바탕으로 종합 식량안보지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정규 화 과정과 가중치가 필요하다.

○ 각 세부지표들이 상이한 단위를 가지고 있고 국가 간 비교 가능한 지표를 계산하기 위해서 정규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 세부지표 정규화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Z-score와 Min-max변환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Z-score:  

  

× 

여기서 μ는 평균,σ는 표준편차

Min-Max변환5:  

     

   

× 

○ Z-score는 동일한 단위를 가지는 해당 표본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평균이 0, 표준편차가 1인 표준정규분포로 전환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분포로부터 나 온 값들을 비교 가능하다.

○ Min-Max변환은 동일한 그룹 내에 상대적 크기를 비교해 나타내는 것으로 자료의 범위를 0~100로 변환해 주어 다른 자료와 비교 및 계산을 가능하게 해준다.

○ 우리나라의 식량안보지수만을 계산한 김동환 등(2012)의 연구에서는 Z-score 를 활용하였으며,국가 간 비교 가능한 국별 지수를 산출한 이코노미스트지의 식량안보지수나 밥그릇지수의 경우 Min-max변환을 활용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G20국가6를 대상으로 국가 간 비교 가능한 식량안보지수를

5지표값이 클수록 식량안보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     

    × 로 계산한 뒤 절대값을 사용하였다.

6G20국가는 미국,일본,영국,독일,프랑스,캐나다,이탈리아,한국,중국,인도,아 르헨티나,브라질,멕시코,러시아,터키,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유럽연합이 속해 있으나 실제 분석에서는 개별 국가가 아닌 유럽연합은 제외하고 19개국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Min-max변환으로 각 세부지표를 0~100의 범위 값으로 전환하였다.

○ 세부지표를 종합한 단일지수를 산출하는 데 있어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 별화를 시도하였다.

-국가 간 비교 가능한 종합지수를 산출한 선행연구들은 국제적 곡물 수급 여건이나 교역 상황을 고려하지 않거나 고려하더라도 국가별로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국이 곡물 수입국인지 수출국인지를 가늠할 수 있 는 곡물 자급률에 따라 국제곡물 수급 및 교역의 영향을 달리 적용하였다.

-즉 곡물 자급률이 낮은 국가는 국제곡물시장 여건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 고 자급을 하거나 수출을 하는 국가(자급률이 100% 이상인 국가)는 자국 의 식량안보에 있어 국제곡물시장 여건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국제곡물 수급 및 교역 여건인 국제적 가용성은 단일수치로 계산이 되는 데 이를 각국의 자급률을 적용하여 그 영향을 다르게 하였다.각국의 곡 물 자급률은 100% 이상인 국가도 존재하지만 자급률이 100% 이상인 국 가는 국제곡물 수급이나 교역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자급률을 100%로 적용하였다.

IAV =1-(1– GAV)*(1– SR) IAV =개별국가의 국제곡물 가용성 SAV =전 세계 국제곡물 가용성 SR =개별국가 곡물 자급률

그림 4-1. 종합지수 산출과정

○ 선행연구에서 종합지표 산출 시 적용한 가중치는 모든 지표에 동일한 가중 치를 부여하거나 연구자 혹은 전문가 그룹의 판단에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 대체로 국제적 가용성과 국내적 가용성을 동일하게 부여한 경우가 많으며 가계 혹은 안전성 부분에 상대적으로 가중치를 낮게 책정하고 있다.

표 4-8. 선행연구들의 영역별 세부 가중치

표 4-9. 새로운 식량안보지수 구성과 가중치

문서에서 식량안보 지표 개발 연구 (페이지 58-6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