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전국 지질유산 조사 사업의 정기화

국토의 자연 특성을 조사하는 전국자연환경조사는 매 10년마다 수행되고 있는데, 지질 조사는 문헌적 소개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전국자연환경조사에 지질 분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암석 자체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하고 그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모니터링 이 필요하다.

❍ 지질유산 정밀 조사의 강화

지질유산 정밀 조사는 시간, 인력 그리고 재원이 필요한 분야이다. 한 번 조사하면 상당기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보다 재원과 시간을 충분히 투입하면 국토 전반의 지질유산 현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 및 정리할 수 있다.

❍ 국제 활동 연계 강화

지질공원이든 지오트레일이든 국외 탐방객이 환경 용량에 맞으면서 많을수록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한국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국제 활동을 강화하 여야 한다. 이는 해당 분야 전문가의 양성, 국제 정보의 수집 및 분석, 해당 국제 관련 단체와 직간접 교류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국가적 교류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속성 이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 지오트레일 관련 법·제도의 마련

지질공원과 함께 지오트레일 지정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대상 법으로는 생태관광 이 명시된 「자연환경보전법」과 지질공원제도가 규정된 「자연공원법」이 그 대상이다.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에는 아직 선형 개념이 없으므로 우선 생태관광의 일부로서 진입한 다음 지질공원과 통합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

❍ 자발적 지오트레일 운영에 대한 전문가들의 지원

지질학은 경험과 현대의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지자체에서 지오트레일을 운영 할 경우 많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따라서 재능기부 형태의 전문가 참여가 필요하 다. 이를 위하여 가칭 ‘지질유산 연구회’를 결성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활동을 하면 우리나 라에서 지질학의 대중화는 전망이 밝을 것이다.

❍ 국가탐방로 제도의 도입(통합 구축 방안 마련)

현재 각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탐방로는 통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개별 탐방로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통일된 이미지와 운영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통합 운영 체제가 필요하다.

❍ 후속 과제의 필요

본 과제는 지오트레일 제도의 도입 타당성에 대한 기초적 사항을 주로 다루었다. 따라 서 국가 지오트레일 제도를 도입 및 운영 시 필요한 세부 지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국문 자료>

강가령 외. 2014. “부산 국가지질공원의 지질명소와 지질유산의 가치: 지질탐방로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50(1): 21-41.

국립공원관리공단 국가지질공원사무국. 2014. 「한국의 지질공원」.

김남조. 2014. 「지질관광(탐방로) 운영 전략과 실행방안」. 본 연구에 제공한 원고(미발간).

박민영. 2012.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정책을 위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68.

오창현. 2014. 「제주의 지질공원 지질탐방로 운영 및 주민참여 지오브랜드 개발사례」. 본 연구에 제공한 원고(미발간).

이수재. 2010. 「지질공원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수재. 2014.4.21. “국가 지질탐방로 추진동향”.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년도 춘계 지질과 학기술공동학술대회」.

이수재 외. 2008. 「한국의 지질유산 정보구축과 관리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전영권, 2010.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지」 17(4): 1-15.

전용문. 2014. 「제주도 지질공원 및 지질탐방로 운영사례와 정책제언」. 본 연구에 제공한 원고(미 발간).

윤경호, 김남조. 2014. “국가지질공원 지정으로 본 지오투어리즘(Geotourism)의 의미와 역할”.

「제76차 한국관광학회 논문발표대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스토리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추진방안 연구」.

환경부. 2007. 「전국단위 생태탐방로 조성계획(안)」.

환경부. 2013. 「2014년도 국고보조사업 신청지침」.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2008.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2014. 「생태관광 활성화 추진계획」.

<영문 자료>

Bastion, R. De. 1994. “The private sector-threat or opportunity? Ge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Geological Society. London, 391-395.

Boley, B. 2009. “Geotourism in the crown of the continent: Developing and Testing

the Geotourism Survey Instrument (GSI). Ph.D. thesis. University of Montana, 490.

Boley, B., Nickerson, N. and Bosak, K. 2009. “A Critical Examination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otourism and Ecotourism”. 2009 TTRA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Boley, B., N.P. Nickerson. 2010. “Measuring Geotourism: Developing and Testing the Geotraveler Tendency Scale (GTS)”. Journal of Travel Research, October. 20. pp.

1-12.

