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변수들과 비교해 볼 때,규범적 조직몰입의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연 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행정조직에서 공무원의 규범적 측면의 조직몰 입은 어떠한 요소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가에 관한 연구 또한 부족한 상태 이다(송운석ㆍ김재현,1999).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규범적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앞으로 보다 심도 있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 구 자 대 상 집 단 선 행 변 수

Grusky(1966) 사기업 관리자 보상, 비용 Kiessler

& Sakamura(1966) 학 생 외재적 보상(-) Brown(1969) 공기업 종업원 욕구 만족

Lee(1969) 과 학 자 근속년수, 개인과 조직의 목표 일치

Lee(1971) 과 학 자 사회적 욕구와 안전 욕구의 만족

Hall, Schneider

& Nygren(1970) 산 림 원 사회적 욕구와 안전 욕구의 만족 Sheldon(1971) 과 학 자 나이 근속년수, 지위

Hrebiniak

& Alluto(1972) 교사, 간호원 역할스트레스(-), 직무만족 Alluto hrebiniak

& alonso(1973) 교사, 간호원 투자(나이 교육 등)

BuchananⅡ(1974) 공ㆍ사기업 관리자

집단 규범, 직무의 도전감, 기대의 충족, 자기 이미지

강화,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는 느낌 Scheneider, Hall &

Nygren(1974) 산 림 원 성취욕구, 직무특성.

작업경험 Sreers(1977) 과학자, 기술자 관여, 직무 만족

Whener &

Gechman(1977) 교 사 관여, 직무 만족

<표 2-1> 조직몰입의 선행변수

연 구 자 대 상 집 단 선 행 변 수 Stevens, Beyer

& Trice(1978) 공기업 감독자 역할 과부하(-), 근속 연수, 직무관여

Batrol(1979) 컴퓨터 전문가 직무 만족 O'Reilly

& Galdwell(1980) MBA, 신입사원 직무 선택의 자의성 및 불가역성, 직무 만족 Morris

& Sherman(1981) 정신 위생관계 근로자 역할 스트레스(-), 자기 적합성, 나이, 교육 수준 Welsh

& Lavan(1981) 병원 종업원 역할 스트레스(-), 직무 만족, 나이, 근속 연수

Rusbult

& farrel(1983) 회계사, 간호원 보상, 비용, 선택성 Fykami

& Rarson(1984)

노조가 있는 신문사 종업원

근무연수, 직무범위, 직무 스트레스(-), 감독자의 관계,

사회적 권위 Stumpt

& Hartman(1984) 학생, 신입사원 직무 적합성, 성과, 직무 만족 Bateman

& Strasser(1984) 간호원 상사의 보상, 집권화, 업무 강도, 고용 기회 Angle

& Perry(1986) 버스회사 노조원 노사 분위기 Glisson

& Durick(1988) 서비스 종업원 직무특성, 조직특성, 개인특성 Zaffane(1994) 공사ㆍ조직 구성원 융통성과 적응, 규칙, 변화 조 홍 래(1988) 공 무 원 개인적 요인, 직무 관련 특성,

구조적 특성, 작업경험 변수 한 인 권(1992) 공무원, 회사원

개인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 직무특성,

조직적 특성

연 구 자 대 상 집 단 선 행 변 수

조 덕 찬(1994) 금 융 기 관 역할 관련 특성, 구조적 특성, 작업경험, 개인 특성 요인

신 두 봉(1997) 공기업, 사기업, 외국계 사기업

개인 특성. 리더십, 직무 특성.

역할 변수, 직무만족, 직무몰입

창 항(1998) 공ㆍ사 조직 구성원 선행 변수 없음

※ 자표출처 : A. E. Reichers(1985) 참조.

제 4절 조직몰입과 직무성과

1.선행연구

지금까지의 선행연구 사례들을 보면,조직몰입의 결과 변수는 첫째,직무성 과,둘째,이직 및 이직 의향,셋째,결근,지각 및 결근 의향,지각 의향 등으 로 분류 된다.

