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Copied!
7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미시산업통계」

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책임집필 정 만 태

2007. 8.

(2)

<차 례>

Ⅰ. 서론 : 산업의 범위와 발전의 필요성 ··· 1

1. 개념과 등장 배경 ··· 1

2. 연구의 범위 설정 ··· 4

3. 발전의 필요성 ··· 7

4. 작업 추진 방법 ··· 10

Ⅱ. 기술발전의 전개방향과 기술경쟁력 전망 ··· 11

1. 기술발전의 미래 전개방향 ··· 11

2. 선진국의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 16

3. 우리나라 기술개발 동향과 기술경쟁력 전망 ··· 21

Ⅲ. 세계시장 및 국제분업 전망 ··· 29

1. 세계시장 전망 ··· 29

2. 국제분업 동향과 전망 ··· 33

Ⅳ. 우리나라 로봇산업의 2020 발전비전 ··· 38

1. 로봇산업의 2020 미래상 ··· 38

2. 기술로드맵 ··· 50

Ⅴ.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 54

1. 기본 발전방향 ··· 54

2. 세부 발전전략 ··· 59

3. 정책과제 ··· 65

<참고문헌> ··· 73

(3)

<표 차 례>

<표 Ⅰ-1> IFR 로봇 분류 ··· 4

<표 Ⅰ-2> 로봇산업의 자문위원단 ··· 10

<표 Ⅱ-1> 제조업용 로봇의 국내 기술수준 ··· 12

<표 Ⅱ-2>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국내 기술수준 ··· 12

<표 Ⅱ-3>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국내 기술수준 ··· 13

<표 Ⅱ-4> 제조업용 로봇의 미래 기술발전 속도 및 단계 전망 ··· 14

<표 Ⅱ-5> 전문‧개인서비스용 로봇의 미래 기술발전 속도 및 단계 전망 ··· 15

<표 Ⅱ-6> 제조업용 로봇의 적용 분야별 기술경쟁력 전망 ··· 26

<표 Ⅱ-7>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적용 분야별 기술경쟁력 전망 ··· 27

<표 Ⅱ-8>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적용 분야별 기술경쟁력 전망 ··· 28

<표 Ⅲ-1> 로봇산업의 세계시장 전망 ··· 30

<표 Ⅲ-2>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주요 지역별‧국별 시장 전망 ··· 31

<표 Ⅲ-3> 전문서비스 로봇산업의 주요 지역별‧국별 시장 전망 ··· 32

<표 Ⅲ-4> 개인서비스 로봇산업의 주요 지역별‧국별 시장 전망 ··· 32

<표 Ⅲ-5> 로봇 분야별 주요 국가와의 협력 관계 전망 ··· 34

<표 Ⅲ-6> 제조업용 로봇산업 분야의 주요 기업의 동향과 전망 ··· 35

<표 Ⅲ-7>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 분야의 주요 기업의 동향과 전망 36 <표 Ⅲ-8> 개인서비스 로봇산업 분야의 주요 기업의 동향과 전망 ··· 37

<표 Ⅳ-1> 제조업용 로봇의 SWOT 분석 ··· 39

<표 Ⅳ-2>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SWOT 분석 ··· 40

<표 Ⅳ-3>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SWOT 분석 ··· 41

<표 Ⅳ-4> 로봇산업의 경쟁력 변화(최고 선진국=100) ··· 42

<표 Ⅳ-5>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국내 시장전망 ··· 44

<표 Ⅳ-6>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국내 시장전망 ··· 44

<표 Ⅳ-7>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국내 시장전망 ··· 45

<표 Ⅳ-8>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 ··· 46

(4)

<표 Ⅳ-9>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 ··· 46

<표 Ⅳ-10>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세계 속의 위상 ··· 47

<표 Ⅴ-1>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분야별 잠재적 제휴대상 업체 ··· 61

<표 Ⅴ-2>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제휴형태 및 기대효과 ··· 61

<표 Ⅴ-3>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분야별 잠재적 제휴대상 업체 62 <표 Ⅴ-4>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제휴형태 및 기대효과 ··· 63

<표 Ⅴ-5>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분야별 잠재적 제휴대상 업체 64 <표 Ⅴ-6>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제휴형태 및 기대효과 ··· 64

<표 Ⅴ-7> 기술개발 주요 장애요인 ··· 66

<표 Ⅴ-8> 로봇산업 분야의 필요한 정책지원 ··· 66

(5)

<그림 차례>

<그림 Ⅳ-1>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제품기술별‧핵심기술별 기술로드맵 ··· 50

<그림 Ⅳ-2>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제품기술별‧핵심기술별

기술로드맵 ··· 52

<그림 Ⅳ-3>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제품기술별‧핵심기술별

기술로드맵 ··· 53

(6)

Ⅰ. 서론:산업의 범위와 발전의 필요성

1. 개념과 등장 배경

○ 로봇산업은 로봇을 생산하는 로봇제조 산업, 로봇부품 및 관 련 소재산업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반 로봇응용, 로봇응용 S/W, 서비스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관련산업으로 정의함.

○ 제조업용 로봇산업은 제조 현장에서 부품‧소재의 입고부터 시작하여 제조 전공정 및 출하까지의 작업공정에 적용되는 로봇을 생산하는 산업임.

— 제조업용 로봇의 기구부, 구동기, 제어기 및 센서에 관련 된 부품‧소재 산업을 포함

— 최근에는 무인화 제조 설비 및 반도체 생산 장비의 일부 를 포함하여 제조업용 로봇산업이라고도 함.

○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등장 배경을 보면, 직교 로봇의 경우 NC 공작기계 및 자동화 장비의 출현과 더불어 산업 현장에 등장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함.

— 6축 다관절 로봇은 1954년에 특허 출원이 된 후 1964년

(7)

미국 Unimation Inc에서 최초로 제작하였음.

— 현재 제조업용 로봇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전문서비스 용 로봇 및 개인서비스용 로봇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

— 로봇의 산업현장 도입을 보면, 초창기에는 대량생산체제에 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단순반복 작업 및 3D 작업에 주 로 도입되었으나, 최근에는 노동력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음.

○ 전문서비스용 로봇은 IFR 분류와 정의에 의하여 비제조업 용 로봇으로 사람의 복지, 특정한 시설이나 특수목적에 유 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생산하는 산업을 말함.

—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기구부, 구동기, 제어기 및 센서에 관련된 부품‧소재 산업을 포함함.

