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단지 주변 여건

문서에서 인천광역시 (페이지 48-61)

II. 산업단지 현황 및 경쟁력 분석

4. 산업단지 경쟁력 분석

4.1 산업단지 주변 여건

□ 일반현황20)

◦ 인천의 수리적 위치는 대략 126°37′E, 37°28′N에 해당되는데 이는 한반도 의 한가운데이며 황해에 접하여 있고 한강의 하류에 위치해 있다. 대한민국 의 수도인 서울과 28 km거리에 위치한 인천은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스페인 남부지역과 비슷한 위도에 위치해 있음

◦ 인천항을 통한 대중국 교역과 인천국제공항을 통한 동북아 항공 승객 및 물 류 이동의 거점 역할을 담당하는 허브 도시로서의 장점을 보유함

[그림 Ⅱ-30] 인천광역시 위치도

출처 : 인천광역시 발전계획(2018~2022)(인천발전연구원, 2018)

◦ 1981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 당시 면적은 201.21km²였으며, 1989년 1월 1 일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30.9km²)과 옹진군 영종·용유면(72.0km²) 편입으로 면적이 310.83km²가 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광역시로 명칭 변경과 같은 해 3월 1일 강화군(401.3km²), 옹진군(163.6km²), 김포군 검단면(42.2km²)의

20) 인천광역시 발전계획(2018~2022)(인천발전연구원, 2018), 인천광역시 홈페이지(2020)

통합으로 면적이 955km²가 되었으며, 2000년 이후 공유수면매립 등으로 2005년에는 면적이 994.12km²로 전 국토 면적의 1%로 확장되었으며 2019년 12월 31일 기준 1,063.26km²에 이르고 있음

◦ 인천광역시는 2020. 7. 31. 기준 8구 2군 1읍 19면 134개동의 행정구역체계 를 가지고 있음

□ 생산가능 인구현황

◦ 인천지역으로의 유입 인구 증가로 인해 생산가능 인구와 경제활동 참가율은 성장세를 보이며, 지역경제의 잠재적 역동성이 최소한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됨

◦ 그러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최근 5년 동안 53.5%에서 2020년 8월 54.4%

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개선의 여지가 크다고 판단됨

—지역사회의 역동성과 성장잠재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를 지원하는 정책 대응이 필요함

◦ 2020년 8월 기준 경제활동인구는 1,635천명으로 2019년 대비 경제활동인구는 13천명, 경제활동참가율은 0.6%로 소폭 감소함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사료됨

연도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2016 1,598 932 667 863 283 580 64.9 76.7 53.5 2017 1,607 937 670 878 290 588 64.7 76.4 53.3 2018 1.649 944 705 865 297 568 65.6 76.1 55.4 2019 1,648 939 709 891 317 574 64.9 74.8 55.3 2020 1,635 931 704 910 327 593 64.2 74.0 54.7

[표 Ⅱ-17] 인천광역시 생산가능 인구 추이

(단위 : 천명, %)

출처 : 경제활동인구충조사(통계청, 2020)

□ 근로자 및 사업체 현황

◦ 인천광역시의 총 사업체는 2018년 기준으로 98,384개소로 2017년 대비 약1.4% 증가하였고, 종사자 수는 2018년 기준 871,712명으로 2017년 대비 약3.5% 상승함

—제조업 사업체만을 보면, 2018년 기준 18,502개소로 2017년 대비 약1.5% 증가 하였지만, 종사자 수는 2018년 기준 240,543명으로 2017년 대비 1.1% 감소함

—2018년 전체 사업체 중 제조업의 비중은 18.8%이며, 종사자 수는 27.6%로 가장 높았음

출처 : 사업체노동실태현황(고용농동부, 2017~2018)

◦ 아래의 [그림 Ⅱ-32]는 인천지역의 제조업 세부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임21)

21) 인천지역의 고용변화 요인과 고용의 질에 관한 실증분석(한국은행 인천본부,2016) 산업분류

2017 2018 증감률

사업체

수 백분율

총 종사자

백분율 사업체

수 백분율

총 종사자

백분율 사업체

수 백분율 총

종사자 백분율 전체 96,985 100% 842,534 100% 98,384 100% 871,712 100% 1,399 1.4% 29,178 3.5%

