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가 활동지원사 전문성, 개인적특성, 가족특 성에 따라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았다. 또한, 신변처리, 사회참여,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와 시각장애인의 자립의지의 관계에서 대처효능감이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변인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면 <표 3-1>과 같다.

<표 3-1> 연구가설

연구가설 5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애 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5-1.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성별 따라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5-2.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학력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5-3.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시각장애 정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5-4.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5-5.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기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 이다.

연구가설 6

사회참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애 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6-1. 사회참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성별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6-2. 사회참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학력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6-3. 사회참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시각장애 정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6-4. 사회참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6-5. 사회참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기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 이다.

연구가설 7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장 애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7-1.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장애인의 성별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7-2.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장애인의 학력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7-3.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장애인의 시각장애 정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7-4. 가사서비스의 이용 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장애인의 현재 건강 상태에 따라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7-5.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기간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8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특성 의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8-1. 신변처리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의 특성 동거인 중 장애 유·무의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9

사회참여의 이용 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특 성의 따라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9-1. 사회참여의 이용 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의 특성 동거인 중 장애 유·무의 따라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10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특 성의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10-1.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 의 특성 동거인 중 장애 유·무의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11

대처효능감은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정도와 지각된 자립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11-1. 대처효능감은 신변처리 이용정도와 지각된 자립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11-2. 대처효능감은 사회참여 이용정도와 지각된 자립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11-3. 대처효능감은 가사서비스의 이용정도와 지각된 자립 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