— 정형화되지 않은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높은 지능이 요구되며, 적용분야가 다양하고 특수한 용도로 사 용되기 때문에 다기능성, 안전성 등이 요구됨.

○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등장 배경을 보면 기존 제조업용 로봇의 경우 사고의 위험 때문에 별도의 격리된 작업공간에 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작업 요구 조건의 다양화 및 전문성에 부응하는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필요성이 확대됨.

— 극한 환경, 특수작업 환경 등에서의 전문노동력 대체 및

(8)

인명 보호를 위한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필요성이 확대됨.

— 고난이도 수술에 있어서 전문의 부족, 의료사고 방지 및 수술의 용이성 등의 요구 증대와 수요 확대로 수술용 로 봇 등의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필요성이 요구됨.

○ 개인서비스용 로봇은 개인의 건강, 교육, 가사, 안전, 정보제 공 등의 서비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로봇을 생산하는 산 업임.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기구부, 구동기, 제어기 및 센서에 관련된 부품‧소재 산업을 포함함.

— 청소 및 경비, 여가 지원용(오락, 애완, 헬스케어, 게임 등), 노인‧재활지원(간병, 장애자 보조, 재활훈련 등), 교육용 (연구용, 가정교사), 가사지원(심부름, 조리, 제초 등)의 분 야에 활용됨.

○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등장 배경은 다음과 같음.

— 가족구조의 핵가족화와 고령화 현상으로 인한 간호‧간병 서비스의 필요와 가족의 일원으로서의 가정용 로봇의 욕 구가 증대됨.

— 시간적 여유와 고독에 따른 감성을 소유한 대상자의 필요 에 따른 로봇 개발의 욕구가 대두됨.

— 풍요와 여유에 대한 욕구의 보완으로 가사보조, 청소, 조

(9)

리 로봇이 등장하게 됨.

— 디지털 가전, 제조업용 로봇 등의 기존산업의 발달과 더불 어 차세대 정보산업의 발달(IT, BT)이 개인서비스 로봇의 등장을 가속화시킴.

2. 연구의 범위 설정

○ 로봇의 세부 산업범위를 분류하면 크게 제조업용 로봇, 개인서 비스용 로봇, 전문서비스용 로봇으로 분류됨(IFR 분류 참조).

□ 제조업용 로봇

○ 가공 및 조립공정 분야의 초창기에는 대량생산체제를 갖춘 전자제품,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단순 가공‧조립 공정 작업 에 적용되었음.

<표 Ⅰ-1> IFR 로봇 분류

로봇 분류 세부 용도별 분류

제조업용 로봇 manufacturing

전문서비스용 로봇

field, cleaning, inspection

construction, logistics, medical, military, rescue, security, underwater, humanoid

개인서비스용 로봇 home tasks, entertainment (toy, hobby), handicap assistance

(10)

— 최근에는 고속 정밀화 및 지능화 기능을 갖추고 다양한 형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적용영역의 범위를 확대하 고 있음.

○ 용접 및 도장공정 분야의 초창기에는 주로 자동차 생산라인 의 스폿 용접공정에 많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레이저 용 접공정에도 적용되고 있음.

— 특히,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등장하여 선박제조의 용접 및 도장 공정에 적용되어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음.

○ 물류 및 핸들링 공정 분야의 초창기에는 기계가공라인이나 가전제품 생산라인에서 직교 로봇에 의해 핸들링 작업이 많 이 이루어졌음.

— LCD,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6축 다관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등장하여 고중량물이나 다양한 형태의 공 작물을 핸들링할 수 있음.

○ 제조업용 로봇의 기능에서도 고속정밀화, 지능화가 이루어 져 바이오(bio)나 신약 제조 공정과 같은 복잡한 작업의 경 우에도 제조업용 로봇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전문서비스용 로봇

○ 재난극복 로봇 분야에는 화재감시 및 진압 로봇, 매몰자 수 색로봇, 구조물 검사 로봇, 수중인명 탐색‧구조 로봇 등이 있음.

(11)

○ 군사용‧사회안전 로봇 분야에는 정찰로봇, 전투 로봇, 병사 지원 로봇, 화생방 로봇, 지뢰‧폭발물 처리 로봇, 스마트 경 비 로봇 등이 있음.

○ 활선작업용 로봇 분야는 전선로 전선 보수 로봇, 애자 검사‧

청소 로봇, 불량애자‧금구류 교체 로봇 등이 있음.

○ 건설작업용 로봇 분야는 대형구조물 외벽작업 로봇, 터널유 지보수 로봇, 관로 매설 및 검사‧보수 로봇, 콘크리트 평면 타설‧바닥마감 로봇, 조선선박 배관 및 탱크 검사 로봇 등 이 있음.

○ 의료용 로봇 분야에는 수술 로봇, 진단 로봇, 재활 기능지원 시스템, 지능형 개인맞춤 의약 로봇, 신약개발 로봇 등이 있 음.

□ 개인서비스용 로봇

○ 청소 및 경비 로봇 분야에는 고성능 청소로봇, 원격제어‧모 니터링 로봇, 침입감지 경비로봇, 자기방어 경비로봇, 홈 네 트워크 연동 청소‧경비로봇 등이 있음.

○ 여가지원 로봇 분야에는 건강 모니터링‧케어 지원로봇, 인 간로봇 인터렉션에 의한 오락지원 로봇, 자세교정 및 상호 작용에 의한 운동지원 로봇 등이 있음.

○ 노약자 재활지원 로봇 분야에는 지능형 보행보조 로봇, 노 약자 건강관리 로봇, 노약자 생활지원 로봇 등이 있음.

(12)

○ 교육용 로봇 분야에는 학습보조 로봇, 가정교사용 로봇 등 이 있음.

○ 가사지원 로봇 분야에는 단순서비스형 가사지원 로봇, 지능 형 가사지원 로봇 등이 있음.

3. 발전의 필요성

○ 제조업의 발전 및 다양화, 정보‧지능화와 관련된 전후방 산 업에 대한 파급 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의 창출, 기존 시장 확대 및 신시장 창출로 제조업용 로봇에서부터 서비스 용 로봇에 이르기까지 시장의 급격한 증가가 예측됨.

○ 고속정밀화, 지능화 기술 발전에 의한 신기술 창출과 IT, NT, BT 발전에 의한 기술의 융합화로 인한 고부가가치 로 봇산업으로의 접목이 증가됨.

○ 전문작업의 수요증대, 고령화로 인한 노동인력 및 전문인력 의 감소, 인간의 편의성 제공에 대한 수요증가, 인간의 복지 증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됨.

