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80)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뇌졸중 환자의 부담감 측정 도구 및 중환자 간 호요구도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므로 중증외상환자의 특성에 맞는 표 준화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둘째, 중증외상환자 가족은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대상자임을 감안해 볼 때, 다음 연구에서는 설문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서면으로 시행하는 설문 이외에 전자매체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자료수집방법을 제안한다.

셋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의 외상병동에서 연구대상자 의 범위를 확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정호 (2016). 응급실 내 외상 환자 체류 시간 연관 인자에 대한 연구. 제주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주.

강현정 (2018). 외상환자에서 손상 중증도 점수와 비교한 한국형 중증도 분류의 적절성.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권희경, 송미순 (2014). 중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전실하는 환자 가족 돌봄제 공자의 역할 적응 과정. 성인간호학회지, 26(2), 603-613.

김경희 (2009).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간호요 구 만족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명희, 김명희, 박정하 (2013). 중증외상환자의 주 손상 부위별 특성과 간호활 동.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5(4), 210-218.

김수미 (2019). 외상환자의 입원일수와 진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 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옥화 (2009). 급성기 뇌졸중 환자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 을지 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김완식, 조민수, 배금석, 강성준, 이강현, 황금, 오진록, 박일환. (2007). 외상으로 인한 사망 환자의 임상적 분석. 대한외상학회지, 20(2), 96-100.

김윤 (2017).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 평가 및 외상센터 운영활성화. 서울대학 교 산학협력단, 서울.

김은하 (2002).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이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익산.

김정은, 최해경 (2015). 돌봄 대상자의 기여 요인이 가족 돌봄 노인의 돌봄 부 담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2), 123-150.

김태연 (2012). 일개 외상외과에서의 중증외상 환자 1년 치료 경험 분석. 아주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김현주, 김윤경 (2018). 노인과 비노인 외상환자의 손상중증도에 따른 특성 비 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2), 304-318.

김현주 (2019). 외상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보험유형과 손상 중증도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광주.

김홍조 (2015). 일개지역 외상환자의 손상특성 요인과 입원과의 관계. 대전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김희선 (2006).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기능상태와 가족 부담감 및 가족 교육요 구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아산.

남영희 (2013). 손상중증도지수를 이용한 손상외인별 손상예측모형 개발. 이화 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박민정, 박소희, 정미영. (2017). 중환자실 환자의 가족돌봄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9(5), 517-526.

박숙희 (2010). 뇌졸중 노인 배우자를 수발하는 남편의 경험연구. 서울기독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박종민 (2016).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사업 시행의 결과. 대한의사협회지, 59(12), 923-930.

박지선 (2019).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및 치료결과 비교:일개권역외 상센터 운영전·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진희, 유문숙, 손연정, 배선형 (2010). 중환자실 환자의 일반 병동 전실 시 스 트레스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0(3), 307-316.

백숙자 (2020). 노인외상환자의 특성과 예후관련 인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수원.

백순형, 신중일 (2018). 뇌졸중 환자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체계적 고 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2(1),45-54

서미진 (2013). 외상 환자의 손상 특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천안.

손병일, 정민숙 (2013).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9), 193-203.

오순학 (2004). 중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유인규 (2012). 다발성 손상에 의한 중증외상환자의 경피적 동맥색전술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

유현빈. (2019). 중환자 가족의 불안과 간호요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서울.

윤경진, 김경희 (2009),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 와 간호요구 만족도. 임상간호연구, 15(3), 117-128.

윤수경, 탁영란 (2014). 혈액투석환자 가족의 부담감,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임상간호연구, 20(3), 395-401.

이강현. (2016). 한국 권역외상센터의 현황과 과제. 대한의사협회지, 59(12), 917-918.

이선미 (2015). 암환자 가족원의 돌봄 부담감과 간호 요구도. 을지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이영옥 (2010). 중환자실 가족면회 시간 연장의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부산.

