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책과제

문서에서 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페이지 70-79)

○ N/W기반 홈 로봇의 경우, 신제품 개발에 과다한 개발비용 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국내외 비즈니스 파트너와 연구개발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하여야 함.

○ 로봇용 OS 공동개발의 경우, 컴퓨터 OS처럼 로봇제품에도 OS는 필수적이며, 국제 표준 확보가 중요한 과제이며, 글로 벌 시장 지배력이 있는 기업과의 기술제휴를 통한 국제표준 의 확보가 필요함.

○ 청소‧경비로봇의 해외수출을 위해서는 현지 경비업체와 기 술‧판매 협력이 필수적인 바, 예를들어 일본 진출시 SECOM 등과 같은 경비업체와 기업간 협력 추진이 필요함.

<표 Ⅴ-7> 기술개발 주요 장애요인

기술개발 장애요인 5점 척도

전문인력 부족 3.9

기술 및 제품의 정보 부족 3.0

과도한 R&D 비용 3.1

기술 및 제품이 경쟁자에 의해 쉽게 모방됨 3.4 엔지니어링 등 관련 기술의 인프라 부족 3.7

신기술ㆍ제품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부족 3.1

표준 및 지식재산권의 강화 등 제도적 지원 미흡 3.0

경영진의 기술 개발 마인드 부족 3.1

자료:산업연구원 델파이조사, 2006. 11.

<표 Ⅴ-8> 로봇산업 분야의 필요한 정책지원

필요한 정책지원 5점 척도

창업지원 3.6

정부가 주도적으로 원천기술개발 3.7

R&D 자금지원 4.2

시장형성을 위한 표준 및 특허 강화 3.6

전문기술인력의 양성 및 지원 4.2

규제완화 등 시장친화적인 경쟁시스템 구축 3.5

전후방산업 및 관련인프라 지원 3.7

기술 및 시장정보의 제공 3.6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자금 및 토지 지원 3.6 해외 판로 개척지원(FTA 확대, 전시회 지원) 3.5 기업가 정신 고취 등 기업경영 여건 개선 3.1

무역피해 구제제도를 포함한 통상정책 강화 2.9

외국인 투자유치 등 국제협력 강화        3.1 자료:산업연구원 델파이조사, 2006. 11.

○ 한편, 로봇산업의 기술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 및 정책 지원으로는 R&D 자금지원, 전문 기술인력의 양성 및 지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2) 세부 정책과제

1) 정부의 역할

○ 정부의 역할은 선택과 집중의 전략에 의거하여 기술개발 분 야에서는 주요 핵심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과 수요 창출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구체적인 정 보교류를 활성화하고,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과 기반시설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야 함.

○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고 세계시장의 우위를 점유하기 위 해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경쟁력 확보 전략이 요구됨. 정부 는 정밀한 현황분석을 통해 신뢰성 있는 기술개발 로드맵을 구성하고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전략을 수립하여야 함.

— 로봇 개발과 동시에 시장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기술개발 초기단계부터 수요자가 사양, 기능 등을 제시하여 시장 적 응성을 제고시켜 나가도록 유도함.

— 또한 국내기술력 증진을 위해 효율적인 투자계획을 세우 고 연구개발지원의 정책을 계획성 있게 추진함으로써 기 업, 학교, 연구소 등 타 기관의 리더역할을 수행하는데 주

력할 필요가 있음.

○ 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국민들이 상시 로봇을 접하고 체험하 는 기회부족으로 로봇제품의 인지도 및 구매력이 미흡한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한 소비자 체험기회 확대, 판로개척을 위한 전시장 운영으로 인지도 및 수요 창출 확대 방안 강구

□ 제조업용 로봇

○ 선택과 집중에 의한 핵심원천기술개발에 대한 장기적인 재정 지원, 지역적 산업 특성에 따른 지역 산업의 특성화,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에 의한 사업 선정

○ 전문인력 양성, 기반시설 구축지원 등의 인프라 구축에 장 기적인 재정적 지원

○ 신시장 창출을 위한 산업혁신 지원과 해외 시장 개척을 위 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지원

○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제조업용 로봇의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제조업용 로봇의 신규 시장을 발굴

○ 중소기업 구조개선 사업을 통한 국산 로봇 도입 촉진 방안 강구

□ 전문서비스용 로봇

○ 정부차원의 기술개발로드맵 작성 및 개발전략 확립, 집중 지 원을 통한 기술개발의 단기화 추진 등의 기술개발 정책 수립

○ 전문 인력 양성, 기반시설 구축 지원, 공용 평가시험 및 제 작 지원 시설 구축 지원 등의 인프라 구축에 대한 지원

○ 시장 개척을 위해 정부 산하 공공기관에서 전문서비스 로봇 을 시범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경쟁력 있는 신시장 창출을 위한 국제적 마케팅 지원에 대 한 재정적 지원

□ 개인서비스용 로봇

○ 시장개척을 위해 수요자(서비스 업체) 및 공급자(부품, S/W 등)를 포함한 협업화된 기술개발로 시장 창출을 극대화하여 야 하며, 가정용 서비스 로봇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선 진 복지국가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장애인 복지적 측면에서 청소‧경비 로봇 임대 사용을 위한 예산 편성 등이 필요함.

○ 기술개발에 있어서 모든 과제는 관련된 평가기술(신뢰성, 성능, 안전)과 전문가를 육성하여 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ISO/IEC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국제표준화 사업에 선도 역 할을 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 요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성 능 및 사양 규격에 대한 정의 등에 대한 선도적 역할을 하 도록 함.