□ 제조업용 로봇

○ 산업‧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산업현장의 혁신화에 의한 신개 념 생산체제를 도입하여 차세대성장동력으로서 국제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필요함.

(13)

— 기존 시장 확대 및 신시장 창출, 제품의 QCD(Quality Cost Delivery)에 의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함.

○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고속정밀화, 지능화 기술 발전에 의한 신기술 창출과 IT, NT, BT 발전에 의한 기술의 융합화, 돌 파(Break-Through) 기술에 의한 다양한 고기능의 로봇 출 현을 위해 필요함.

○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는 고령화에 의한 산업현장 노동력 부족에 대처하고, 열악한 작업현장에서 산업재해 예방, 과도 한 노동력에서 탈피하여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함.

□ 전문서비스용 로봇

○ 산업‧경제적인 측면에서는 IT, RT의 결합으로 정보‧지능화 와 관련된 전후방 산업에 대한 파급 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의 창출을 위해 필요하며, 중국 등 후발국의 경쟁력 급 부상에 따른 대응 및 시장 선점을 위해 필요함.

○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IT, NT, BT 발전에 의한 기술의 융 합화로 고부가가치 신기술에 대한 국가투자의 효용성 증대 를 위해 필요하며, 활용목적에 따라 개발되는 전문기술에 대한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의 확대를 위해 필요함.

○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는 고령화 및 노동인력 감소에 대한 문제의 해결책으로도 필요하며, 극한 환경으로부터의 인명

(14)

보호,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함.

□ 개인서비스용 로봇

○ 산업‧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디지털 홈과 연계되어 고부가가 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며,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의 경쟁력 을 확보하고, 기존 시장 확대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해 필요 함.

○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정보통신의 혁명과 기술혁신 등에 따 른 기계, 전자, 반도체 등 메카트로닉스의 요소기술을 기반 으로 메커니즘, 제어, 시각인식, 음성인식, 환경인식 등 지능 화의 필수적 기술 연계로 지능형 신기술에 대한 국가투자의 효용성 증대를 위해 필요함.

— 기계산업과 정보통신산업의 상호작용에 의해 시너지 효과 를 발휘할 수 있는 복합 첨단기술로서 IT, NT, BT 발전 에 의한 기술의 융합화를 위해 필요함.

○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사회구조와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고령화에 의한 노동력 부족을 대비하는 인간공존형 로 봇의 출현이 필연적이며, 삶의 질 향상 등 국민 복지향상의 핵심적 역할 수행을 위한 서비스의 수요증대를 위해서 필요 함.

(15)

4. 작업 추진 방법

○ 로봇산업의 연구는 해당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들의 자문과 연구참여를 통하여 로봇산업의 유망품목을 점검하고 2020년의 발전비전을 수립함.

— 유망산업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업계 등 관련 전문인력으 로 구성된 자문위원들과 연구자문,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의견을 수집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수립함.

— 자문위원 및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서 작성, 수시 의견청취 등을 병행하고 해당업체의 현장실사도 추진함.

<표 Ⅰ-2> 로봇산업의 자문위원단

성 명 소 속 비고

박경택 박사 한국기계연구원 자문위원장

이민철 교수 부산대학교 자문위원

김종현 실장 유진로봇 자문위원

정만태 연구위원 산업연구원 간 사

(16)

Ⅱ. 기술발전의 전개방향과 기술경쟁력 전망

1. 기술발전의 미래 전개방향

(1) 세계수준에서 해당 기술의 현 위상

○ 국내 로봇산업의 기술은 기술항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 며, 제조업용 로봇의 경우에는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평균 85 정도에 육박하고 있으나, 구동부의 부품소재 항목은 70 정도로 다소 취약한 분야임.

○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평균 80 정도에 이르고 있으나, 지능형 상호작용, 센서부, 구동부 항 목은 70 정도로 다소 취약한 분야임.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에는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평균 84 정도에 이르고 있으나, 구동부의 부품소재의 경우 70 정 도로 다소 취약한 분야임.

(17)

<표 Ⅱ-1> 제조업용 로봇의 국내 기술수준

기술 항목 최고기술

보유국

최고기술 대비 국내 수준

국내 기술 취약 분야 설계 기술 독일, 일본 80 로봇구조 해석‧설계‧SW

구동 메커니즘 설계 제조(생산) 기술 독일, 일본 90 부품 설계, 정밀가공‧조립

소음‧진동 문제 구동부 독일, 일본 70 서보 모터, 각종 센서,

로봇 제어기 소재의 경량화 적용 기술 미국, 일본 90 레이저 용접, 특수도장,

정밀조립 자동화 SI 기술

지능화 기술 미국, 일본 80 작업환경 인식기술

고속정밀 제어기술

<표 Ⅱ-2>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국내 기술수준

기술 항목 최고기술 보유국

최고기술 대비 국내 수준

국내 기술 취약 분야

명령입출력 미국, 일본 80 Haptic 장치, 감성명령, 생체신호 처리, 지능형 입력장치, 통신 지능형

상호작용 미국, 일본 70 인공지능, 대화, 접촉(터치) 비접 촉(거리)

감지 및

인식 미국, 일본 85 시각, 청각, 후각, 촉각, 위치인식

센서부 미국, 독일,

일본 70 CCD, CMOS, 자이로, 적외선, 마 이크로폰 등

구동부 일본, 스위스 70 구동기, 감속기 기구부 미국, 독일,

일본 80 이동기구, 팔, 손목, 관절, 눈 등 제어부 미국, 일본 90 주행, 보행, 지능, Manipulator 등

(18)

<표 Ⅱ-3>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국내 기술수준

기술 항목 최고기술 보유국

최고기술 대비 국내 수준

국내 기술 취약 분야

명령입출력 미국, 일본 80 감성명령, 생체신호처리, 지능형 입 력장치, 통신

지능형

상호작용 미국, 일본 90 인공지능, 감성재현, 대화, 접촉(터치) 비접촉(거리)

감지 및

인식 미국, 일본 90 시각(얼굴‧제스처, 패턴인식), 청각, 후각, 촉각, 위치인식 등

센서부 미국, 독일,

일본 80 CCD, CMOS, 자이로, 적외선, 마이 크로폰 등

구동부 독일, 일본 70 서보 모터, 각종 센서, 로봇 제어기 소재의 경량화

기구부 미국, 독일,

일본 85 이동기구, 팔, 손목, 관절, 눈 등 제어부 미국, 일본 90 주행, 보행, 지능, Manipulator 등

(2) 미래 기술발전 속도 및 단계 전망

○ 지능의 발전은 CPU의 계산능력과 함께 인간의 육감과 관 련된 센서, 환경인식기술, 제어기술의 발전이 동시에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됨.

