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배운대로

복습하기

개념 05 ~ 개념 07

01

주어진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180ù_(n-2)=1080ù

n-2=6 ∴ n=8

따라서 팔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8개이다.  ②

02

주어진 다각형을 n각형이라고 하면 n-3=7 ∴ n=10

따라서 십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_(10-2)=1440ù  ④

03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_(6-2)=720ù이므로 120ù+110ù+105ù+∠x+∠x+125ù=720ù

2∠x+460ù=720ù, 2∠x=260ù ∴ ∠x=130ù  130ù

04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_(5-2)=540ù이므로 100ù+∠y+(180ù-60ù)+(180ù-∠x)+110ù=540ù

∠y-∠x+510ù=540ù ∴ ∠y-∠x=30ù  ①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보조선을 그으면 a

b

c d

h e f

g+∠h=180ù-90ù=90ù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_(6-2)=720ù이므로

∠a+∠b+∠c+∠d+∠e+∠f

+(∠g+∠h)=720ù

∴ ∠a+∠b+∠c+∠d+∠e+∠f=720ù-90ù=630ù  ③

06

∠x=180ù-95ù=85ù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85ù+75ù+60ù+∠y+80ù=360ù

∠y+300ù=360ù ∴ ∠y=60ù  ④

07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x+(180ù-150ù)+55ù+(180ù-130ù)+85ù+40ù+(180ù-130ù)

=360ù

∠x+310ù=360ù ∴ ∠x=50ù  50ù

08

주어진 정다각형을 정 n각형이라고 하면 n(n-3)

2 =90, n(n-3)=180 이때 180=15_12이므로 n=15 따라서 정십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80ù_(15-2)

15 =156ù  ⑤

09

구하는 정다각형을 정 n각형이라고 하면 180ù_(n-2)

n =140ù, 180ù_n-360ù=140ù_n 40ù_n=360ù ∴ n=9

따라서 구하는 정다각형은 정구각형이다.  ④

10

①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모두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12-2=10(개)

② 대각선의 개수는 12_(12-3) 2 =54(개)

③ 한 내각의 크기는 180ù_(12-2) 12 =150ù

④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다.

⑤ 한 외각의 크기는 360ù 12 =30ù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③이다.  ②, ③

11

∠x는 정육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와 정팔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의 합이므로

∠x=360ù 6 +360ù

8 =60ù+45ù=105ù  ⑤

12

한 내각의 크기와 한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한 외각의 크 기는 180ù_ 2

7+2 =180ù_;9@;=40ù 주어진 정다각형을 정 n각형이라고 하면

360ù

n =40ù ∴ n=9

따라서 정구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9-3=6(개)  ③

13

조건 ㈎ 를 만족시키는 다각형은 정다각형이다.

조건 ㈏ 에 의하여 한 내각의 크기와 한 외각의 크기의 비가 1 : 2이 고 한 내각의 크기와 한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한 외각의 크기는 180ù_ 2

1+2 =180ù_;3@;=120ù 구하는 다각형을 정 n각형이라고 하면 360ù

n =120ù ∴ n=3 따라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각형은 정삼각형이다.  정삼각형

2. 원과 부채꼴

워크북 | 16 ~ 17 쪽

01

①, ④

02

03

⑴ 80ù ⑵ 27 cm

04

05

06

07

32 cm

08

09

200ù

10

40 cmÛ`

11

12

13

9 cm

배운대로

복습하기

개념 01 ~ 개념 02

01

① ABÓ는 현이다.

④ µ AB와 ABÓ로 둘러싸인 도형이 활꼴이다.  ①, ④

02

오른쪽 그림과 같은 부채꼴 AOB에서 반지름 A

O B 의 길이와 중심각에 대한 현의 길이가 같으므 로 OAÓ=OBÓ=ABÓ

따라서 △AOB는 정삼각형이므로

∠AOB=60ù

 ①

03

⑴ 40ù : ∠DOE=6 : 12이므로 40ù:∠DOE=1 : 2 ∴ ∠DOE=80ù

⑵ µAB : 6=180ù : 40ù이므로 µAB:6=9 : 2

2µAB=54 ∴ µAB=27(cm)  ⑴ 80ù ⑵ 27 cm

04

∠BOC=180ù-105ù=75ù이므로 105ù : 75ù=µ AC :  µ BC, 7 : 5=35 : µ BC

7µ BC=175 ∴ µ BC=25(cm)  ④

05

µAC:µ BC=2:3이므로 ∠AOC:∠BOC=2:3

∴ ∠AOC=180ù_ 2

2+3 =180ù_;5@;=72ù  ④

06

원 O의 둘레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120ù : 360ù=16 : x, 1 : 3=16 : x

