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로봇산업의 2020 미래상

문서에서 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페이지 43-55)

<표 Ⅳ-1> 제조업용 로봇의 SWOT 분석

강 점 약 점

- 제조업용 로봇 밀도 세계 3위 - 국가 성장동력인 자동차, 조선,

IT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 및 활성화

- 첨단 생산제조 기술력 확보 - 국내 IT 기술력의 국제 경쟁력

확보

- 공급자와 수요자의 협력 관계

- 핵심 부품소재를 해외로부터 수입 - 원천기술 미확보로 설계 기술력 부 족으로 다양한 제품 개발에 애로 - 시스템 통합 엔지니어링 기술력

부족으로 대형 시장 확보에 장애 - 전문 인력, 시설 등 인프라 부족

기 회 위 협

- 국내 시장의 80% 수입 - 산업체 노동력 부족 - 생산설비의 자동화 - 관련 SI 기술 확보 - 소형 틈새시장 공략

- 지역별 산업 특성에 따른 사업 추진

- 국내외 산업성장의 한계로 인한 세계시장의 불안정

- 선진국의 원천기술의 Black-Box

- 선진국의 핵심 부품소재의 독점화 로 국내 수급 불가

- 국내 고급 기술자 부족으로 인한 기술 발전의 한계

□ 전문서비스용 로봇

○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제조업 로봇관련의 풍부한 경험 을 바탕으로 전문서비스용 로봇으로의 기술 확대, 메카트로 닉스 관련 다양한 산업기반과 세계적인 IT인프라 보유국의 강점을 살리고 있음.

— 또한, 10대 성장동력간 연계 등을 통한 시너지 효과와 세 계 전문서비스 로봇시장 규모 증대로 아직 세계 시장이

초기형성 단계임을 감안하면 이 분야의 진출에 대한 절 호의 기회이며, 향후 국내 유망산업으로 자리매김이 될 전망임.

○ 다만 아직까지 기초원천기술 미확보, 기술의 신뢰성 부족, 모듈화, 부품 공유 등 연계성 부족, 전문서비스용 로봇 관련 전문가 부족 등은 꾸준히 개선해 나가야 될 사항임.

<표 Ⅳ-2>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SWOT 분석

강 점 약 점

- 제조업 로봇관련 풍부한 경험 - 반도체, 정밀기계 등 관련기

술 우수

- 메카트로닉스 관련 다양한 산 업기반

- 세계적인 IT인프라 보유 - IT, BT, NT 융합기술 확보

- 니즈에 대응한 기획, 마케팅 부족 - 자본력 취약 및 단기투자 성향 - 제품서비스, 콘텐츠 능력 부족

- 기초원천기술 미확보, 기술의 신뢰성 부

- 모듈화, 부품 공유 등 연계성 부족 - 기술표준 부재

- 전문서비스용 로봇 관련 전문가 부족

기 회 위 협

- 선진국도 로봇시장은 초기상

- 삶의 질 향상, 고령화에 따른 노동인력 확충의 필요성 확대 - 로봇산업에 대한 정부의 육성

정책

- 10대 성장동력간 연계 등 시 너지 효과

- 세계 로봇시장 규모 증대 전망

- 재해에 대한 전반적인 불감증 - 이공계 기피로 인력수급 차질

- 선진국 기술이전 기피, 단기간 기술추월 한계

- 현 기술력과 소비자 기대수준과의 격차 - 사업화 실효성 불투명

- 법적, 제도적 인프라 미비 - 부품소재 무역역조 심화 - 시장 미형성

- 특허회피 방안 부족

□ 개인서비스용 로봇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강점은 메카트로닉스 관련 다양한 산 업기반, 반도체 등 관련 기술 우수 등이며, 약점은 중소기업 위주로 자본력이 취약하다는 점 등임.

