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조혁신 지원사업

문서에서 인천광역시 (페이지 188-194)

V. 세부사업별 추진계획

3. 산업단지 혁신역량강화사업

3.1 제조혁신 지원사업

□ 사업추진 목적

◦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의 낮은 생산성을 개선하고, 제품품질수준 향상을 통한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지원함

◦ 현재 인천지역에서는 스마트팩토리사업 지원사업은 인천테크노파크의 ‘스마 트제조혁신센터’를 통하여 지원되고 있음

◦ 대상 산업단지 내에 스마트팩토리 시범공장 도입을 통하여 스마트공장 확산 을 촉진시킴

◦ 또한 혁신지원센터 등 기업지원 인프라 공간이 확보되면,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분원을 유치함으로써, 좀 더 적극적인 사업추진을 기대할 수 있음

◦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기획부터 판매까지 모든 생산과정을 ICT(정보통신)기 술로 통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사람 중심 의 첨단 지능형 공장임

□ 스마트제조혁신 주요 내용

◦ 현재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생산, 수출, 부가가치 비율의 추세적 하락으로 활 력을 잃고 있으며 기업간 생산성 격차 확대로 생태계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 되고 있음

◦ 4차 산업혁명의 선도자인 독일의 인더스트리 4.0(Industrie 4.0)과 스마트제조를 지 향하는 스마트공장의 개념은 제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음

◦ 스마트팩토리란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ICT 기술 로 통합하여, 최소비용, 시간으로 고객과 시장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제품을 만드는 것을 추구. 즉, 스마트팩토리는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인간 중심 의 작업환경이 구현되고, 개인 맞춤형 제조, 융합 등 새로운 제조 환경에 능 동적 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공장을 의미함

—스마트팩토리 운영 시스템은 스마트제조를 통해 수집되고 가공되는 생산 정 보(4M1E)를 활용하여 스마트 공장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주로, IIoT 데이터 센싱,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실시간 데이터와 과거데이터 모니터링, HMI 공정화면 모니터링, 품질 분석, 실시간 알람 및 조기경보 제 공을 특징으로 함

—스마트팩토리는 기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아래와 같이 기초수준, 중간 1 수준, 중간 2 수준, 고도화 수준 등으로 구분

[그림 Ⅴ-2] 스마트팩토리 수준별 구분

◦ 스마트공장은 제조생태계 전략으로서 기업과 산업 가치사슬의 디지털 연계 를 동시에 고려

—공장 내 수직적 가치사슬의 통합은 운영(operation)7) 차원에서의 디지털 연 계로서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극대화 달성을 목표 함

—공장 간 수평적 통합은 공급사슬(supply chain) 차원에서의 디지털 연계로 서 다양한 제조지원 서비스가 인터넷(IoS)을 통해 연결되는 디지털 제조 생 태계를 의미. 특히, 스마트공장 공급산업과 함께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제조 지원서비스를 포함하며 스마트공장의 지속적 고도화를 견인하는 솔루션 제 공의 기능을 담당

—산업의 가치사슬 측면에서 스마트공장은 스마트소재, 스마트공정, 스마트부 품 및 스마트제품을 포괄. 즉, 일련의 정보가 데이터로 구축된 스마트소재를 활용하여 스마트공장에서의 공정을 통해 관련 정보의 데이터가 구축된 스마 트부품과 스마트제품을 생산함. 따라서 완전한 스마트공장은 소재단계에서 시작하여 완성품에 이르기까지 산업가치사슬의 전 단계가 디지털 연계로 고 도화될 때 완성될 수 있음

[그림 Ⅴ-3] 스마트팩토리 수준별 구분

자료 : KIET

◦ 국내 제조기업의 제조혁신역량 제고를 위해서는 공급사슬 단계별 디지털 전환 수준의 균등화(Digital Transformation Smoothing)를 위한 지원방안이 필요

—디지털 전환 수준의 균등화를 통해 제조혁신 수행상의 병목현상 해소가 이 루어져야만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성과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임

–특히 중소·중견 기업의 경우, 디지털 전환 가능 영역에서 개시 후 확산이라는 점진적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업종별 디지털 전환 수준의 상한(upper-bound) 식별을 통해 제조혁신역량 제고의 현실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대기업과의 거래관계가 중소·중견 기업의 제조혁신역량을 제고함에 따라 대 기업과 거래기업간의 발전적 협력관계 형성이 필요

—거래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의해 결정된 개념설계와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생 산을 위한 생산설계에 치중할 수밖에 없어 공정개선 등 혁신여력이 현실적 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거래 대기업의 협력과 지원이 중요

—제품수명 전 주기에 걸친 관련 기업의 참여로 개념설계, 기본설계, 생산설계 작업이 동시에 추진될 경우 거래기업은 제품개발과 동시에 추가적인 비용부담 없이 공정 간소화를 위한 혁신 추진이 가능함

◦ 대기업의 아웃소싱 방식을 고려한 국내 디지털 생태계의 조성 및 활성화 접 근이 필요

—최근 대기업의 아웃소싱 발주 시 데이터 해석결과의 제시를 요구하는 SR(Sourcing Request)이 보편화되고 있음. 이로 인해 수주기업의 경우 추가 적인 비용부담과 함께 제조혁신을 위한 투자여력의 부족으로 연결되고 있음

◦ 기존 지원정책 및 사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컨트롤 타워 필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제조혁신 정책인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의 보완과 함께 질적 개선이 필요