○ 상품 기획, 연구개발, 생산의 신속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산업시스템 기획 및 로봇기술의 표준화, 개방화를 주도하고, 국제협력, 제도‧법 개선, 인력양성을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추진, 국내 로봇 개발의 테스트 베드화 등의 인프라 구축에

서 선도적 역할을 하도록 함.

○ 로봇 개발에 부족한 부분을 정확히 진단하여 조기에 보완할 수 있는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선진국 시장 및 기술정보를 확보하여 적극적으로 보급하고, 국내 제품 수출 을 위한 창구 구축 및 제도 도입 등의 역할을 하도록 함.

2) 기업의 역할

○ 기술개발에 있어서 제품분야별 국제 경쟁력을 갖는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해 다양한 로봇 적용기술 을 개발하여야 함.

○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과 구축된 기반시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함.

○ 국제 시장개척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업 간의 정보교류를 활성화하여야 함.

□ 제조업용 로봇

○ 기업들은 상품화 기술개발의 선도적 역할을 하여야 하며, 제품의 QCD 전략에 의한 경쟁력 확보에 적극적인 노력을 하여야 하며, 수요자와 공동개발에 의한 친수요자형 제품을 개발하여야 함.

○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과 기반시설 활용의 활성화에 적극 참여하여야 함.

○ 시장 개척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함.

○ 학교 및 연구소와의 연계를 기반으로 기술력을 확보하고, 기업에서는 학‧연과 연계한 기술력 확보 및 전문적인 상품 화 전략을 추진함과 동시에 세계시장의 점유율을 확대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 또한 기업은 광범위한 마케팅과 국제 기업 간 제휴 등을 통해 세계적인 유통망을 형성할 수 있을 것임.

□ 전문서비스용 로봇

○ 기술개발에 있어서 기술의 상품화 전략을 추진하고, 기술이 전 및 제휴 활성화 등을 적극 추진하여야 함.

○ 산‧학‧연 체계의 활성화를 통해 기업차원의 인프라구축 투 자 및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함.

○ 개발상품의 필요성 및 시장성(수요) 분석을 통한 상품화 전 략을 마련하여야 하며, 전략적 국제 마케팅을 통하여 해외 시장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야 함.

□ 개인서비스 로봇

○ 로봇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는 상당히 높으나 고객에게 지불 할 가치가 서비스로봇 가격보다는 낮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 고, 또한 시장 및 이미지가 형성되지 않아 사업의 불확실성 이 높으므로 기술 중심이 아닌 시장‧소비자 중심의 기술 및

제품개발에 주력하여야 함.

— 고객의 요구를 파악한 제품‧기술 개발과 부품 개발 및 SW분야에서 다수의 돌파구가 필요함.

○ 고객이 가정 내에서 자연스럽게 서비스 로봇을 수용하는 시 점에 맞추어 제품을 출하하여야 하며, 초기 시장형성을 위 해 기존 개발기술을 이용(상용화되어 있는 IT 기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하여 단순 기능의 서비스 로봇을 제품화하여 야 하고, 차세대 제품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고기능‧다기 능‧복합기능의 제품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을 병행하도록 하여야 함.

○ 수량 확보 및 부품 가격경쟁력을 위해 부품 공용화‧표준화 에 주력하여야 하며, HW/SW규격의 표준화를 통해 개발 기간 단축 및 국제 협상력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 여야 함.

○ 로봇의 제품만족도 제고를 위해, IT 인프라를 활용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URC를 위한 표준화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함.

○ 새로운 제품의 품질 문제는 초기 시장 형성에 치명적이므로 기업내부 제품인증 제도를 만들어 고객에 대한 신뢰성 확보 가 필요하며, 소비자 중심의 제품 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해 제품 신뢰성 확보에 주력하여야 함.

<참 고 문 헌>

∙과학기술부(2005),「사회복지용 지능 로봇기술 동향」.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02),「인공지능 및 지능로봇기술」.

∙권영일(2005),「서비스 로봇과 산업용 로봇의 사업성 비교분석」, FA journal.

∙산업연구원(2003),「차세대 성장동력 주력기간산업」.

∙산업자원부‧정보통신부(2005),「지능형 로봇산업 비전과 발전전략」.

∙산업자원부,「산업기술 로드맵, 지능형로봇」.

∙산업자원부‧경상남도「경상남도지역산업 기술로드맵, 첨단산업용 로봇 산업」.

∙삼성전자(2004),「지능형 서비스로봇 현황 및 전망」.

∙이지평(2003), 「제조업공동화와 기업의 대응」, LG경제연구원.

∙인간기능 생활지원 지능로봇기술개발 사업단(2006),「차세대 지능로봇 핵심기술」.

∙일본로봇공업회(2001),「21세기에 있어서 로봇 사회 창조를 위한 기술 전략조사보고서」.

∙정만태(2007),「차세대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로봇산업의 투자로드맵」, 산업자원부‧산업연구원.

∙정보통신연구진흥원(2003),「서비스로봇 기술개발 전략수립을 위한 기 획연구」.

∙정보통신연구진흥원(2003),「지능형 서비스로봇 기술개발 전략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2005),「지능형로봇」.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2004),「의료지원용 로봇 기술.

∙한국산업기술재단(2005), 「지능형로봇 산업기술로드맵」.

문서에서 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페이지 70-7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