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하는 중요하고도 필수적인 제도인 것이다.

변화가 생겼고, 대인관계가 많아지고 가족과의 관계에서도 의존적 관계보다 수평적 관계로 변화하였다. 이 연구는 심층적인 연구로 서비스의 효과를 전체적으로 입증 했다는 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김민아(2007)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활동지원서비스 이용과 자립의지의 관계 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특히 세 가지 활동지원영역을 중심으로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과 자립의지와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탐색하고 실천적 측면의 활동지원서비 스의 앞으로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는데 연구결과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이 지 체장애인의 자립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장애인들이 사회에 참여하고 자립 의지를 지각하는데 물리적 제한이 아닌 대처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강우진(2009)는 시각장애인을 부양하고 있는 주 부양자에게 부양 부담을 경감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신선숙(2016)은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 가운데 이용기간이 길고 활동지원서비스를 많이 받을수록 자립의지 향 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대로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이 장애인의 생활에 긍정 적인 영향들을 미치고 있고, 활동지원서비스의 궁극적인 목표인 자립의지에도 효과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활동지원서비 스와 자립의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실제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그리 많지 않았고 연구 또 한 단순히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만족도를 연구했거나, 직접적인 시각장애인 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라 시각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는 부양의미자를 초점으 로 한 연구가 있었다.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는 서비스제공 과정에서 활동지원사 전문성,시각장애 인의 개인적 특성, 가족적 특성 등이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정도에 따른 자립의지 의 변화를 조절할 것으로 추론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가 전체적인 자립의지나 삶의 질, 생활만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효과에 대해 활동지원서비스가 과연 시각장애인에게도 활동지원서비스를 통하여 심리적·건강적 요인에서 또 다른 목표인 사회활동 참여를 비롯한 시각장애인의 자립의지 사이에서 어떤것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이 향후 국내 활동지원서비스와 관련하여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가 자립의지와의 관계에서 대처효능감과 활동지원사

의 전문성, 시각장애인의 개인적 특성, 가족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아보았다.

제 3 장 연구설계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