∴ x=48

따라서 원 O의 둘레의 길이는 48 cm이다.  ③

07

오른쪽 그림과 같이 ODÓ를 그으면

30° 30° 30°

D

A B

C

O ADÓOCÓ이므로 8 cm

∠OAD=∠BOC=30ù (동위각)

△AOD에서 OAÓ=ODÓ이므로

∠ODA=∠OAD=30ù

∴ ∠AOD=180ù-(30ù+30ù)=120ù 따라서 120ù : 30ù=µAD : µ BC이므로

4 : 1=µAD : 8 ∴ µ AD=32(cm)  32 cm

08

△ODP에서 ODÓ=DPÓ이므로 ∠DOP=∠P=15ù

∴ △ODC=15ù+15ù=30ù

△OCD에서 OCÓ=ODÓ이므로 ∠OCD=∠ODC=30ù

∴ ∠COD=180ù-(30ù+30ù)=120ù

△OCP에서 ∠AOC=30ù+15ù=45ù

따라서 45ù : 15ù=µ AC`:`µ BD이므로 3:1=12:µ BD

3µ BD=12 ∴`µ BD=4(cm)  ②

09

∠AOB:∠COD=2:10이므로

40ù:∠x=1 : 5 ∴ ∠x=200ù  200ù

10

µ AB : µCD=3 : 5이므로

∠AOB=∠COD= µ AB : µCD=3 : 5 부채꼴 COD의 넓이를 x cmÛ`라고 하면

∠AOB : ∠COD=24 : x, 3 : 5=24 : x 3x=120 ∴ x=40

따라서 부채꼴 COD의 넓이는 40 cmÛ`이다.  40 cmÛ`

11

④ ∠COE=∠COD+∠DOE=25ù+25ù=50ù ∠DOF=∠DOE+∠EOF=25ù+25ù=50ù 따라서 ∠COE=∠DOF이므로 CEÓ=DFÓ

⑤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으므로 DFÓ+12(cm)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⑤

| 배운대로 복습하기 |

12

② 한 원에서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으므로

2ABÓ+ACÓ  ②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COD=∠x라고 D

x xxx

A B

C

O 9 cm 하면 CBÓDOÓ이므로

∠OCB=∠COD=∠x (엇각)

△OBC에서 OBÓ=OCÓ이므로

∠OBC=∠OCB=∠x

CBÓDOÓ이므로 ∠AOD=∠OBC=∠x (동위각)

따라서 ∠AOD=∠COD이므로 ADÓ=CDÓ=9(cm)  9 cm

워크북 | 18 ~ 19 쪽

01

02

03

둘레의 길이 : 36p cm, 넓이 108p cmÛ`

04

05

24p cm

06

07

30p cmÛ`

08

140ù

09

10

11

12

13

(12p+16) cm

14

배운대로

복습하기

개념 03 ~ 개념 04

01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2!;_14=7(cm)

따라서 원 O의 넓이는 p_7Û`=49p(cmÛ`)  ⑤

02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prÛ`=400p, rÛ`=400 ∴ r=20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20`cm이므로 원의 지름의 길이는

2_20=40(cm)  ③

03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p_12+2p_6

=24p+12p=36p(cm) (색칠한 부분의 넓이) =p_12Û`-p_6Û `

=144p-36p=108p(cmÛ`)

 둘레의 길이 : 36p cm, 넓이 :108p cmÛ`

04

(색칠한 부분의 넓이) =(p_9Û`)_;2!;-(p_4Û`)_;2!;-(p_5Û`)_;2!;