Dowling, R.K. and D. Newsome. 2006, “The scope and nature of geotourism” in Dowling, R.K. and D. Newsome. Geotourism. Elsevier Ltd. Oxford. pp.4-6.

Dowling, R.K. 2010. “Geotourism Gobal Growth”. Geoheritage, 3: 1-10.

Dowling, R.K. 2013. “Global Geotourism–An Emerging Form of Sustainable Tourism. Czech Journal of Tourism, 2(2): 59-79.

Hose, T.A. 1995. “Selling the story of Britain's ston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May. pp.16-17.

Hose, T.A. 2012. “3G's for Modern Geotourism. Geoheritage. 4: 7-24.

Joyce, E.B. 2006. “Geomorphological sites and the new Geotourism in Australia”

Geotourism Review, pp.5-21.

Newsome, D. and R.K. Dowling. 2010. Geotourism: The Tourism of Geology and Landscape. Oxford: Goodfellow Publishers.

Pralong, J.P. 2006. “Geotourism: A new form of tourism utilising natural landscapes and based on imagination and emotion”. Tourism Review, 61(3): 20-25.

Sadry, B.N. 2009. Fundamentals of Geotourism: with emphasis on Iran. Tehran:Samt Organization publishers, p.220.

Slomka, T. and K. Swiderska. 2004. “Geotourism-the basic concepts”. Geotourism, (1): 2-5.

Stuve, A. M., S. D. Cook, and Drew, D. 2002. “The Geotourism Study : Phase 1 Executive Summary. National Georgaphic Traveller”. Travel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1.

The International Ecotourism Society. 1991. “The Ecotourism Society; An A ction Agenda. In J. A. Kusler ed. Ecotourism and Resource Conservation”. pp.75-79.

Thompson, S. 2007. “Celebrating the Crown of the Continent”. RECM 210 Nature-based Tourism Class. University of Montana Missoula, Montana. Fall 2007.

Weaver, D. 2006. “Sustainable Tourism: Theory and Practice”. Burlington, MA: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ŽŽOFIA KUZEVIČOVÁÁ et al. 2013. “Geocaching - New nontraditional form of tourism”. Acta Geotouristica, 4(1): 27-31.

<온라인 자료>

부산국가지질공원. 2014. 「지질명소별 지오캐싱 좌표」.

http://geopark.busan.go.kr/BoardExecute.do?groupid=00086_/00001&command=

View&idx=7 [2014.8.21].

어스캐싱 홈페이지. http://www.earthcache.org/.

지오캐싱 홈페이지. http://www.geocaching.com.

청송국가지질공원. 2013. 「지질명소 탐방코스」. http://csgeop.kr/kor/sub4-1-2aa.php.

헤드라인제주. 2014.10.1. “제주 김녕, 월정 지질트레일 개통, 용암동굴의 보고”.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947 [2014.10.1].

환경일보. 2014.3.12. “산방산·용머리해안 지질트레일 행사 개최”.

http://www.hkbs.co.kr/?m=bbs&bid=local6&uid=293689 [2014.3.12].

Acta Geoturistica 홈페이지. http://geotur.tuke.sk/.

Arouca Declaration. 2011. 11.12 “Arouca Declaration on Geotourism”,

https://dl.dropboxusercontent.com/u/36358978/News/Declaration_Arouca_%5BEN

%5D.pdf from http://www.europeangeoparks.org/?p=223.

Brandner, R. & Keim, L. 2011. Geotrail Bula-Pufels-Bulla.

https://www.flickr.com/photos/valgardena/5862351993/.

https://www.flickr.com/photos/valgardena/5862361359/.

http://www.provinz.bz.it/natur-raum/service/news-archiv.asp?aktuelles_action

=4&aktuelles_article_id=368809.

Disabled Holiday Info 홈페이지.

http://www.disabledholidayinfo.org.uk/search/searchdetail.cfm?EstID=1107.

Disabled Holiday Info 홈페이지. Haughmond Hill - Bardon Geo Trail.

http://www.forestry.gov.uk/forestry/EnglandHerefordshireTheMarchesHaughmon dHillHaughmondHillCarParkandPicnicSiteWilfredsWalk.

Forestry Commision 홈페이지. Haughmond Hil.

http://www.forestry.gov.uk/pdf/haughmondHillOrienPanel.pdf/$file/haughmond HillOrienPanel.pdf.