○ 대부분의 로봇은 지능과 함께 필요로 하는 동작을 구현하여 야 하는데, 여기에는 반드시 소형 고효율 구동기가 필요하 며, 이에 대한 발전이 로봇 발전에 있어서의 최대 핵심 사 안이 될 것으로 예상됨.

(19)

<표 Ⅱ-4> 제조업용 로봇의 미래 기술발전 속도 및 단계 전망

2005 2010 2015 2020

본체 싱글 암 싱글 암

듀얼 암 듀얼 암 듀얼 암 제어기 전용기 PC 베이스

개방형

Module화 분산제어

Module화 분산제어

핸드 전용

그리퍼 타입

전용 그리퍼 &

4 핑거 타입 5 핑거 타입 5 핑거 타입

응용기술 용접, 가공, 조립, 물류

특수도장, 정밀조립

미세 초정밀 가공‧조립

미세 초정밀 가공‧조립 바이오 조작 사용 환경 Highly

Structured

Semi Structured

Loosely

Structured Natural

로봇구조 형태 고정형 고정형

Mobile 형

고정형 Mobile 형

이동형 Humanoid

타입 계산능력

(MIPS) 103 104 104 105

지능화 수준 4살 어린이

수준 도마뱀 수준 도마뱀 수준 생쥐 수준 고속화 기술 6 m/s 10 m/s 15 m/s 20 m/s

정밀화

(반복정밀도) ±0.1 mm ±0.05 mm ±0.05 mm ±0.01 mm 부품소재 BLDC,

AC서보모터

기구부의 경량화

소형 고효율

모터 신소재

(20)

<표 Ⅱ-5> 전문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미래 기술발전 속도 및 단계 전망

2005 2010 2015 2020

지능

기호중심‧행동 기반에이전트

기술

다중에이전트 협동 및 진화기술, 언어적 번역, 비언어적 번역

인간사고 모방학습 및

추론기술

매체 혹은 공동체 생활을

통한 독립적 학습능력

휴먼ㆍ로봇인 터페이스

음성 인식‧

합성, Haptic 인터페이스

초보적

감성인식‧표현 감성인식‧표현 감성인식‧

표현의 다양화

감지 시각정보처리 촉각정보처리, 후각정보처리

센서융합 및 특정환경 이해

센서융합 및 불특정 다수의

환경 이해

제어

초보적 자율이동‧보행,

원격조작

자율 이동‧

보행

네트워크 통신 기반의

실시간 원격제어

네트워크 통신 기반의 실시간 원격 통합 제어

센서‧구동 메커니즘

위치감지센서, 시각센서

촉각‧후각센서, 고출력밀도

구동기

생체 모방형 메커니즘

향상된 생체 모방형 메커니즘

시스템통합 개방형

분산제어시스템

로봇운영시스 템‧미들웨어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계시스템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계

통합시스템

(21)

2. 선진국의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1) 제조업용 로봇

○ 정부정책 측면에서 일본은 ATR에서 인간지능을 연구하기 위한 Dynamic Brain이라는 휴먼노이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제조업용 로봇은 기업에 일임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음.

— 독일은 제조업용 로봇에 대해 국가적인 지원으로 원천기 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 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조업용 로봇을 개발 중이며, 특히 DLR에서 듀얼암 로봇을 개발하여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 으며, EU의 Cognitron Project에도 참여하고 있음.

— 미국은 DARPA/NSF에서 인간-로봇 상호작용에 대한 연 구와 로봇 지능화 기술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으며, 특히 NASA 등에서 우주공간에서 사용될 우주용 지능로봇 개 발 등에 중점을 두고 있음.

○ 기업기술 경쟁 측면에서 일본은 주요 업체의 경쟁강도 심화 에 따른 구조 조정이 예상되며, 대기업형 산업에서 중소기업 형 산업으로 전환하는 과도기로 볼 수 있으며, 특히 휴먼노 이드 및 듀얼암 로봇의 상용화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음.

— 독일은 기술개발 주체와 사업화 주체가 분리되어 있으며,

(22)

최근 기술적으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책연구 소에서 듀얼암 로봇의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음.

— 미국은 대외 경쟁력을 상실하여 자국 시장에 안주하거나 유럽회사와 합병된 형태가 많으며, 특히 원천기술과 지적 재산권은 많이 보유하고 있으나 상품화에는 경쟁력을 상 실한 실정임.

○ 향후 전망으로는 일본은 자국내 기업의 구조조정을 통한 산 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기업형 산업에서 중소기업형 산업으로 전환될 것이며, 특히 초정밀 소형 로봇 개발에 집 중 투자를 할 것으로 전망됨.

— 독일은 정부 정책적인 지원으로 제조업용 로봇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원천기술 확보로 세계 로봇시 장을 주도할 것임.

— 미국에서는 학습 알고리즘에 의한 지능화 기술 실현에 투 자를 할 것이며, 제조업용 로봇의 경우 국제 경쟁력을 상 실한 관계로 원천기술 보유에 의한 지적재산권의 확보에 중점을 둘 것으로 전망됨.

(2) 전문서비스용 로봇

○ 정부 정책에 있어서 미국은 에너지성, 국방성, NASA, DARPA 등 주요 정부기관 협력 하에 구성된 로봇 및 지능기계 협력

(23)

위원회에서 3세대 지능로봇 기술 개발에 향후 5년간 1억 달 러의 기술개발자금 지원 계획(2003년 기준)을 수립함.

— 또한 미국에서는 국방성 산하 DARPA 주관 하에 무인 정 찰기와 항공기 등 군사용 로봇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일본은 비제조업 분야의 로봇 연구개발에 다양한 정부 주 도의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며, 통산성의 주도 하에 인간형 로봇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2001년 “21세기 로봇 챌린지”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였음.

— 인간 생활과 밀접하게 정의된 광의의 지능로봇에 대한 새 로운 시장 및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유럽은 범유럽 로봇틱스 네트워크인 EURON을 통해서 2003년부터 로봇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기업기술 경쟁 측면에서 미국은 로봇 분야 연구 인력과 기 술력이 세계적 수준이며, 특히 기초 과학 분야의 연구비 총 액은 일본의 약 10배로 추정되며, 미국의 로봇 기업은 핵심 기술을 대학과 연구소와의 연계를 통한 로봇 상품화에 중점 을 두고 있음.