(색칠한 부분의 넓이) =;;¥2Á;;p-8p-;;ª2°;;p=20p(cmÛ`)  ④

05

ABÓ=BCÓ=CDÓ=;3!; ADÓ=;3!;_24=8(cm) 이때 µAB=µ CD, µAC=µ BD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µAB+µAC+µ BD+µ CD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_(µAB+µAC)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_{2p_4_;2!;+2p_8_;2!;}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_12p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4p(cm)  24p cm

06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p_9Û`_;36{0;=27p ∴ x=120

따라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120ù이다.  ⑤

07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80ù_(5-2)

5 =108ù

따라서 색칠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108ù이므로 그 넓이는 p_10Û`_;3!6)0*;=30p(cmÛ`)  30p cmÛ`

08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고 하면

;2!;_r_14p=126p ∴ r=18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2p_18_;36{0;=14p ∴ x=140

따라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140ù이다.  140ù

09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p_6_;3#6)0);+2p_3_;3#6)0);+3_2

=10p+5p+6

=15p+6(cm)  ①

10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고 하면 2p_20_;36{0;=4p ∴ x=36

∴ (색칠한 부분의 넓이) =p_20Û`_;3£6¤0;-p_5Û`_;3£6¤0;

∴ (색칠한 부분의 넓이)=40p-;2%;p=;;¦2°;;p(cmÛ`)  ⑤

11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2(; cm인 원의 둘레 의 길이의 2배와 같으므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2p_;2(;}_2=18p(cm)  ⑤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동하면 색칠한 부분의

5 cm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5 cm

5_10=50(cmÛ`)

 ⑤

13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2p_8_;2!;+2p_16_;3¢6°0;+16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8p+4p+16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12p+16(cm)  (12p+16) cm

14

(색칠한 부분의 넓이)

=(지름이 ABÓ인 반원의 넓이)+(지름이 ACÓ인 반원의 넓이) +△ABC-(지름이 BCÓ인 반원의 넓이)

=p_{;2%;}2`_;2!;+p_6Û`_;2!;+;2!;_5_12-p_{;;Á2£;;}2`_;2!;

=;;ª8°;;p+18p+30-;;;!8^:(;p

=30(cmÛ`)  ③

Ⅲ. 입체도형

1. 다면체와 회전체

워크북 | 20 ~ 21 쪽

01

02

03

04

47

05

06

14개

07

①,

08

18개

09

②, ⑤

10

11

42

12

③,

13

14

배운대로

복습하기

개념 01 ~ 개념 02

01

ㄱ, ㄷ, ㅂ은 다각형이 아닌 곡면으로 둘러싸인 입체도형이므로 다

면체가 아니다.  ④

02

주어진 다면체는 면의 개수가 6개인 육면체이다.

각 다면체의 면의 개수를 구하면

① 4+1=5(개) ② 4+2=6(개) ③ 5+2=7(개)

④ 6+2=8(개) ⑤ 6+1=7(개)

따라서 주어진 다면체와 면의 개수가 같은 것은 ②이다.  ②

03

각 다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를 구하면

① 8개 ② 8+1=9(개) ③ 2_8=16(개)

④ 2_9=18(개) ⑤ 9+1=10(개)

따라서 꼭짓점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④이다.  ④

04

십각뿔의 면의 개수는 10+1=11(개)이므로 a=11 팔각기둥의 모서리의 개수는 3_8=24(개)이므로 b=24 육각뿔대의 꼭짓점의 개수는 2_6=12(개)이므로 c=12

∴ a+b+c=11+24+12=47  47

05

주어진 각뿔대를 n각뿔대라고 하면 꼭짓점의 개수는 2n개이므로 2n=32 ∴ n=16

십육각뿔대의 면의 개수는 16+2=18(개)이므로 a=18 십육각뿔대의 모서리의 개수는 3_16=48(개)이므로 b=48

∴ a+b=18+48=66  ④

06

주어진 각기둥을 n각기둥이라고 하면 모서리의 개수는 3n개, 꼭짓 점의 개수는 2n개이므로

3n-2n=12 ∴ n=12 따라서 십이각기둥의 면의 개수는

12+2=14(개)  14개

07

② 사각뿔대 - 사다리꼴 ③ 육각기둥 - 직사각형

⑤ 팔각기둥 - 직사각형

따라서 바르게 짝 지어진 것은 ①, ④이다.  ①, ④

08

조건 ㈎, ㈏ 에 의하여 구하는 다면체는 각기둥이다.

