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형발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

조형 발상은 기억 속에 저장된 조형에 대한 인식이 연상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의도적으로 구체화된다. 앞 장에서 살펴본 마인드 맵은 복사사고의 표현으로 두뇌속에 저장된 기억들을 자연스럽게 연상하 게 하는 창의적인 발상방법이다. 이러한 마인드 맵을 조형 발상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하면 보다 창의적인 조형발상이 가능해지는 가?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조형발상에 대한 이론적 고 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조형발상에 대한 이론을 통하여 구체적 인 내용으로 조형발상의 개념, 조형발상의 원천 (두뇌와의 관계), 조형 의 인식과 조형인식을 위한 사고과정, 조형발상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디자인을 위한 조형발상교육에 마인드 맵을 활용하고자 하기 떄문에 디자인에서의 조형의 개념과 조형발상의 방향이 정립되어야 한 다고 본다. 그러므로, 디자인에서의 조형 및 조형발상의 방향을 제시함 으로써 마인드 맵을 활용한 창의적인 조형발상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 다.

3-1. 조형발상의 개념

조형 발상의 자전적 의미는 조형(造形:형상, 형태를 이루어 만듦), 발상(發:쏘다, 가다, 파견하다, 보내다, 떠나다, 想:생각하다, 생각, 모 양, 형상 - 사상을 표현함)을 말한다.

우리는 훌륭한 작품이나 디자인을 보고 나서 “그 작품 발상이 뛰어 나다! 아이디어가 참신하다”라고 말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조 형발상의 발상이란 연상이나 상상에 의해서 떠오르는 우연하고 단 편적인 사물이나 사건의 이미지를 닮거나 재구성해서 하나의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 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14)

또한, 발상이란 작품의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그 사람 나름의 고유 한 창조적인 이미지 과정으로서 작품의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구체

14) 김민정, 발상유형별 개발자료 활용이 회화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 1999, p.8

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창작할 작품의 이미지를 구상한다는 것은 그

적 조작을 가해 명제의 진위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다.17) 즉, 조형발상은 지각적 사고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억 에 어떤 표상이나 상징 등에 의한 경험이 많이 저장되어 있을수록 그것을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확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다 면 우리의 두뇌 속에서 조형을 인식하고 지각하는 과정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조형인식과 지각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많은 조형의 인식과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방 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다음 장에서는 조형발상의 원천인 조형의 인식과 조형의 사고과정의 이론적 토대를 인지심리학적 측 면의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마인드 맵 방법에 의한 확 산적 조형발상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3-2. 조형발상의 원천

조형 발상은 두뇌의 어떠한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가? 이러한 조형발상의 원천이 되는 두뇌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 창의적인 조형발상을 위한 효과적인 두뇌 활용과 자극 에 대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인간이 형태를 파악하고 인식하는 과정 속에서 필요조건과 필요요소들을 안다면 조형인식에 대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조형발상의 능력도 향 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조형발상의 원천에 대한 이론은 조형인 식과 조형사고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조형의 인식의 방 법은 형판이론, 세부특징이론, 구조주의 이론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둘째, 조형 사고 과정에 대한 이해는 Rumelhart의 모 형, 단어 우월 효과의 모형, 신경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위의 학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7) 전게서. p.25-26

3-2-1. 조형의 인식

조형의 인식은 사람들이 주변의 물체를 어떻게 알아차리는가 하는 것이다. 하나의 형태가 얼마나 많은 상이한 변형을 취할 수 있는가 를 생각해 보면, 우리의 형태 인식 능력이 놀라울 정도로 탁월하다 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18) 그러나, 누구나가 모든 유형의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면 그 현상은 별관심거리도 되지 못하며, 그 현 상에서 밝혀낼 것도 별로 없게 된다. 인간이 형태를 파악하고 인식 하는 과정 속에서 필요조건과 필요요소들을 안다면 조형인식에 대 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장기기억에는 감각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입력된 많은 종류의 형태에 관한 묘사가 저장되 어 있다. 우리가 형태를 보거나 들으면 그 형태에 관한 묘사를 형성 하고, 이 묘사를 장기기억에 저장된 묘사와 비교한다. 이 비교과정 에서 우리가 방금 형성한 묘사와 비슷한 것을 장기 기억 속의 묘사 중에서 찾아내면, 우리는 그 형태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19)

그렇다면 형태에 관한 묘사는 어떤 모양을 취하고 있을까?

다음의 조형인식에 관한 3가지 이론은 위의 질문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될 것이다.

1) 형판이론

형판 이론은 형태가 묘사되지(described) 않는다고 본다. 형판이란 전체적인 혹은 분석되지 않은 개체로서, 두 개의 형태를 비교할 때 우리는 이 형판을 이용하여 두 형태가 겹치는 정도를 측정한다.