— 일본에서는 미국에 비해 로봇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가지마 건설, 다케나카 공무점의 건설용 로봇, NTT의 통 신선 보수 로봇 등의 다양한 로봇이 연구 개발되고 있음.

— 유럽에서는 스웨덴의 린셰핑 대학이 사람의 혈관 속에서

(24)

간단한 수술을 할 수 있는 초소형 로봇을 개발 중이며, 스 위스의 신경정보학 연구소에서는 인공지능 기술개발을 위 한 시각칩, 청각칩 등을 개발 중임.

— 특히 독일의 orto-MAQUET에서는 CASPAR라는 수술용 로봇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독일의 Situated Artificial Communicators 연구 그룹은 로봇의 인공지능 구현에 대 한 연구를 수행 중이며, 프라운 호퍼 연구소에서는 하수관 청소용 로봇 등 다양한 용도의 로봇들을 개발 중에 있음.

○ 향후 전망에 있어서 미국은 지능형 의료서비스 및 군사용 전문서비스 로봇의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음. 특히 다양한 환경인식, 행동결정, 자율주행 등을 가능케 하는 인공지능 기술과 인간-기계 상호 장치의 개발을 핵심으로 간주하고, 관련 분야의 요소 기술과 사회적, 심리적 영향 등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할 것으로 전망됨.

— 일본에서는 정부의 지능형 로봇 개발 정책 중의 하나로 건설작업, 재난극복 및 인명구조 로봇 등과 관련된 로봇분 야의 개발과 상용화에 역점을 두고, 극한환경 및 위험한 환경에서도 인간과 유사한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휴먼 노이드형 로봇을 개발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할 것 으로 전망됨.

— 유럽의 경우 로봇산업을 차세대 핵심전략산업으로 선정하 여 기존의 간호보조, 노약자, 장애자 재활분야의 강점을

(25)

IT기술 접목을 통한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분야로 확 대하기 위해 범유럽 차원에서 추진이 전망됨.

(3) 개인서비스용 로봇

○ 정부정책에 있어서 유럽은 로봇산업을 차세대 핵심 전략산업 으로 선정하여 범유럽 차원에서 기술개발 추진, 기존의 간호 보조, 장애자 재활분야의 로봇 개발 강점을 IST(Information Society Technology) 프로그램으로 확대하여 IT 기술 접목 을 통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일본은 통산성 주도하에 인간형 로봇 프로젝트를 진행 하고 있으며, 총무성은 2002년부터 기업 컨소시엄을 중 심으로 “네트워크 로봇의 실현을 위하여”라는 주제로 네트워크를 융합한 개념의 로봇을 기획하여 개발을 추 진하고 있음.

○ 기업기술 경쟁에 있어서 미국은 기초기술 기반이 매우 튼튼 하며, 생명공학, 전자, 항공우주 등의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요소 기술과 우수한 기술개발 인력을 확보하여 지 능로봇 기초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재활, 의료 등 서비스 로봇 분야의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음.

— 유럽에서는 독일 국립정보기술센터와 스위스 제네바 대학 등 10개 연구기관이 협력하여 시각을 구비한 지능형 로봇 개발을 추진(VIGRO)하고 있음.

(26)

— 일본은 혼다의 Asimo와 소니의 AIBO 및 Qrio 등으로 대 표되는 일본의 지능로봇 산업은 자국의 기계, 전자, 엔터 테인먼트 분야의 강력한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로 봇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향후 전망에 있어서 미국은 지능형 로봇의 개발에 인공지능 기술과 인간-기계 상호작용 장치의 개발을 핵심 분야로 간 주하고, 관련 분야의 요소 기술과 사회적, 심리적 영향 등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시작하고 있음.

— 유럽은 로봇산업을 차세대 핵심전략산업으로 선정하여 기 존의 간호보조, 노약자, 장애자 재활분야의 강점을 IT기술 접목을 통한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분야로 확대하기 위해 범유럽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음.

— 일본로봇공업협회는 2010년경 일본의 개인용 로봇의 수요가 급증하여 향후 로봇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3. 우리나라 기술개발 동향과 기술경쟁력 전망

(1) 국내 기술개발 동향 1) 제조업용 로봇

○ 정부정책 측면에서 제조업용 로봇의 경우 차세대 성장동력

(27)

사업인 첨단제조업용 로봇개발 사업과 지역중점사업으로 제 조업용 로봇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지역별 로봇 특화 센터 사업과 지역 인프라 구축사업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 며, 로봇관련 전문인력 양성 사업도 추진하고 있음.

○ 기업의 기술동향에 있어서 자동차산업 관련 기업에서는 자 동차 조립 및 부품 생산라인의 인력 대체용 로봇개발을 추 진하고 있으며, 특히 신규 라인 증설 및 교체에 따른 수요 증대에 대비하여 신공정 적용에 따른 다양한 기능 로봇개발 사업을 하고 있음.

— IT산업 관련 기업에서는 FPD 대형화에 따른 대형 물류 로봇 개발 사업을 추진과 동시에 IT 부품 생산을 위한 고 속정밀 조립 로봇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조선해양산업 관 련 기업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인력 대체용 특수 작업용 로봇, 선박 청소용 로봇, 수중 작업용 특수 제조업용 로봇 등을 개발하고 있음.

— 일반 범용 공장을 갖는 기업에서는 3D 작업용 가공조립 및 물류 작업용 로봇, 용접 및 도장 작업에 필요한 산업용 이동 로봇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실외 작업용 로봇, 바이오 작업용 로봇 등도 개발하고 있음.

○ 대학에서는 산‧학‧연 컨소시엄에 의한 기초핵심기술 개발 사업과 산업체 전문인력 양성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음.

○ KIMM, KITECH 등의 국책 연구소에서는 산‧학‧연 컨소시

(28)

엄에 의한 기초핵심기술, 기반 구축사업 등을 주관하여 다 양한 기능을 갖춘 제조업용 로봇을 개발하고 있음.

2) 전문서비스용 로봇

○ 정부정책에 있어서 기술개발과 병행하여 로봇산업을 전략산 업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관련 부처의 기획탐색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하여 종합 적이고 체계적인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 산자부는 산업기반기술개발사업으로 산업용 로봇관련 핵 심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고, 최근 비제조업용 전문서비스 용 로봇관련 개발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였음.