주어진 각기둥을 n각기둥이라고 하면 모서리의 개수는 3n개이므로 조건 ㈐ 에 의하여

3n=27 ∴ n=9

따라서 구각기둥의 꼭짓점의 개수는 2_9=18(개)  18개

| 배운대로 복습하기 |

09

① 면의 개수는 6+2=8(개)이므로 팔면체이다.

③ 밑면의 개수는 2개이다.

④ 꼭짓점의 개수는 2_6=12(개)

⑤ 육각뿔대의 모서리의 개수는 3_6=18(개), 팔각뿔대의 모서리 의 개수는 3_8=24(개)이므로 팔각뿔대보다 모서리가 24-18=6(개) 적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⑤이다.  ②, ⑤

10

조건 ㈎ 를 만족시키는 정다면체는 정육면체, 정팔면체이다.

조건 ㈏ 를 만족시키는 정다면체는 정육면체이다.

따라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다면체는 정육면체이다.  ②

11

한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5개인 정다면체는 정이십면체이므로 꼭짓점의 개수는 12개이다. ∴ a=12

면의 모양이 정오각형인 정다면체는 정십이면체이므로 정십이면체 의 모서리의 개수는 30개이다. ∴ b=30

∴ a+b=12+30=42  42

12

② 면의 모양이 정사각형인 정다면체는 정육면체 하나뿐이다.

③ 정팔면체의 한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는 4개이다.

④ 정사면체의 꼭짓점의 개수는 4개이다.

⑤ 정십이면체와 정이십면체의 모서리의 개수는 30개로 같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④이다.  ③, ④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꼭짓점 B, G, D를 지 A

B C

D

E

F G

H 나는 평면으로 자르면 그 단면의 모양은 정삼

각형이다.

 ②

14

④ 모서리의 개수는 12개이다.  ④

워크북 | 22 ~ 23 쪽

01

ㄴ, ㅂ

02

03

04

05

06

07

08

21p cmÛ`

09

10

11

③,

12

①, ③

배운대로

복습하기

개념 03 ~ 개념 04

01

ㄱ, ㄷ, ㄹ, ㅁ은 다면체이다.  ㄴ, ㅂ

02

① ②

③ ⑤

 ④

03

 ②

06

① ② ③ ④

따라서 단면의 모양이 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 ⑤

07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뿔이고, 원뿔을

5 cm

12 cm l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

면은 밑변의 길이가 10`cm이고 높이가 12`cm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넓이는

;2!;_10_12=60(cmÛ`)  ③

08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2 cm 생기는 단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3 cm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넓이는

p_5Û`-p_2Û`=25p-4p=21p(cmÛ`)

 21p cmÛ`

l l

l l

A C B

D

10

원뿔의 모선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밑면 인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으므로

2p_x_;3!6#0%;=2p_9 ∴ x=24

따라서 원뿔의 모선의 길이는 24 cm이다.  ⑤

11

①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기둥이다.

3 cm l

5 cm

③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모양은 모두 원이고 합동이다.

④ 회전체의 밑면은 반지름의 길이가 3 cm인 원 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2p_3=6p(cm)

⑤ 회전체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은 가 로의 길이가 6 cm, 세로의 길이가 5 cm인 직사각형이므로 구하 는 단면의 넓이는 6_5=30(cmÛ`)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⑤이다.  ③, ⑤

12

②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모양 은 항상 원이지만 합동은 아니다.

④ 구의 회전축은 무수히 많다.