이원철 (2011).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의 중증 외상 환자의 전원 현황과 문 제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이유진 (2014). 중년기 간암환자 가족의 간호요구와 부담감.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이지은 (2020). 뇌졸중 환자의 가족 돌봄제공자가 지각하는 돌봄 부담감과 삶의 질의 관계: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충남.

이지원, 임선영 (2014).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요구도.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4(2), 421-429.

이혜숙, 유미애, 이수경, 손연정 (2014).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

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211-223.

임정순, 정복례 (2018). 급성기 뇌졸중 입원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부담감 영 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12), 149-159.

장선영 (2007).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요구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장혜주 (2019).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전실 예정인 환자 가족의 부담감, 불 안 및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대전.

전영주 (2020). 의료정보에 기반한 외상환자 손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 정보학회, 25(11), 239-244.

정소영 (2017). 중증외상환자 사망률 예측을 위한 Injury Severity Score와 New Injury Severity Score의 비교.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울산.

정현옥 (2004). 일 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간호요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최보라, 장석진 (2018), 암 환자 가족돌봄자의 희망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가 족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6(2)253-277.

하중원 (2018). 중증외상환자의 진료비 부담에 관한 연구:의료이용패턴과 소득 변화.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구소. 경기도.

한종숙 (2008).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이 느끼는 부담감과 간호요 구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한상수, 정경원, 권준식, 김지영, 최상천, 이국종. (2011).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로 전원되는 중증외상환자의 현황 및 문제점. 대한외상학회, 24(2), 118-124.

홍성옥, 김보애, 배지영, 오정아, 조민이, 김수진, 왕경해, 최희수, 김호동, 권윤 형, 김영택 (2018). 2015년 손상 입원환자의 역학적 특성. 주간 건강과 질병, 11(11), 310-318.

Allen, C. J., Hannay, W. M., Murray, C. R., Straker, R. J., Hanna, M. M., Meizoso, J. P., Ray, J. J., Livingstone, A. S., Schulman, C. I.,

Namias, N., & Proctor, K. G. (2015). Causes of death differ between elderly and adult falls. Journal of Trauma Acute Care Surgery, 79(4). 617-621.

Becher, R. D., Meredith, J. W., & Kilgo, P. D. (2013). Injury severity scoring and outcomes research. In Mattox K. L., Moore E.E., &

Feliciano D. V.(Eds.), Trauma(pp. 77-90). New York: McGraw-Hill.

Henderson, V. (1966). The Nature of Nursing: A Defini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

Novak, M., & Guest, C. (1989). Application of a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29(6), 798-803.

Rodakowski, J., Skidmore, E. R., Rogers, J. C., & Schulz, R. (2012). Role of Social Support in Predicting Caregiver Burde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12), 2229-2236.

<부록 1>

<부록 2>

<부록 3>

♦ 다음은 귀하의 일반적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란에 내용을 기입하시거나 √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인의 연령 : 만 세

2. 본인의 성별 : ① 남자 ② 여자

3. 환자와의 관계 : ① 환자의 배우자 ② 환자의 자녀 ③ 환자의 부모

④ 환자의 형제자매 ⑤ 기타(  )

4. 본인의 학력 : ① 무학 ② 초졸 ③ 중졸 ④ 고졸 ⑤ 대졸 이상

5. 본인의 직업 : ① 농어업 ② 자영업 ③ 회사원 ④ 학생

⑤ 전문기술직 ⑥ 일용직 ⑦ 무직 ⑧ 기타( )

6. 본인의 종교 : ① 기독교 ② 불교 ③ 천주교 ④ 무 ⑤ 기타(    )

7. 가족의 월 수입 : ① 150만원 미만 ② 150~300만원

③ 300~500만원 ④ 500만원 이상

8. 수입원(돈 버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

① 환자 ② 다른 가족 ③ 환자와 다른 가족

9. 환자의 입원비는 누가 부담하고 있습니까?