— 정통부는 IT기반 지능 로봇, 휴먼인터페이스, 원격제어시 스템 등 로봇 분야의 인터페이스, 감지‧제어 등 IT기반 기술개발 지원을 하고 있음.

○ 기업의 기술동향을 보면, 로봇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 으며, 우리기술, 한울로보틱스, 동일파텍, 로보테크 등의 기 업을 중심으로 국방용 로봇, 공공서비스 로봇 등의 지능로 봇을 개발하고 있음.

○ 대학에서는 연구개발능력 보유를 위한 기반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KAIST에서 ERC 사업으로 진행 중인 “Welfare Robotics”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공동연구가 수행되고 있 으며, 최근 야지주행 로봇, 의료지원 로봇, 화재 진압 로봇,

(29)

심해 로봇 등과 관련하여 각 대학에서 다양한 핵심기술 개 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음.

○ 원자력연구소를 중심으로 원자력 발전소를 위한 전용 로봇 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 심으로 지능형 서비스 로봇 인터페이스 기반기술과 유비퀴 터스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이 연구되고 있음.

3) 개인서비스용 로봇

○ 정부정책에서 있어서 산업자원부는 로봇산업을 2001년부터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하여 육성하고 있음.

— 과학기술부는 21C 프런티어 사업의 일환으로 ‘인간기능 생활지원 지능로봇’ 프로젝트를 2003년 시작하여 노인생활 을 지원하는 실버로봇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였으나 최근 산업자원부로 과제를 이관하였음.

— 정보통신부는 IT 기반 지능형 서비스 로봇 사업을 2003년 부터 추진,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하여 로봇의 가격을 낮 추고 서비스 능력 및 수준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URC 개념을 제시하여 일본의 네트워크 로봇의 개념 추월을 목 표로 함.

○ 기업기술 동향에 있어서 삼성전자의 경우 가정용 로봇 아이 꼬마, 그 후속 모델인 아이마로를 개발하여 사업화 시기를 모색 중

(30)

— 유진로봇은 청소로봇을 개발하여 상용화하고 있으며, 가정 용 로봇 아이로비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 로보티즈는 분산형 모듈기반 소형 휴먼노이드 로봇을 출 시하여 판매 중

— 마이크로로봇의 경우 바코드 기반 청소로봇을 개발하여 시판 중

— 다사테크는 강아지 모양의 완구로봇을 개발완료하여 시범 사업을 추진 중

— 기타 이지로보틱스 등 많은 로봇 벤처기업들이 키트 등 교육용 로봇을 개발하여 상용화 추진 중

○ 대학의 경우 KAIST는 이족 보행 휴먼노이드를 개발하였으 며 플랫폼 및 동작 중심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포항공 대, KAIST(휴먼노이드, Welfare Robotics 등) 등을 중심으 로 다양한 핵심 기술 개발이 진행 중

○ KIST는 위험작업 로봇을 개발완료 및 네트워크와 연동되 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족 보행할 수 있으며, 네트 워크 기반 지능을 갖추고 사람과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반 휴먼노이드 개발 중

— ETRI는 URC와 네트워크 기반 로봇을 위한 네트워크 인 프라 기술, 네트워크를 통해 전이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로 봇,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핵심 컴포넌트 기술을 개 발 중에 있음.

(31)

(2) 기술경쟁력 분야별 전망

○ 국내 로봇산업의 기술전망은 적용분야별로 다소 차이가 있 으나 제조업용 로봇의 경우에는 2020년에 바이오‧신약 제조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적용분야에서 최고기술 보유국 수 준에 접근할 것으로 전망됨.

○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에는 2020년에 대부분의 적용분야 에서 전력선 보수 등의 활선작업 분야를 제외하면 최고기술 보유국 수준의 95 수준에 접근할 것으로 전망됨.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에는 2020년에 대부분의 적용분야 에서 최고기술 보유국 수준의 95에 접근할 것으로 전망됨.

<표 Ⅱ-6> 제조업용 로봇의 적용 분야별 기술경쟁력 전망 최고

기술국

한국 수준 (2005→2020)

유망기술 분야

취약기술 분야 자동차

제조 산업

100

(일본, 독일) 90→100 용접공정 조립공정

조립공정 도장공정 선박

제조 산업

100

(일본, 독일) 95→100 용접공정 가공공정

조립공정 도장공정 IT 제품

제조 산업

100

(일본, 독일) 90→100 정밀조립공정 물류공정

정밀조립공정 물류공정 바이오‧신약

제조 산업

100

(일본, 독일) 75→95 가공공정 조작공정

가공공정 조작공정 자료:산업연구원 실태조사, 2006. 11.

(32)

<표 Ⅱ-7>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적용 분야별 기술경쟁력 전망 최고

기술국

한국수준 (2005→2020)

유망기술 분야

취약기술 분야

재난극복 로봇 100

(일본) 70 → 95 화재진압 기술 로봇 메커니즘

구동 메커니즘, 자율‧원격

이동제어 센서 기술

군사용‧

사회안전 로봇

100

(미국) 60 → 98 환경인식기술 지능제어기술

고강도 경량재료 야지자율 주행기술 고용량 전지 활선작업용

로봇

100

(일본, 미국) 50 → 95 HRI 기술 공구조작 기술

자율‧

원격 제어 건설작업용

로봇

100

(일본, 미국) 80 → 100 환경인식기술 지능제어 기술

고하중 핸들링 로봇 메커니즘

의료용 로봇 100

(미국) 70 → 100

고정밀 센싱기술 정밀제어, HRI

정밀센서 기술 네트워크 기술 자료:산업연구원 실태조사, 2006. 11.

(33)

<표 Ⅱ-8>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적용 분야별 기술경쟁력 전망 최고

기술국

한국수준 (2005→2020)

유망기술 분야

취약기술 분야 청소 및 경비

로봇

100

(미국) 80 → 100 구동 메커니즘 감지기술

구동 메커니즘 먼지 감지센서

기술

여가지원 로봇 100

(일본) 70 → 90 지능제어기술 HRI 기술

인간-로봇상호 작용기술 인간공학 기술

노인/재활지원 로봇

100 (일본,

미국)

50 → 90

균형 제어기술 생체인식 기술

지능형 이동기술

환경 대응 기술 작업 수행기술 인간-로봇상호

작용

교육용 로봇

100 (일본, 미국, 유럽)

90 → 100

감정처리 기술 자연스런 동작기술 네트워크 연동기술 콘텐츠 가공기술

GUI 환경 프로그램 Tool 기술개발

가사지원 로봇 100

(미국) 70 → 100

가정환경 인식 자율주행 기술 조작제어 기술

메뉴플레이터 기술 환경인식 기술 자료:산업연구원 실태조사, 2006. 11.

