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1 수학의 바이블 개념 중1-2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1 수학의 바이블 개념 중1-2 답지 정답"

Copied!
9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답과 풀이

개념

중학

3

-

1

개념

중학

1

-

2

정답과 풀이

(2)

본교재 | 6 쪽 개념 콕콕

1

_ ⑵ ◯ ⑶ _

2

8개 ⑵ 12개

1

⑴ 도형의 기본 요소는 점, 선, 면이다. ⑶ 직육면체와 같이 한 평면 위에 있지 않은 도형을 입체도형이라고 한다.

2

⑴ 교점의 개수는 직육면체의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8개이다. ⑵ 교선의 개수는 직육면체의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12개이다. 본교재 | 7 쪽

대표

유형

1 13 1 -13 1 -222 -1 ③, ④ 1 -1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a=6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b=9b-a=9-6=3 3 1 -2 주어진 입체도형의 면의 개수는 6개이므로 a=6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b=8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c=12a-b+c=6-8+12=10  ③ 2 -1 ③ 선과 선이 만나면 교점이 생기고, 면과 면이 만나면 교선이 생긴다. ④ 교선은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일 수도 있다.  ③, ④

직선, 반직선, 선분

02

개념

본교재 | 8 쪽 개념 콕콕

1

⑴ PQê ⑵ PQ³ ⑶ QP³ ⑷ PQÓ

2

⑴ 그림은 풀이 참조, = ⑵ 그림은 풀이 참조, = ⑶ 그림은 풀이 참조, +

2

A B C A B CAA BB CC AA BB CCAA BB CC AA BB CC 본교재 | 9 쪽

대표

유형

3 ③, ⑤ 3 -1 ①, ④ 3 -2 BCê와 BDê, CDÓ와 DCÓ, DB³와 DÕA³ 4 직선:3개, 반직선:6개 4 -1 직선:6개, 반직선:12개 4 -23 -1 ② AC³와 BD³는 시작점이 다르므로 AC³+BD³ ③ ACÓ와 BCÓ는 한쪽 끝 점이 다르므로 ACÓ+BCÓ ⑤ CB³와 CD³는 방향이 다르므로 CB³+CD³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④이다.  ①, ④ 3 -2 Ú BCê와 BDê:양쪽 방향으로 한없이 뻗은 직선이므로 BCê=BDê Û CDÓ와 DCÓ:양 끝점이 같으므로 CDÓ=DCÓ Ü DB³와 DÕA³:시작점과 방향이 모두 같으므로 DB³=DA³  BCê와 BDê, CDÓ와 DCÓ, DB³와 DA³ 4 -1

직선은 ABê, ACê, ADê³, BCê, BDê, CDê의 6개

반직선은 AB³, AC³, AD³, BÕA³, BC³, BD³, CA³, CB³, CD³, DÕÕA³, DB³, DC³의 12개  직선:6개, 반직선:12개 보충 설명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n개의 점 중 두 점을 지나는 서로 다른 직선, 반직선, 선분의 개수는 각각 다음과 같다. ① 직선, 선분의 개수: n_(n-1)2 (개) ② 반직선의 개수:n_(n-1)(개) 다른 풀이 (직선의 개수)= 4_(4-1)2 =6(개) (반직선의 개수)=4_(4-1)=12(개) 4 -2 직선은 ABê의 1개이므로 a=1 반직선은 AB³, BA³, BC³, CB³의 4개이므로 b=4 선분은 ABÓ, AÕCÓ, BCÓ의 3개이므로 c=3a+b+c=1+4+3=8  ④ Ⅰ. 기본 도형

1.

기본 도형

점, 선, 면

01

개념

(3)

0

1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a=12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b=18a+b=12+18=30  ②

0

2

③ 선과 선 또는 선과 면이 만나면 교점이 생긴다. ⑤ 칠각뿔의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14개이다.  ③, ⑤

0

3

AC³와 시작점과 방향이 모두 같은 것은 AD³, AB³의 2개이다.2개

0

4

ABê, ADê, BDê, CDê의 4개 4개

0

5

두 점 B, C는 ADÓ를 삼등분하는 점이므로 ABÓ=BCÓ=CDÓ=;3!;ADÓ

④ ADÓ=ACÓ+CDÓ=ACÓ+ABÓ=ACÓ+;2!;ACÓ=;2#;ACÓ ⑤ CDÓ=ABÓ=;2!;ACÓ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 ④

0

6

두 점 M, N은 각각 ABÓ, BCÓ의 중점이므로 MòBÓ=;2!;ABÓ, BNÓ=;2!;BCÓ ∴ MòNÓ =MòBÓ+BNÓ=;2!;ABÓ+;2!;BCÓ=;2!;(ABÓ+BCÓÓ) =;2!;ACÓ=;2!;_14=7(cm) 7`cm

0

7

점 M이 ABÓ의 중점이므로 MBÓ=AÕMÓ=9(cm), ABÓ=2AÕMÓ=2_9=18(cm) 이때 ABÓ=3BCÓ이므로 BCÓ=;3!;ABÓ=;3!;_18=6(cm) 점 N이 BCÓ의 중점이므로 BNÓ=;2!;BCÓÓ=;2!;_6=3(cm) ∴ MNÓ=MBÓ+BNÓ=9+3=12(cm)  ③