⑤ 구의 전개도는 그릴 수 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③이다.  ①, ③

2.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워크북 | 24 쪽

01

02

03

96p cmÛ`

04

(120p+108) cmÛ``

05

06

07

195

배운대로

복습하기

개념 01 ~ 개념 02

01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x_x)_6=294, xÛ`=49

∴ x=7

따라서 한 모서리의 길이는 7 cm이다.  ⑤

02

(밑넓이)=7_5-2_4=27(cmÛ`)

(옆넓이)=(5+4+2+1+7+5)_3=72(cmÛ`)

∴ (겉넓이)=27_2+72=126(cmÛ`)  ⑤

03

(밑넓이)=p_4Û`=16p(cmÛ`) (옆넓이)=(2p_4)_8=64p(cmÛ`)

∴ (겉넓이)=16p_2+64p=96p(cmÛ`)  96p`cmÛ`

04

(밑넓이)=p_6Û`_;3@6$0);=24p(cmÛ`)

(옆넓이)={2p_6_;3@6$0);+6+6}_9=72p+108(cmÛ`)

∴ (겉넓이)=24p_2+(72p+108)

∴ (겉넓이)=120p+108(cmÛ`)  (120p+108) cmÛ`

05

삼각기둥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2!;_10_13}_h=715, 65h=715 ∴ h=11

따라서 삼각기둥의 높이는 11 cm이다.  ③

06

(부피)=(큰 사각기둥의 부피)-(작은 사각기둥의 부피) =(9_7)_10-(3_3)_10

=630-90=540(cmÜ`)  ②

07

(겉넓이) =(반지름의 길이가 5 cm인 원의 넓이)_2

+(큰 원기둥의 옆넓이)+(작은 원기둥의 옆넓이) (겉넓이) =(p_5Û`)_2+2p_5_3+2p_2_5

=50p+30p+20p=100p(cmÛ`) (부피) =(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부피) =(p_5Û`)_3+(p_2Û`)_5

(부피)=75p+20p=95p(cmÜ`)

따라서 a=100, b=95이므로 a+b=100+95=195  195

워크북 | 25 쪽

01

95 cmÛ`

02

7

03

90p cmÛ`

04

⑴ 9p cmÛ` ⑵ 36p cmÛ` ⑶ 36p cmÛ` ⑷ 81p cmÛ`

05

06

:;!3^:); cmÜ`

07

72p cmÜ`

08

배운대로

복습하기

개념 03 ~ 개념 04

01

(밑넓이)=5_5=25(cmÛ` )

(옆넓이)={;2!;_5_7}_4=70(cmÛ` )

∴ (겉넓이)=25+70=95(cmÛ` )  95 cmÛ`

| 배운대로 복습하기 |

02

8_8+{;2!;_8_x}_4=176이므로

64+16x=176, 16x=112 ∴ x=7  7

03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p_r_13=65p ∴ r=5

따라서 원뿔의 겉넓이는

p_5Û`+65p=25p+65p=90p(cmÛ`)  90p cmÛ`

04

⑴ p_3Û`=9p(cmÛ`) ⑵ p_6Û`=36p(cmÛ`)

⑶ (옆넓이) =(큰 부채꼴의 넓이)-(작은 부채꼴의 넓이)

=p_6_8-p_3_4=48p-12p=36p(cmÛ`)

⑷ (겉넓이)=9p+36p+36p=81p(cmÛ`)

 ⑴ 9p cmÛ` ⑵ 36p cmÛ` ⑶ 36p cmÛ` ⑷ 81p cmÛ`

05

사각뿔의 높이를 h`cm라고 하면

;3!;_(9_10)_h=360 ∴ h=12

따라서 사각뿔의 높이는 12 cm이다.  ④

06

(부피)=(정육면체의 부피)-(삼각뿔의 부피) =4_4_4-;3!;_{;2!;_4_4}_4

=64-;;£3ª;;=:;!3^:); (cmÜ`) :;!3^:); cmÜ`

07

오른쪽 그림과 같은 입체도형이 생기므로 8 cm

3 cm 3 cm (부피)=(큰 원뿔의 부피)-(작은 원뿔의 부피)

=;3!;_(p_6Û`)_8-;3!;_(p_3Û`)_8 =96p-24p=72p(cmÜ`)

 72p cmÜ`

08

그릇의 부피는 ;3!;_(p_9Û`)_10=270p(cmÜ`)

따라서 1분에 15p cmÜ`씩 물을 넣으므로 빈 그릇을 가득 채우려면 270p15p=18(분) 동안 물을 넣어야 한다.  ④

워크북 | 26 쪽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