① 저축한 돈 ② 가족의 도움 ③ 타인의 도움 ④ 기타( )

10. 환자와의 동거유무 : ① 예 ② 아니오

♦ 다음은 환자의 일반적 사항 및 질병특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란에 내용을 기입하시거나 √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 환자의 나이 : 만 세

2. 환자의 성별 : ① 남자 ② 여자

3. 환자의 결혼상태 : ① 미 혼 ② 기 혼 ③ 이 혼/별 거 ④ 사 별

4. 환자의 학력 : ① 무학 ② 초졸 ③ 중졸 ④ 고졸 ⑤ 대졸 이상

5. 환자의 직업 : ① 농어업 ② 자영업 ③ 회사원 ④ 학생

⑤ 전문기술직 ⑥ 일용직 ⑦ 무직 ⑧ 기타( )

6. 환자의 종교 : ① 기독교 ② 불교 ③ 천주교 ④ 무 ⑤ 기타(    )

7. 환자의 의식상태 : ① 명료 ② 기면 ③ 혼미 ④ 반혼수 ⑤ 혼수

8. 사고경위 : ① 교통사고 ② 산업재해 ③ 자살/자해

④ 추락 ⑤ 둔상 ⑥ 기타( )

9. 손상부위(다중선택가능) :

① 머리(얼굴포함) ② 척추 ③ 복부 ④ 흉부 ⑤ 팔

⑥ 다리 ⑦ 기타( )

10. 수술횟수 : ① 1회 ② 2회 ③ 3회 ④ 4회 ⑤ 5회 이상 ⑥ 무

11. 간병형태 : ① 가족 ② 간병인 ③ 기타 ( )

12. 가족 중 실제로 환자의 간병에 참여하는 사람은 본인을 포함하여 몇 명입 니까?

( )명

13. 중환자실 재원기간 : (   )일

♦ 다음은 중증 외상 환자 가족의 부담감을 측정하는 문항입니다.

내용을 읽고 아래 각 항목 중 해당하는 곳에 √ 표 해주시기 바랍니다.

항 목 매우

그렇다

약간 그렇다

그저 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환자의 일상 활동에서 대부분 나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 환자는 모든 것을 나에게 의존하려 한다.

3 나는 환자를 계속 지켜보아야 한다.

4 나는 환자의 많은 기본적 활동을 도 와주어야 한다.

5 나는 환자를 돌보는 여러 행위로 인 해 휴식시간이 거의 없다.

6 나 자신의 생활을 잃어버렸다고 느낀 다.

7 나는 이 상황에서 탈출하고 싶다.

8 환자 때문에 사회생활에 지장이 있 다.

9 나는 환자를 돌보는 것 때문에 정신 적으로 지쳐있다.

10 나는 현재 처한 것과는 다른 삶을 기 대한다.

11 나는 잠이 부족하다.

12 나의 건강이 문제가 되고 있다.

13 환자를 돌보는 것 때문에 내 몸에 병 이 생겼다.

14 나는 몸이 피곤하다.

항 목 매우

그렇다

약간 그렇다

그저 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5 나는 전에 비해 다른 식구들과 잘 어 울리지 못한다.

16 다른 식구들은 환자를 돌보고 있는 나의 노력에 대해 칭찬하지 않는다.

17 환자 간호 때문에 결혼생활에 어려움 이 있다.

18 나는 전에 비해 직장일(주부는 가사 일)을 잘 못하고 있다.

19 나는 할 수 있는데도 돕지 않는 다른 식구들이 원망스럽다.

20 환자의 행동이 나를 힘들게 한다.

21 나는 환자에 대해 미안함을 느낀다.

22 나는 환자에게 화를 낸다.

23 나는 아는 사람들이 방문했을 때 불 편함을 느낀다.

24 나는 환자에 대한 나의 역할이 화가 난다.

25 환자의 치료비를 감당하기가 벅차다.

26 환자로 인한 금전적 지출이 크다.

27 환자 또는 가족원의 경제적 상실로 수입이 감소되었다.

28 환자에게 드는 비용을 다른 가족들이 함께 부담해주기를 바란다.

29 지금보다 더 많은 비용을 환자를 위 해 사용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8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