농업, 임업

및 어업 31 0.0% 256 0.0% 34 0.0% 163 0.0% 3 9.7% -93 -36.3%

광업 31 0.0% 627 0.1% 28 0.0% 543 0.1% -3 -9.7% -84 -13.4%

제조업 18,236 18.8% 243,218 28.9% 18,502 18.8% 240,543 27.6% 266 1.5% -2,675 -1.1%

전기, 가스, 공기 조절증기 및

공급업

58 0.1% 3,790 0.4% 61 0.1% 3,718 0.4% 3 5.2% -72 -1.9%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405 0.4% 6,836 0.8% 434 0.4% 7,329 0.8% 29 7.2% 493 7.2%

건설업 4,144 4.3% 48,702 5.8% 4,450 4.5% 53,285 6.1% 306 7.4% 4,583 9.4%

도매 및소매업 21,700 22.4% 111,241 13.2% 21,374 21.7% 112,747 12.9% -326 -1.5% 1,506 1.4%

운수 및창고업 2,980 3.1% 55,695 6.6% 3,097 3.1% 61,502 7.1% 117 3.9% 5,807 10.4%

음식점업 17,312숙박 및 0 78,170 0 17,581 0 83,596 0 269 1.6% 5,426 6.9%

정보통신업 658 0.7% 7,039 0.8% 711 0.7% 7,805 0.9% 53 8.1% 766 10.9%

금융 및보험업 1,604 1.7% 26,060 3.1% 1,620 1.6% 25,829 3.0% 16 1.0% -231 -0.9%

부동산업 3,528 3.6% 17,103 2.0% 3,639 3.7% 18,326 2.1% 111 3.1% 1,223 7.2%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2,655 2.7% 25,633 3.0% 2,897 2.9% 28,498 3.3% 242 9.1% 2,865 11.2%

관리, 사업사업시설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2,032 2.1% 45,414 5.4% 2,093 2.1% 46,115 5.3% 61 3.0% 701 1.5%

단체, 수리협회 및 서비스업및 기타

21,611 22.3% 172,750 20.5% 21,863 22.2% 181,713 20.8% 252 1.2% 8,963 5.2%

[표 Ⅱ-18] 인천광역시 산업별 사업체 및 종사자 수

(단위 : 개소, 명, %)

—[그림 Ⅱ-25]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인천지역의 제조업 분야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분야는 ‘기계 운송장비 및 기타 제품 제조업’과 ‘비금 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특징적인 것은 이들 주력 산업의 쇠퇴가 두드러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임

—인천지역 제조업 분야에서 1985년 현재 43%에 달하던 비금속 광물 및 금속제 품 제조업 분야는 2013년 현재 약 27%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외환위기 이전 인 1996년 47%에 달하던 기계 운송장비 및 기타제품 제조업 분야는 약 32%

수준으로 하락한 모습을 보임

—두드러진 특징은 전반적인 제조업 분야의 하락세 가운데, 유일하게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 분야는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임

—표본기간인 1985년 약 3%에 불과하던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 분야는 2013년 현재 20%를 상회하여 인천지역의 3번째 주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

[그림 Ⅱ-31] 인천지역 제조업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 변화추이

출처 : 통계청(http://kostat.go.kr)

□ 생산

◦ 인천시 지역내총생산은 2017년 기준 85조 792억원으로, 2013년 75조 73억원 대비 14.3% 증가하였으며, 전국대비 4.7%를 차지함22)

22) 2018년 전국지역내총생산 : 1,902,527,946백만원

◦ 산업별 비중을 보면 제조업이 2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항과 항만의 입지로 인한 운수 및 창고업이 11.0%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 하고 있음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서비스업이 20.8%로 다음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 지하고 있음

—제조업의 경우 지역내총생산 비중은 0.3%로 밖에 증가하지 않았지만, 가격 은 16.6% 높아짐

◦ 지역내총생산과 더불어 순생산물세와 총부가가치가 높아진 이유는 인천경제 자유구역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의 영향23)과 고령화에 따른 의 료 서비스 등의 확대24)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됨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42.8%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사업 서비스업(29.6%), 금웅 및 보험업(24.7%), 공공 행정, 극방 및 사회보장 행정 (24.6%)으로 많은 증가율을 보임

