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 분

소 계 6 급 7 급 8 급 9 급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11,303 100% 3,054 27.0% 3,724 33.0% 2,895 25.6% 1,630 14.4%

공무원 정원

연구대상특성 573 100% 122 20.1% 246 40.5% 119 19.6% 86 14.2%

<표 3-4>에서 표본조사 대상자를 보면 직급별로는 6급이 정원대비 20.1%,7급이 40.5%,8급이 19.6%,9급이 14.2%로 나타났다.전라남도 공무 원 정원과 대비하여 볼 때 7급 응답자 수가 상대적으로 다른 직급에 비해 많 음을 알 수 있다.

직렬별로 살펴보면 일반 행정직과 기술직의 구성 비율이 58.2% 대 30.0%

로 일반 행정직이 약 2배의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공무원으로 근속한 년 수는 11년-15년 사이가 25%로 가장 많았으며,1년 미만에서 26년 이상까지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장기근속과 관련하여 21 년-25년 이하 근무한 공무원이 7.9%였음에도 불구하고,26년 이상 장기 근속 한 공무원은 11.5%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표 3-4> 연구 대상자의 구성 비율 현황

(단위 :명)

위한 14개 문항,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16개 문항,공무원의 직무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17개 문항 등 총 101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이 가운데 본 연구와 관련된 문항들 중 56개 문항을 선별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분 석 문항의 선별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통해서 요인 적재량(factorloadings)과 크론바하 알파(Cronbach'

α)계수가 기준치 이상을 나타내는 유의미한 문항들을 발췌하였다.

각 요인별 설문 문항의 구성 현황을 살펴보면 <표 3-5>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 문항 측정법을 사용함으로써, 연구모형 분석의 오류를 가능한 줄여 설문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각 변수들에 대한 합당한 요인들을 구하고 우리나라 지방 공무원들의 실정에 적합한 측정도구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선행연구 가운데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한 측정도구를 가능한 한 사용하였고,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측정도구는 대부분 외국어로 되어 있으므로 번역의 잘못으로 인한 측정의 오 류가 발생할 수도 있어,전문가의 확인․검토를 받았으며,우리나라에서 검증 되지 않는 설문은,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재조정을 하는 등 수정ㆍ보완의 절 차를 거쳤다.

설문의 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을 순서 척도인 Likert의 7점 척도 (① :전혀 그렇지 않다,② :그렇지 않다,③ :별로 그렇 지 않다,④ :그저 그렇다,⑤ :약간 그렇다,⑥ :그렇다,⑦ :매우 그렇다)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부정문으로 질문한 문항에 대해서는 응답 값을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역으로 코딩(coding)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또한 인 구통계학적 특성 중 명목척도로 측정된 일부 응답치는 더미변수로 변환20)하 여 분석하였다.

20) 어떤 명목변수의 측정치를 존재여부에 따라 ‘0’과 1’의 값을 이용하여 양쪽 성격,즉 등간척도나 이항변수로 변환시키는 것을 명목변수의 더미 변수화(Dummy variable, 혹은 가변수)라고 말한다.이러한 더미변수는 독립변수 또는 종속변수에 이용될 수 있다.(정층영ㆍ최이규,2000:254-258)

<표 3-5> 설문 구성

요 인 변수구분 내 용 문 항 수

인구 통계학적

특성

독립변수 성별, 연령, 학력수준,

생활수준, 직급, 직렬, 근속년수 7

개인성격

특성 독립변수

성 실 성 8

안 정 성 4

친 화 성 4

외 향 성 4

창 의 성 5

직무특성 독립변수

기술 다양성 2

환 류 성 3

직무 중요성 5

과업 정체성 2

자 율 성 2

조직몰입 매개변수 규범적 조직몰입 6

직무 성과 종속변수 직무성과 4

총 계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