(34)

Ⅲ. 세계시장 및 국제분업 전망

1. 세계시장 전망

(1) 세계시장 전망

○ 제조업용 로봇의 세계시장 전망을 보면 2005년에는 53억 3,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6.9%씩 증가하여 2010년에는 74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2020년 경에는 133 억 2,400만 달러를 기록하여 2010∼2020년 기간 동안 연평 균 6.0%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시장은 안정화 단계에 있어 급격한 시장성장의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신규 생산설비 및 기존 설비 교체에 따른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 으로 예상됨.

○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세계시장 전망을 보면 2005년에는 4억 달러에서 연평균 17.3%씩 증가하여 2010년에는 93억 2,700 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2020년경에는 302억 8,800만 달러를 기록하여 2010∼2020년 기간 동안 연평균

(35)

12.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은 생산국과 생산 기업이 극히 제 한되어 있고, 또한 제품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시장형성 초기에는 생산국과 수요국이 일치되는 경우가 많음.

○ 개인 서비스용 로봇의 세계시장 전망을 보면 2005년에는 25 억 5,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5.5%씩 증가하여 2010년에는 79억 3,8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2020년경에는 281억 6,200만 달러를 기록하여 2010∼2020년 기간 동안 연

<표 Ⅲ-1> 로봇산업의 세계시장 전망

단위:백만 달러, %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증가율 2005~

2010

2010~

2020

시장 규모

제조업용 로봇 5,330 7,440 10,193 13,324 6.9 6.0 전문서비스용 로봇 4,200 9,327 19,000 30,288 17.3 12.5 개인서비스용 로봇 2,550 7,938 19,800 28,162 25.5 13.5 12,080 24,705 48,993 71,774 16.6 10.7

부가 가치

제조업용 로봇 1,066 1,488 2,038 2,664 6.9 6.0 전문서비스용 로봇 2,100 4,663 9,500 15,144 17.3 12.5 개인서비스용 로봇 765 2,381 5,940 8,448 25.5 13.5 3,931 8,532 17,478 26,256 16.7 11.9

무역 규모

제조업용 로봇 4,264 5,952 8,154 10,659 6.9 6.0 전문서비스용 로봇 420 1,865 5,700 15,144 34.7 23.3 개인서비스용 로봇 510 2,381 9,900 22,529 36.1 25.2 5,194 10,198 23,754 48,332 14.4 16.8

(36)

평균 13.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기존 정보산업의 발달(IT, BT 등)이 개인서비스용 로봇 등장 가속화

— 가족구조의 핵가족화와 고령화 현상으로 인한 가족의 일 원으로서의 가정용 로봇의 수요증대

(2) 주요국별 시장전망

○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시장 규모는 2010년까지 유럽, 일본이 세계 시장의 약 60% 수준까지 점유하지만, 2020년경에는 약 55% 수준으로 약간 감소될 것으로 예상됨.

— 기타 시장은 중국, 인도 등의 신흥 공업국이 차지할 것이 며, 이것의 시장 규모가 2020년경에는 19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표 Ⅲ-2> 제조업용 로봇산업의 주요 지역별 ‧ 국별 시장 전망 단위:백만 달러, %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가율

2005~2010 2010~2020 미국 1,066 1,339 1,834 2,398 4.7 6.0 유럽 1,705 2,380 3,057 3,997 6.9 5.3 일본 1,599 2,083 2,854 3,464 5.4 5.2

한국 530 850 1,370 1,930 9.9 8.5

기타 430 788 1,378 1,895 12.9 9.2

합계 5,330 7,440 10,193 13,324 6.9 6.0

(37)

○ 한국 시장의 비중은 2005년 세계시장 대비 9.9% 수준에서 2020년경에는 14.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표 Ⅲ-3> 전문서비스 로봇산업의 주요 지역별 ‧ 국별 시장 전망 단위:백만 달러, %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가율

2005~2010 2010~2020 미국 1,680 3,730 7,220 10,903 17.3 11.3 유럽 1,050 2,331 5,320 8,480 17.3 13.8 일본 1,041 2,303 4,104 6,481 17.2 10.9

한국 20 80 280 640 31.9 23.1

기타 409 883 2,076 3,784 16.6 15.7 합계 4,200 9,327 19,000 30,288 17.3 12.5

<표 Ⅲ-4> 개인서비스 로봇산업의 주요 지역별 ‧ 국별 시장 전망 단위:백만 달러, %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가율

2005~2010 2010~2020 미국 1,020 3,175 6,930 9,856 25.5 123.0 유럽 637 1,984 4,950 7,040 25.5 13.5 일본 510 1,587 3,564 5,069 25.5 12.3

한국 50 240 890 1,970 36.9 23.4

기타 333 952 3,466 4,227 23.4 16.1 합계 2,550 7,938 19,800 28,162 25.5 13.5

(38)

2. 국제분업 동향과 전망

○ 미국과 유럽 기업은 M&A에 의한 다국적 기업화를 도모하 였고, 특히 유럽의 제조업용 로봇업체들(ABB, KUKA)은 아시아 지역의 중국, 한국, 일본 등으로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으며, 일본과 독일은 한국에서의 OEM생산을 중국 현지 생산체제로 전환함.

○ 국내 대기업으로는 대우중공업, 삼성전자, 현대중공업 등에 서 로봇을 개발하여 상용화를 시도했으나, 일본 등 최고기 술보유국과의 가격 및 기술 경쟁력에서 뒤져 사업을 포기하 였거나 지능형 개인서비스로봇 체제로 전환함.

○ 최근 현대중공업에서는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지원을 받 아 현재 생산 중인 제조업용 로봇의 지능화를 통해 가격 및 성능 면에서의 우위를 점해 세계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산‧학‧연 연계하여 연구개발 중임.

○ 국내 다수의 중소기업에서는 개인서비스용 로봇 중심으로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지원에 힘입어 중점적으로 연구 개 발 및 상품화를 시도 중이며, 외국기업과의 기술협력관계는 국내기업과의 기술협력 관계를 기피하므로 실질적인 기술 교류가 어려움.