산업분류 가격 2013 비중 가격2018 비중 증감률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75,073,082 100.0% 86,426,825 100.0% 15.1%

순생산물세 6,367,782 8.5% 7,855,623 9.1% 23.4%

총부가가치(기초가격) 68,728,382 91.5% 78,585,491 90.9% 14.3%

농업, 임업 및 어업 246,278 0.3% 257,548 0.3% 4.6%

광업 115,370 0.2% 87,454 0.1% -24.2%

제조업 18,185,177 24.2% 21,204,060 24.5% 16.6%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4,100,201 5.5% 3,855,800 4.5% -6.0%

건설업 4,179,563 5.6% 4,431,636 5.1% 6.0%

도매 및 소매업 4,601,581 6.1% 5,682,850 6.6% 23.5%

운수 및 창고업 9,580,078 12.8% 9,496,747 11.0% -0.9%

숙박 및 음식점업 1,624,019 2.2% 1,935,318 2.2% 19.2%

정보통신업 1,366,743 1.8% 1,504,870 1.7% 10.1%

금융 및 보험업 2,711,049 3.6% 3,379,723 3.9% 24.7%

부동산업 5,628,254 7.5% 6,586,697 7.6% 17.0%

사업서비스업 4,177,058 5.6% 5,218,360 6.0% 24.9%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3,762,659 5.0% 4,688,151 5.4% 24.6%

교육 서비스업 3,555,782 4.7% 3,987,752 4.6% 12.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2,675,095 3.6% 3,820,168 4.4% 42.8%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2,380,819 3.2% 2,374,651 2.7% -0.3%

[표 Ⅱ-19] 인천광역시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단위 : 백만원, %)

23) [인천소식] 송도·영종·청라 사업체 2천700개…종사자는 8만명(연합뉴스, 2019.3.19, 보도자료) 24) 일자리 가장 많이 증가할 산업으로 보건업 꼽혀(청년의사, 2019.08.16., 보도자료)

□ 산업단지의 지역 내 근로자 및 사업체 기여도

◦ 인천 미추홀구의 일반산업단지는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 산업화 과정에서 제조업을 위한 물리적 기반을 제공함으로 지소적인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였음

◦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단지는 2018년 기준 인천광역시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입주업체의 비중이 3.6%이며, 종사자 수는 9,401명, 3.9%의 비중으로 인천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

□ 산업단지의 지역 내 생산․수출액 기여도

◦ 인천 미추홀구의 일반산업단지는 40년간 방치되면서 인천의 다른 곳에 위치한 일반산업단지인 서부산업단지나 송도지식정보단지에 비해 열악한 상황임

◦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단지는 2018년 기준 인천광역시 전체 제조 업에서 차지하는 생산액의 비중이 8.6%이며, 수출액은 3억8천9백만달러, 0.1% 비중으로 인천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

□ 시사점

◦ 입주업체와 종사자 수에 비해 생산액의 비중은 높으나, 수출액의 비중은 낮음

—이는 수요조사 결과에도 나와 있듯 인천 미추홀구 일반산업단지의 판매경로 가 수출보다는 내수판매 중심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거점산단 선정 기준25)의 수출액과 종사자 수로 볼 때, 산업단지의 수출액과 종사자 수가 기준보다 높아 인천 지역의 경제 기여도가 크다고 볼 수 있음

4.2 기계산단, 지방산단 경쟁력 분석

가. 경쟁요소 일반현황

□ 입지특성

◦ 연구대상인 일반산업단지는 수도권 서쪽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과 서구 가좌동 일원을 일부 포함26)

—인천의 중심에 위치하며, 인천 중심부에서 5km, 인천항 부두에서 6km 거리에 있어 경인고속도로 인천인터체인지로의 접근이 용이함

25) 거점산단의 선정기준은 수출액 2억481만불, 종사자 수 3,869명 이상임 26) 본 보고서 10페이지의 [그림 Ⅱ-1]을 참고

◦ 인천광역시 소재 2개소(지방산업단지와 기계산업단지)는 1973년과 1971년에 준공하여 현재 총 1,486천㎢ 규모로 조성됨27)