조직몰입과 이직과의 관계는 부(負)의 관계를 갖지만,결근,지각,결근 의 향,지각 의향,직무성과와는 부분적으로 부(負)의 관계를 가진다.바꾸어 말 하면,이들 간에는 직접적이고 일관성 있는 관계라고 할 수 없다.특히 스티 어즈(Steers,1977)의 연구에 의하면,조직몰입은 직무성과의 양적인 관계에서 약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가졌을 뿐,직무성과의 질 및 전반적인 직무성과와 는 아무런 관계도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이에 비해 조직 구성원이 안정 지향적이고 조직에 충성할 때,그리고 조직 환경이 위협적이 아닐 때는 조직에서의 직무성과가 낮아도 그들의 조직몰입

은 클 수가 있고,조직이 이윤추구 조직이 아닐 때도 비용이나 능률성의 문 제가 중요하지 않아 직무성과가 낮을 수 있다고 한다(Szilagyiand Wallace, 1983:361-364).또한 조직의 장이 직무성과보다는 종업원과의 인간관계에 더 역점을 둘 때도 직무성과는 낮을 수 있다.

또한 조직몰입의 개념 정의에서 소극적 의미와 적극적 의미를 구분할 때, 소극적 몰입을 경험한 사람은 조직몰입이 높아도 직무성과는 낮을 수 있고, 그리고 조직몰입이 높더라도 개인의 능력이나 역할 명료성이 낮을 경우에도 직무성과는 낮아질 수가 있다고 한다(Steers,1977).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는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가 있는데,그 이유는 직무성과를 설명하는 요인이 조직몰입 외에도 많기 때 문이다.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조직몰입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정리 하면

<표 2-2>와 같다.

〈표 2-2〉조직몰입의 효과변수

연 구 자 대 상 집 단 결 과 변 수 Porter, steers Mowday &

Boulian(1974) 정신과 전문의 이직(-) Van Maanen(1975) 경찰관 직무성과 Porter, Cramoon &

Smith(1976) 경영 교육 훈련자 이직(-) Marsh

& Mannari(1977) 일본 전기회사 종업원 이직(-) Steers(1977) 병원 종업원,

과학자

조직 잔유 의향, 이직(-), 전반적 성과 Koch & Steers(1978) 공기업 종업원 이직(-), 결근(-)

Horn, Keterberg

& Hulin(1979) 군 관계 직원 이직(-) Mowday, Steers

& Portwe(1979) 공기업 종업원 이직(-), 결근 (-)

연 구 자 대 상 집 단 결 과 변 수

Wiener & Vardi(1980) 전문직, 비전문직 노력, 성과, 조직 애착심 Angle & Perry(1981) 운송관계 종사자 이직(-), 지각(-)

Ferris & Aranya(1983) 공인회계사 이직 의향(-), 이직(-) Baterman

& Strasser(1984) 간호원 직무만족 Larson & Fukarni(19840 노조가 있는 신문사

종업원 이직(-), 결근(-), 성과 Lounsbury

& Hoopes(1986)

기술직, 관리직, 사무직

종업원 이직 의향(-) Williams & Hazer(1986) 보험회사 종업원 이직 의향(-) Decotis & Summers(1987) 감독자 직무성과

Shore & Martin(1989) 은행원 성과, 조직 잔류 의향

Meyer(1989) 관리자 성과

Shore(1989) 대학 소속 직원

탈퇴 인지(-), 전보의향(-), 이직

의향(-), 이직(-), 직무성과

조홍래(1988) 공무원 결근율, 이직률, 직무관여, 직무성과

한인권(1992) 공무원 근무 성과

조덕찬(1994) 은행원 지각된 직무성과, 이직의향, 결근의향 ※ 자료출처 : A. E. Reichers(1985)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