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직몰입에 대한 개인 변인과 조직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개인 변인과 조직 변인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선효과 회귀계수조건 모형 분석(intercepts-and slope-as-outcomes model)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 로 1수준 모형에 개인 변인을 투입하였으며 2수준 모형에서 y절편 값으 로 무선효과 회귀계수 무조건 모형 분석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 게 나타난 과업 중요성과 직무만족 변인을 대상으로 각 변인의 2수준 모 형 내 투입하였다.

조직몰입에 대한 개인 변인 및 조직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Ⅳ-10>와 같다. 이 때 학교 설립유형(=-.189, p<0.01)이 학 교 평균 조직몰입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 학교 지역, 교사 협업, 지속적 학습기회, 학교장 변혁리더십, 관계지향 문화, 조직공성성은 학교 평균 조직몰입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효과로는 조직몰입과 과업중요성의 관계에 있어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 직몰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있어 학교설립유형과 지속적 학습기회가 조 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효과 계수 표준오차 t

과업중요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은 부적인 조절효과(=-.954, p<0.05)를 보였으며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 내면 [그림 Ⅳ-1]과 같다. 구체적으로 학교별 평균 학교장 변혁적 리더 십이 높은 경우 과업중요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완만하게 감소 시키고, 학교별 평균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인 낮은 경우 과업중요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효과 표준편차 변량 카이제곱

집단간 변량 .135 .018 8.921**

성별 .147 .022 .798

결혼여부 .138 .019 7.726

교직경력

(기준집단:10년미만)

10~20년 .195 .038 8.873

20년이상 .18 .033 11.253

담당교과 .041 .002 7.726

직무자율성 .126 .016 8.21

과업중요성 .198 .04 13.492**

직무수행피드백 .16 .026 13.527

역할과중 .059 .004 9.923

역할갈등 .062 .003 5.25

직무만족 .063 .004 16.171***

교직동기 .06 .004 6.06

교사효능감 .266 .071 7.66

집단내변량 .256 .065

<표 Ⅳ-10> 계속

[그림 Ⅳ-1] 과업중요성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설립유형은 부적인 조 절효과(=-.316, p<0.01)를 보였으며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면 [그림Ⅳ -2]과 같다. 구체적으로 설립유형이 공립인 경우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완만하게 감소시키고, 설립유형이 사립인 경우 직무만족 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2] 직무만족과 설립유형의 상호작용 효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지속적 학습기회는 부 적인 조절효과(=-.868 p<0.01)를 보였으며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면 [그림Ⅳ-3]과 같다. 구체적으로 학교별 평균 지속적 학습기회가 높은 경 우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완만하게 증가하며, 학교별 평 균 지속적 학습기회가 낮은 경우 직무 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3] 직무만족과 지속적 학습기회의 상호작용 효과

무선효과의 경우 무선효과 회귀계수 무조건 모형 분석결과를 무선효과 회귀계수 조건 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집단 간 변량이 0.037에서 0.018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변인은 학교 간의 조직몰입 수준 의 약 51.35%(=(0.037-0.018)/0.037*100)의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직 변인의 설명 변수들이 조직몰입의 효과적인 설명변수이 나, 학교 조직 간 평균의 차이를 가져오는 또 다른 설명 변수가 남아 있 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