—국내 스마트공장 고도화 단계는 수준간 격차가 과도해 실질적인 분류에 한 계를 노정하고 있음. 따라서 이에 대한 세분화로 지원정책의 정밀성 제고가 필요. 또한 기존 양적 보급·확산 중심의 사업으로부터 데이터의 구축 및 활 용, 성과평가와 지속적 모니터링 등을 통한 질적 수준 제고 중심의 사업으 로 방향 전환이 이루질 필요가 있음

□ 산업단지 내 스마트팩토리 등 정부지원사업 정보 제공 전문기관 또는 플랫 폼 구축 필요

◦ 인천일반산업단지의 스마트팩토리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천테크노파크에 서 지원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산업단지 입주업체 에 적시에 제공하고, 사업신청과 관련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기관이 산업 단지 내에 위치할 필요가 있음

—산업단지 내에 기술, 마케팅, 정부지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기관 유치 가 시급함

—경영 관련 정보 홍수 시대에 유용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경 영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도 필요함

□ 대상 산업단지의 스마트공장 도입은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수적임

◦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이 30% 향상되고, 고용이 3명 증 가했으며, 산재는 18% 감소하는 등 가시적 성과 창출한 것으로 파악됨

[표 Ⅴ-4] 도입기업과 유사 조건의 未도입기업 간 비교 (PSM 분석)

출처 : 관계부처합동, 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 2020.7.23.

□ 2020년 인천시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출처 : 인천테크노파크

□ 중기벤처부, ‘22년까지 ICT를 결합한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 목표

◦ 당초 스마트공장 목표 2만개에서 3만개 구축으로 목표를 상향 발표(출처 : 중기벤처부,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전략, 2018.12.13.)

◦ 2017년 스마트공장 2만개 목표를 발표한지 1년만에 그동안 성과를 바탕으로

‘22년까지 3만개 구축 목표로 수정 발표

—정부는 스마트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제조강국을 목표로 정하고, 공장혁신 (중소제조업의 50% 스마트화), 산단혁신, 일터혁신, 혁신기반 조성 등을 추 진해나갈 방침

◦ ‘25년까지 5G+AI 기반 최첨단 스마트공장 1,000개 구축 목표

—5G+AI 스마트공장은 단순한 공장 자동화를 넘어 생산된 제조 데이터를 플 랫폼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첨단 공장임

구 분 내 용

사업목적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도적 대응을 위해 인천 남동구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

지원대상

인천광역시 관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중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주관 「2020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중 신규구축 및 고도화 유형」 선정 기업(도입기업)

지원내용

(신규구축) 스마트공장 미구축 기업을 대상으로 솔루션 및 연동 설비의 최초구축 지원(제조 데이터 수집·저장 인프라 구축 등 포함) - 제품설계 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해 IoT, 5G, 빅데이터, AR·VR, AI,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등 지원 (고도화) 기구축 스마트공장의 활용도와 보급수준 향상을 위한 기존 시스템의 고도화 및 스마트공장 설비와 연계시스템의 추가 구축 · 연동(제조 데이터 수집·저장 인프라 구축 등 포함) - 생산공정 및 제조환경변화 등으로 인한 기 구축 시스템의

기능개선 및 필요기능의 추가 도입

- IoT, 5G, 빅데이터, AR·VR, AI, 클라우드 기술 적용 및 실시간 모니터링 범위확대 등을 위한 설비의 추가 도입·시스템 연동 - 스마트공장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연계시스템 추가 구축 및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

지원규모 중기부 추진과제 총사업비 중 기업 자기부담금의 20%, 최대 2천만원 지원 [표 Ⅴ-5] 2020년 인천시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그림 Ⅴ-4] 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 구조도(안)

출처 : 중기벤처부, 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 2020.7.23.

□ 2021년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 최초 구축시 과투자 방지 및 고도화 추진에 대한 기업 자금부족 해소를 위 해 신규구축 지원예산 제한 및 고도화 지원 확대 추진 방침

—신규 구축 국비 지원금액 축소 : 1억원 → 0.7억원

* 수준향상 없이 재신청 기업은 구축 수준(0.7억원)으로 국비 지원

—고도화 국비 지원금액 확대 : 고도화 1.5억원 → 고도화1(Lv3) 2억원, 고도 화2(Lv4) 4억원 지원

◦ 자부담 부담 완화 위해 지자체 추가 지원

—지자체별로 광역시도, 시군 예산 추가 지원을 통해 자부담 부담을 낮추어 주고 있음

—인천시는 총사업비의 20%, 최대 2천만원 범위에서 지방비로 추가 지원(출처 : 인천테크노파크, 2019년도 인천시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공고)

* 경북 김천시는 국비 50%, 도비 10%, 시비 20%(최대 4천만원) 지원으로 자부담을 20%로 낮추었음

* 충남은 자부담의 40%를 지방비로 지원하여 스마트공장 도입을 촉진하고 있음

사업유형 사업비

(백만)

지원비율 (%)

물량 (개)

예산

(억원) 비고

정부 일반형

구축 140 50 2501 1,751 ‘20년 신규구축

고도화1 400 50 759 1,518 ‘20년 고도화

고도화2 800 50 40 160 ‘20년 고도화2(추경)

소계 3,300 3,429

[표 Ⅴ-6] 중소벤처기업부 ‘21년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예산

출처 : 중소기업벤처부

문서에서 인천광역시 (페이지 188-19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