형태인식에 이용되는 척도로서 겹치는 정도를 이용한다는 이 이론 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비교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형판 의 위치, 방위 및 크기가 인식하려고 하는 형태의 위치, 방위 및 크 기와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인식하고자 하는 형태의 위치, 방 위 및 크기에 따라 형판의 위치, 방위 및 크기를 끊임없이 조절해야 만 한다. 두 번째,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는 점이다. 다양한 형태에

18) Stephen K. Reed,박권생역, 인지심리학:이론과 적용,시그마 프레스, 2000, p.24 19) 전게서, p.25

잘 맞는 형판을 구성해야 하는데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셋째,

머리는 길고 갈색이며, 코는 낮고, 눈썹은 짙다라고 묘사하는 것을 말한다. 세부특징 이론을 이용하면 지각 학습을 간편하게 기술할 수 있다. 지각 학습은 하나의 형태를 다른 형태와 구분시켜주는 세부특 징을 발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우리가 특정 물체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그 물체와 다른 물체들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차리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물체를 구분시켜주는 독특한 세부특징으 로 형태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학습에 독특한 세부특징을 강조 함으로써 학생들이 독특한 특징을 학습하게 되어 나중에는 그 특징 이 부각도지 않을 때도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독 특한 세부특징파악으로 조형을 인식하는 예는 얼굴 재인에 관한 것 이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풍자화(caricature)제작(이 프로그 램은 얼굴 사진을 선화로 바꾸는 작업)에 각 얼굴의 독특한 특징을 보다 과장해서 그리기도 한다. 예컨대, 누군가가 귀는 큰데 코가 작 다면, 풍자화에는 이 사람의 귀는 더 크게 코는 더 작게 그린다.22) 이것은 즉 조형이 세부적인 특징 묘사로서 장기 기억 속에 저장되 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와 같은 조형인식에 관한 세부특징이론은 교사가 학생들의 장기 기억 속에 조형이 세부적인 특징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인식단계에 서 자극을 준다면, 학생들은 조형인식에 대한 능력이 향상될 수 있 음을 말해주고 있다.

3) 구조주의 이론

구조주의 이론은 형태의 선분들이 다른 선분들과 어떻게 결합되는 지에 따라 그 형태에 대한 해석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의 발 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구조주의 이론(structural theory)들은 세부 특징들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Clowers(1969)는 형태를 적절하게 묘사하기 위해서는 구조주의 이 론이 필요하다는 것을 예시하기 위해 <그림3-1>을 이용하였다. 이 형태가 가오리로 지각되기 위해서는 인접한 선분끼리 집단화가 되

22) 전게서, p28-30

어야 한다. 즉 선분a와 d가 집단화되어 머리를 형성하고 선분 b와 c 가 집단화되어 꼬리가 형성된다. 이에 반해 이 형태가 돛으로 지각 되기 위해서는 반대편의 선분끼리 집단화되어야 한다. 즉, 선분a와 c가 집단화되어 돛의 위와 아래가 되고 선분 b와 d가 집단화되어 돛의 양옆이 된다.23)

<그림 3-1> 가오리로도 보이고 돛으로도 보이는 모호한 형태 출처: Stephen K. Reed,박권생역, 인지심리학:이론과 적용,시그마 프레스, 2000

즉, 조형인식에 대한 구조주의 이론은 조형요소들을 무엇을 중심 으로 보느냐,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함으로 보느냐에 따 라 형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형의 구조분석 인식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형을 보는 관점을 달리하여 인식함으로써 관념화된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 구조주의 이론은 세부특징 이론을 그 바탕으로 한다. 세부특징들간의 관계를 명시할 수 있기 전에 먼저 세부특징이 명시되어야 한다. 구조주의 이론은 이 명시된 세부특징들이 어떻게 서로 짜 맞추어지는지를 명시하려 하는 것이다.24) 세부특징들간의 관계를 창출하면 두 형태를 변별하 기가 훨씬 용이해진다. 세부특징은 문자와 같은 2차원의 형태가 잡 는 세부 특징들과 3차원의 물체에도 원기둥, 네모토막, 쐐기 및 원

즉, 조형인식에 대한 구조주의 이론은 조형요소들을 무엇을 중심 으로 보느냐,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함으로 보느냐에 따 라 형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형의 구조분석 인식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형을 보는 관점을 달리하여 인식함으로써 관념화된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 구조주의 이론은 세부특징 이론을 그 바탕으로 한다. 세부특징들간의 관계를 명시할 수 있기 전에 먼저 세부특징이 명시되어야 한다. 구조주의 이론은 이 명시된 세부특징들이 어떻게 서로 짜 맞추어지는지를 명시하려 하는 것이다.24) 세부특징들간의 관계를 창출하면 두 형태를 변별하 기가 훨씬 용이해진다. 세부특징은 문자와 같은 2차원의 형태가 잡 는 세부 특징들과 3차원의 물체에도 원기둥, 네모토막, 쐐기 및 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