○ 기회요인으로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아직 시장 초 기 상황이어서 노력 여하에 따라 선점이 가능

<표 Ⅳ-3>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SWOT 분석

강 점 약 점

- 아파트, 인터넷 등 로봇사용에 용이한 환경

- 반도체, 정밀기계 등 관련기술 우수

- 메카트로닉스 관련 다양한 산업 기반

- 요소부품기술 부족

- 중소기업 위주로 자본력 취약 및 단기투자성향

기 회 위 협

- 노령화, 유비쿼터스 IT 도래 등 성장유망

-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시 장 초기 상황

- 관련 산업의 동시다발적 성장 등 파급효과

- BT, NT 등 국가 중점사업과의 학제적‧융합적 기술 기반으로서 로봇기술을 다양하게 응용 전개 시켜 미래 수요기반 확보

- 선진국은 국가차원의 집중개발 추진

- 선진국의 기술금수 및 정보차단 에 의한 단기간 기술추월에 한계 - 선진국의 기술장벽 강화로 인한

기술적 예속

2) 경쟁력의 변화 전망

○ 원천기술은 미국이 많이 확보하고 있으며, 핵심 부품소재 기술 및 정밀 가공조립 기술은 일본 및 독일이 우위를 확보 하고 있음.

○ 국제시장에 대한 마케팅은 미국, 일본 및 독일이 선점한 상 태이고, 현 시점에서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모든 면에서 불리하나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통해 선진국과 기술 격차를 해소해야 할 것으로 기대됨.

○ 국제시장의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제품 창출과 제품에 대한 철저한 QCD 전략이 필요함.

<표 Ⅳ-4> 로봇산업의 경쟁력 변화(최고 선진국=100)

2005 2010 2015 2020

제조업용 로봇

인력 등 인프라 85 95 100 100

원천기술 90 90 95 100

제품기술 90 95 100 100

마케팅 85 85 95 100

전문서비스용 로봇

인력 등 인프라 85 90 95 100

원천기술 80 85 90 95

제품기술 85 90 95 100

마케팅 75 85 95 100

개인서비스용 로봇

인력 등 인프라 85 90 95 100

원천기술 70 80 90 95

제품기술 85 90 95 100

마케팅 70 80 90 100

자료:산업연구원 실태조사, 2006. 11.

○ 전문서비스용 로봇은 인프라, 원천기술, 제품기술, 마케팅 모든 면에서 현재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상태로 시장경쟁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임.

— 그러나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에 있어 선진국 또한 아직 까지 초기단계라 할 수 있으며, 세계시장에서 입지를 확고 히 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므로 2020년을 목 표로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혀간다면 뒤지지 않는 경쟁력 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2) 시장전망

○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국내 전망을 보면, 국내시장규모는 2005년 기준 5억 3,0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10년에는 8억 5,000만 달러, 2020년 경에는 19억 3,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제조업용 로봇의 생산은 2005년 4억 5,000만 달러, 2020년 경에는 22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국내 전망을 보면, 국내시장규모는 2005년 기준 2,0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10년에는 8,000만 달 러, 2020년 경에는 6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은 제조용 로봇이나 개인서비스용 로봇에 비해 수요확보 및 시장형성이 늦어지고 있으나 각 로봇산업 간의 상호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술력이 향상되고

<표 Ⅳ-5>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국내 시장전망

단위:백만 달러, 천명, %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가율

2005~2010 2010~2020 국내시장 530 850 1,370 1,930 9.9 8.5

생산 450 800 1,440 2,200 12.2 10.6

부가가치 157 280 504 770 12.3 10.6

고용 2.8 5.0 9.0 13.8 12.3 10.7

수출 110 210 430 700 13.8 12.7

수입 190 260 360 430 6.5 5.2

<표 Ⅳ-6>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국내 시장전망

단위:백만 달러, 천명, %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가율

2005~2010 2010~2020

국내시장 20 80 280 640 31.9 23.1

생산 6 30 150 390 38.0 29.2

부가가치 2.4 12 60 156 38.0 29.2

고용 0.4 1.9 9.4 24.3 36.6 29.0

수출 0 10 70 220 - 36.2

수입 14 60 200 470 33.8 22.9

인프라가 확립됨에 따라 성장률 또한 단계적으로 크게 증 가할 것으로 기대됨.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국내 전망을 보면, 국내시장규모는 2005 년 기준 5,0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10년에는 2억 4,000만 달 러, 2020년 경에는 19억 7,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생산은 2005년 3,000만 달러, 2020년 경에는 31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표 Ⅳ-7>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국내 시장전망