Geoconservion Staffordshire 홈페이지. Staffordshire Geotrail. http://srigs.staffs-ecology.org.uk/index.html.

Geoconservion Staffordshire 홈페이지. Hamps and Manifold Geotrail. http://srigs.staffs-ecology.org.uk/Geotrails/HampsManifold/index.html.

Geoconservion Staffordshire 홈페이지. Churnet Valley Geotrail. http://srigs.staffs-ecology.org.uk/Geotrails/Churnet/index.html.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Geotourism 홈페이지. http://www.iagtour.com.

National Geographic 홈페이지.

http://travel.nationalgeographic.com/travel/sustainable/index.html.

Plymouth University 홈페이지. Plymouth University : Campus Geo Trail.

https://www1.plymouth.ac.uk/sustainabilitycommunity/Pages/Geo-Campus-Trail .aspx#.

valgardena-groeden 홈페이지.

http://www.valgardena-groeden.com/en/leisure-activities/mountains-and-hikin g/geotrail-bulla.

Abstract

A Feasibility Study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Geotrail System in Korea.

There are many important geological heritages in Korea and some of them are specially utilized as geosites or geotrails of geoparks which should be certified under the Natural Park Act. Though geoparks are one of the best tools for utilizing the geological heritages to promote the local economy through sustainable tourism, there are several limits to pursue the geoparks;

1) Not all the regions having geological heritages can not be certified as geoparks due to the restriction policy for the total number of national geoparks about 10-12; 2) There are places that have less than 20 geological heritages(geosites) not eligible for the national geopark; 3) Not all the local communities do have the ability to operating the geopark etc. Therefore, we need a complementary ways of utilizing the geological heritages where geoparks are not available. We think geotrail can be good nationwide tools to enhance both the awareness of the geological heritages and their utilization to local economy.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geotrail such as definition, concept, foreign examples, and analysed the difference between eco-tourism and geotourism etc. We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geotrail system for the firm bases of protecting the geological heritages and promoting the local economy.

Regarding this, overall direction, basic principles and operational guidance, demonstration project etc. for the national geotrail system are provided.

Keyword : geotrail, geotourism, geopark, geological heritage, geosite

이수재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이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 E-mail : sjlee@kei.re.kr

주요 논문 및 보고서

「제주 유네스코 국제보호지역 통합관리체계 구축 연구」(2014, 제주도청)

「지질공원 기본계획 및 인증기준 수립방안 연구」(2012, 국립공원관리공단)

「지질공원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2010, 국립공원관리공단) 외.

김종호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 E-mail : kjongho@kei.re.kr

신상철

Texas A&M University 농업경제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현) E-mail : scshin@kei.re.kr

강가령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 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mail : krkang@kei.re.kr

김수연

인하대학교 도시계획 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mail : sykim@kei.re.kr

연구보고서/기본연구

2013-07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이행 및 평가를 위한 지수체계 개발 (안소은)

2011년 2011-01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모형 체계 개발: 정책연계모형개발을 중심으로 Ⅱ (전성우 외)

2010-12 물환경 거버넌스를 위한 의사결정체제 구축Ⅰ (이진희 외)

2014년 2014-01 국내 살생물제(Biocide) 관리법 제정 방안 연구 (박정규)

2012-03 환경영향평가에 적용되는 3차원 소음예측모델의 가이드라인 마련 (선효성 외)

2010-02 Integrated Water Management Model on the Selenge River Basin Phase III (추장민 외)

2010-12 외국의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따른 법적 쟁점 분석 (한상운, 박시원)

2009-02 Integrated Water Management Model on the Selenge River Basin Ⅱ (추장민 외) 2009-03 4대강 살리기 사업지역의 하천 환경현황 분석 방안 연구 (이수재)

2013-03 지자체 적응대책 수립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활용 방안 (정휘철)

2011년 2011-01 수자원 현황 및 영향요인: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김연주, 정은성)

2009-04 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SFA(물질흐름분석) 방법론 적용 연구 (주현수)

2014년 2014-01 중장기 환경전망 및 대응전략-KEI 통합환경모형(Integrated Assessment Model) 연구 (강성원)

2013-06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Ⅰ) (이창훈 외)

2010-05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Ⅱ (안소은 외)

문서에서 국가지질탐방로 도입 방안 연구 (페이지 103-12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