○ 제조업용 로봇의 경우 부품‧소재 및 부품기술, 설계기술, 원 천기술 등을 주로 도입하고, 국내투자 유치, IT 기술 분야

(39)

<표 Ⅲ-5> 로봇 분야별 주요 국가와의 협력 관계 전망

일본 독일/유럽 미국

제조업용 로봇

생산협력 부품‧소재 도입 부품‧소재 도입 OEM 생산 기술협력 - IT 기술 분야

공동연구

- 부품기술 도입

- 설계기술 도입 - 원천기술 도입 판매협력 - IMF 이후 OEM

생산 체제 철수

- 국내에 투자 유

- 국내 투자 유치

전문 서비스용

로봇

생산협력 부품‧소재 도입 부품‧소재 도입 OEM 생산 기술협력 - IT 기술 분야 - 부품기술 도입

- 설계기술 도입 - 원천기술 도입

판매협력 - - 유치

개인 서비스용

로봇

생산협력 부품‧소재 도입 부품‧소재 도입 OEM 생산 기술협력 - IT 기술 분야 - 부품기술 도입

- 설계기술 도입 - 원천기술 도입

판매협력 유치 유치 유치

의 공동연구를 통해 기술협력을 도모함.

○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에도 부품‧소재 및 부품기술, 설 계기술, 원천기술 등을 주로 도입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IT 기술 분야의 공동연구를 통 해 기술협력을 도모

○ 세계 주요 기업의 국제 M&A, 전략적 제휴 동향과 전망은 다음과 같음.

(40)

<표 Ⅲ-6> 제조업용 로봇산업 분야의 주요 기업의 동향과 전망 회사명 국제 M&A 전략적 제휴 전망

일본

FANUC 독자 생존 국내 공작기계

업체 지속적 성장

YASKAWA 독자 생존 국내 대기업 지속적 성장 KAWASAKI 독자 생존 국내 대기업 지속적 성장 NACHI, DESO 국내 기업과

M&A 가능

국내 중소기업

시장 확보 답보 상태

독일 KUKA 독자 생존 국내 중소기업

시장 확보 지속적 성장

스웨덴 ABB 독자 생존 국내 중소기업

시장 확보 지속적 성장

미국 Millacron

경쟁력 강화를 위한 M&A 가능

경쟁력 강화를 위한 M&A 가능

-

○ 로봇개발 전문기업(와우위)과 유통업체(하스브로) 기업간 전략적 사례가 있음.

— 세계 완구생산의 중심지인 홍콩에서 전자식 완구를 제조 하던 와우위는 지난 2000년 미국계 완구회사인 하스브로 산하로 흡수됐음. 하스브로는 세계 1위의 거대 완구그룹으 로 지난해 매출규모가 31억 달러를 상회함.

— 와우위는 지난 2004년 이족보행로봇 로보사피엔을 출시해 2년만에 200만대를 판매하는 선풍적 인기를 끌었음.

— 두 발로 걷는 로보사피엔의 인기비결은 대당 70∼80달러

(41)

<표 Ⅲ-7> 전문서비스용 로봇산업 분야의 주요 기업의 동향과 전망

회사명 국제 M&A 전략적 제휴 전망

미국

iRobot 독자생존

E-Commerce 솔루션을 위한 GSI Commerce와의 제휴

미 해군 체계사령부 와의 군사 계약

지속적 성장

ActivMedia (변경:

MobileRobots)

경쟁력 강화를 위한 M&A 가능

Focus Robotics, 고성능 스테레오 비전 생산 협력 Cypress Computer,

판매 제휴

전략적 제휴를 통한

성장 시도

Geckosystems

International Shoe Manufacturing

Corporation, GeckoSystems 합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M&A 가능

전략적 제휴를 통한

성장 시도

CyberGuard

SecureComputing, 사이버가드 (CyberGuard)

인수‧합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M&A 가능

전략적 제휴를 통한

성장 시도 Northrop

Grumman

Federal Data Corp와 Litton Industries를 합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M&A 가능

전략적 제휴를 통한

성장 시도

일본

Yaskawa 독자생존

미국 Brooks Automation: 반도체 반송 로봇 관련 사업

제휴

웨이퍼 반송 클린 로봇을 Brooks사에 공급 계획 Sanyo 경쟁력 강화를 위한

M&A 가능

Tsmsuk Co., 로봇 경비견 개발 제휴

전략적 제휴를 통한

성장 시도 영국 Roboscience 경쟁력 강화를 위한

M&A 가능 UGS, 판매 제휴

전략적 제휴를 통한

성장 시도

(42)

의 저렴한 가격에도 뛰기, 걷기, 물건들기, 춤추기 등 100 여개 이상의 동작을 할 수 있다는 점임.

— 와우위는 이듬해 토이로봇사상 가장 진보한 기능을 갖춘 이족보행로봇인 ‘로보사피엔 V2’를 출시했고 로봇공룡인 로봇랩터(RoboRaptor) 시리즈 등을 연달아 히트시키며 세 계 완구시장에 로봇열풍을 선도하고 있음.

— 와우위가 만든 로봇들은 천재 과학자의 비전과 완구업체 특유의 뛰어난 기획력, 대기업의 자본력이 합쳐서 나온 걸 작품이며, 우리나라 로봇기업들에도 시사하는 바가 큼.

<표 Ⅲ-8> 개인서비스 로봇산업 분야의 주요 기업의 동향과 전망 회사명 전략적 제휴 국제 M&A 전망

미국

하스브로 (완구유통)

홍콩소재, WOWOWEE

(로봇완구 개발전문업체)

완구로봇 세계시장 1위

목표

아이로봇 중국기업에

생산 아웃소싱 생산원가 절감

마이크로소프트 덴마크.

LEGO GROUP

로봇용 SW분야 선도적 지위목표

일본

소니 벤처기업 로봇기술

M&A추진 도요타 자동차

등 일본 대기업

유망한 로봇업체

탐방 진행중 로봇산업 진출

독일 로보워치

테크놀로지

한국, 디유하이텍

생산제휴

점진적 제휴확대

참조

관련 문서

철도차량 바닥 진동 기인에 의한 구조진동음 저감을

잔향설계는 홀의 음향 특성을

정수기에 수중 이온을 합성

자연 생명체 및 물질의 기본 구조 원리 및 메커 니즘을 모방 응용하여 공학적으로 활용.. - 자연계 -&gt; 수맋은 시갂동안

실험하기전 우산표면이 제일 ”하이드로포빅”

 애트리뷰트 합성 방법

37 Under Current Relay 85 Carrier 또는 Pilot Wire 수신용 Relay 38 베어링 온도 계전기 86 Locking out Relay. 40

Naimipour, Foundations of Algorithms using Java... 알고리즘 설계의 전체 목차 알고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