□ 혁신역량 특성

◦ 산업단지의 기반시설 현황은 다음과 같음

분류 지방산업단지 기계산업단지 단위 비고

산업단지내도로(대로) 134,869 5,000 m

진입도로폭 40

-정수처리장(생활용수) 3,580 5,000 ㎥/일

하수도시설길이 6,200 9,600 m

통신회선수 0 200 회선 지방산업단지는

KT에서 공급

전력 46,778 30,000 kw

[표 Ⅱ-20] 산업단지 기반시설 현황

출처: 산업입지정보시스템(https://industryland.or.kr/index.jsp)

◦ 본 용역의 조사대상인 인천광역시 일반산업단지의 연도별 종사자 수는 ′11 년 8,735명에서 ′20년 1분기 9,257명으로 2011∼2020년 0.6%로 성장

—지난 10년간 증감을 반복하였으나 10년 전에 6.0%로 성장함

—2013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2016년 감소한 이후로 현재는 감소하고 있으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구분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년 1분기 종사자 수 8,735 8,583 9,165 9,481 9,840 9,549 9,600 9,401 9,437 9,257

전년대비

증감률 - -1.6% 6.8% 3.5% 3.9% -3.0% 0.5% -2.1% 0.4% -1.9%

[표 Ⅱ-21] 산업단지 연도별 종사자 수

(단위 : 명, %)

출처: 산업단지현황조사(한국산업단지공단, 2011~2020)

27) 본 보고서 10페이지의 [표 Ⅱ-1]을 참고

□ 산업집적

◦ 제3차 산업집적화 기본계획에 따라 인천시는 물류, 자동차, 기계금속, 정보통신 등 지식서비스산업과 기간사업이 성장거점이며, 이러한 발전전략과 산업입지 수급 여건 등을 고려해야 함

—현재 산업단지의 주력업종인 금속가공제품제조업보다는 전기전자 및 정밀제 조업 분야 등 지식기반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비중을 두어 육성하고 인천지역 의 고용을 창출할 필요가 있음

◦ 산업집적화 관점에서 기계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의 97%가 주력업종에 속하나 지방산업단지의 경우 77%만이 주력업종으로 이건산업 등을 포함한 나머지 업체들은 해당되지 못함

◦ (시사점) 생산요소 중 하나인 고용이 소폭으로 감소하고 있어 산업집적화에 따른 계획 진행 시 산업단지 입주 업종에 제조업 만을 국한하지 않고 금융 이나 기업지원서비스, 정보서비스업, 지식서비스산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업종 을 유치할 필요성이 있음

—고용의 증가는 매출액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어 고용창출을 할 수 있는 업 종이나 기업이 필요함

◦ 고속도로, 교통, 항만 등 교통 접근성은 뛰어남

□ 인프라 수준 종합평가

이용수단 별 거리 분석결과

고속도로 진입로와의 거리 인천대로 가좌IC(2km)를 거쳐 서구 경인고속도로(6km) 이용 철도시설과의 거리 지하철 1호선 도화역, 인천2호선 인천가좌역 및 주안 국가

산단역(5km) 이용

※ 산업단지 내 출발지점에 따라 다름 공항시설과의 거리 김포공항(26km) 인천공항(40km) 이용 항만시설과의 거리 인천항(6km) 이용

[표 Ⅱ-22] 산업단지의 교통접근성

구분 분석지표 분석결과

기반 인프라

근로자 당 면적28) 158.9㎡(지방 : 172.6㎡, 기계 : 130.9㎡) 근로자 당 산업시설 용지 면적29) 139.6㎡(지방 : 152.1㎡, 기계 : 108.8㎡) 근로자 당 공공시설 면적30) 20.8㎡(지방 : 20.5㎡, 기계 : 21.4㎡)

[표 Ⅱ-23] 인천일반산업단지 기반시설 종합

문서에서 인천광역시 (페이지 48-6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