단위:백만 달러, 천명, %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가율

2005~2010 2010~2020

국내시장 50 240 890 1,970 36.9 23.4

생산 30 300 1,240 3,160 58.5 26.5 부가가치 10.5 105 434 1,106 58.5 26.5

고용 0.2 1.9 7.7 19.7 56.9 26.3

수출 18 130 590 1,460 48.5 22.6

수입 38 70 240 270 13.0 11.8

(3) 세계 속의 위상

○ 국내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을 보면, 시장규 모면에서 세계시장의 9.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 비중은 2020년경에는 14.4%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을 살펴 볼 때, 시 장규모에서는 2005년 약 0.5%의 비중에서 2020년경에는 약 2.1%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국내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규모는 미국, 일본, 독일 등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나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신 시장을 개척하고 그 만큼의 기술력이 밑받침된다면 2020 년 세계시장에서의 비중 달성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됨.

○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을 볼 때, 2005년

<표 Ⅳ-8>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

단위:백만 달러, % 2005 2010 2015 2020

시장규모

세계 5,330 7,440 10,193 13,324

한국 530 850 1,370 1,930

비중 9.9 11.4 13.4 14.4

생산규모

세계 5,330 7,440 10,193 13,324

한국 450 800 1,440 2,200

비중 8.4 10.8 14.1 16.5

수출

세계 4,264 5,952 8,154 10,659

한국 110 210 430 2,000

비중 2.6 3.5 5.3 6.5

<표 Ⅳ-9>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

단위:백만 달러, %

2005 2010 2015 2020

시장규모

세계 4,200 9,327 19,000 30,288

한국 20 80 280 640

비중 0.5 0.9 1.5 2.1

생산규모

세계 4,200 9,327 19,000 30,288

한국 6 30 150 300

비중 0.1 0.3 0.8 1.0

수출

세계 420 1,865 5,700 15,144

한국 0 10 70 130

비중 0 0.5 1.2 1.5

세계시장 규모의 약 2% 수준에서 2020년경에도 약 7.0%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표 Ⅳ-10>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

단위:백만 달러, %

2005 2010 2015 2020

시장규모

세계 2,550 7,938 19,800 28,162

한국 50 240 890 1,970

비중 2.0 3.0 4.5 7.0

생산규모

세계 2,550 7,938 19,800 28,162

한국 30 300 1,050 2,800

비중 1.2 3.8 5.3 9.9

수출

세계 510 2,381 9,900 22,529

한국 18 130 300 1,000

비중 3.5 5.5 6.0 6.5

(4) 관련산업 고도화의 미래상

○ 국내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발전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기반 산업인 자동차, 조선해양, IT 산업에 있어서 국제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함과 동시에 국내 기계부품 및 소재산업의 고도화 및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향후 전문서비스용 로봇은 특수한 사용 목적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관련산업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됨. 연계기관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상호협력 체계 확립과 기반기술의 공유, 이전 등의 연구개발 활성화 전략을 통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극복할 수 있을 것임.

— 기술경쟁력과 고도의 마케팅 전략에 기반한 세계시장점유

율 증가는 물론 국제 상위 수출국으로 성장하여 국내 기 업의 세계적 이미지 상승효과를 도출할 것으로 예상됨.

○ 국내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은 산‧학‧연 연계를 강화하여 기업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갖추 어 선진국 기업과의 기술격차를 해소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 며, 의료기기 산업, 실버산업, 우주산업, 국방산업 등과 관련 된 산업이 활성화되어 국가 성장동력 산업으로 성장할 것으 로 예상됨.

○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은 고부가가치 로봇산업으로 발전하 여 세계 3대 로봇생산국으로의 도약이 예상되며, 로봇 부품, 로봇 S/W, 로봇 콘텐츠 산업 등도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 됨.

□ 제조업용 로봇

○ 제조업용 로봇산업은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 구조개편이 될 뿐만 아니라 대기업형에서 중소기업형으로 전환이 이루 어지고, 또한 연구개발 위주의 산업구조로 개편될 것이며, 이에 따른 관련 산업, 자동차, 선박, IT 산업, 바이오‧신약 산업은 무인 자동화 생산체제 도입으로 고효율 생산체제로 전환하게 되며, 특히 부품소재 산업의 고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 제조업용 로봇산업은 세계 3대 로봇 생산국으로 도약하게 되고, 또한 다양한 첨단 제조업용 로봇 수출국으로 발전할

문서에서 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페이지 43-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