두 점 사이의 거리

03

개념

본교재 | 10 쪽 개념 콕콕

1

7`cm ⑵ 6`cm ⑶ 4`cm

2

2, 2 ⑵ ;2!;, 4 ⑶ ;2!;, 2 본교재 | 11 쪽

대표

유형

55 -1 5 -266 -1 6 -220`cm 5 -1 ① AÕMÓ=MBÓÓ=2NBÓ ② ANÓ=AÕMÓ+MNÓ=2MNÓ+MNÓ=3MNÓ ④ NBÓ=;2!;MBÓÓ=;2!;AÕMÓ ⑤ MNÓ+NBÓ=MBÓ=AÕMÓ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 ② 5 -2 ① ABÓ=CDÓ=2MDÓ ③ ACÓ=2ABÓ=2CDÓ=2_2 CÕMÓ=4 CÕMÓ ⑤ BDÓ=BCÓ+CDÓ=;3!;AÕDÓ+;3!;AÕDÓ=;3@;AÕDÓ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 ③ 6 -1 점 M이 ABÓ의 중점이므로 AÕMÓ=MBÓ=;2!;ABÓ=;2!;_24=12(cm) 점 N이 MBÓ의 중점이므로 MNÓ=;2!;MBÓ=;2!;_12=6(cm) ∴ ANÓ=AMÓ+MNÓ=12+6=18(cm)  ③ 6 -2 두 점 M, N은 각각 ABÓ, BCÓ의 중점이므로 ABÓ=2MBÓ, BCÓ=2BNÓ ∴ ACÓ =ABÓ+BCÓ=2MBÓ+2BNÓ=2(MBÓ+BNÓ) =2MNÓ=2_10=20(cm) 20`cm 본교재 | 12 쪽

0

1

0

2

③, ⑤

0

3

2개

0

4

4개

0

5

0

6

7`cm

0

7

③ 배운대로

해결하기

1. 기본 도형

(4)

04

개념

본교재 | 13 쪽 개념 콕콕

1

⑴ ∠BAC`(또는 ∠CAB) ⑵ ∠ABC`(또는 ∠CBA)

2

37ù, 89ù, 10ù ⑵ 90ù ⑶ 120ù, 172ù ⑷ 180ù

3

50ù ⑵ 40ù

3

130Ùù+∠x=180ù이므로 ∠x=50ù 90Ùù+∠x+50Ùù=180ù이므로 140Ùù+∠x=180ù ∴ ∠x=40ù 본교재 | 14 ~ 15 쪽

대표

유형

11 -1 1 -2x=55ù, ∠y=35ù 22 -1 2 -233ù 33 -1 3 -270ù 44 -1 4 -2 ∠AOB=54ù, ∠BOC=36ù 1 -1 (4∠x-30ù)+(∠x+25ùÙ)=90Ùù이므로 5∠x-5ù=90ù, 5∠x=95ù ∴ ∠x=19ù  ④ 1 -2 35ù+∠x=90ù이므로 ∠x=55ù

x+∠y=90ù이므로 55ù+∠y=90ù ∴ ∠y=35ù

 ∠x=55ù, ∠y=35ù 2 -1 3∠x+90ù+(∠x+22ù)=180ù이므로 4∠x+112ù=180ù, 4∠x=68ù ∴ ∠x=17ù  ⑤ 2 -2 (∠x+27ù)+∠x+(3∠x-12ù)=180ù이므로 5∠x+15ù=180ù, 5∠x=165ù ∴ ∠x=33ù 33ù 3 -1 ∠AOC+∠COD+∠DOE+∠EOB=180ù이므로 2∠COD+∠COD+∠DOE+2∠DOE=180ù 3(∠COD+∠DOE)=180ù, 3∠COE=180ù ∴ ∠COE=60ù  ② 3 -2 ∠AOF=180ù-40ù=140ù이므로 ∠AOC+∠COD+∠DOE+∠EOF=140ù ∠COD+∠COD+∠DOE+∠DOE=140ù 2(∠COD+∠DOE)=140ù, 2∠COE=140ù ∴ ∠COE=70ù 70ù 4 -1y=180ù_4+5+6 =180ù_;3!;=60ù 5  ③ 4 -2 ∠AOB=90ù_ 33+2 =90ù_;5#;=54ùÙ ∠BOC=90ù_ 23+2 =90ù_;5@;=36ù  ∠AOB=54ù, ∠BOC=36ù

맞꼭지각

05

개념

본교재 | 16 쪽 개념 콕콕

1

⑴ ∠DOE`(또는 ∠EOD) ⑵ ∠EOF`(또는 ∠FOE) ⑶ ∠AOF`(또는 ∠FOA) ⑷ ∠AOE`(또는 ∠EOA)

2

40ù ⑵ 20ù ⑶ 65ù

3

⑴ ∠x=140ù, ∠y=40ù ⑵ ∠x=55ù, ∠y=60ù ⑶ ∠x=35ù, ∠y=95ù

2

3∠x=60ù이므로 ∠x=20ù 2∠x+15ù=145ù이므로 2∠x=130ù ∴ ∠x=65ù

3

35ùÙ+∠y+50ù=180ù이므로 85ù+∠y=180ù ∴ ∠y=95ù 본교재 | 17 쪽

대표

유형

55 -1 5 -238ù 66 -1 6 -2x=15ù, ∠y=75ù 5 -1 3∠x+40ù=5∠x+20ù이므로 2∠x=20ù ∴ ∠x=10ù  ⑤

(5)

5 -2 (∠x+26ù)+90Ùù=40Ùù+3∠x이므로 x+116ù=40ù+3∠x, 2∠x=76ù ∴ ∠x=38ù 38ù 6 -1 오른쪽 그림에서 4x-10 ° 3x+10° 2x 2x (4∠x-10ù)+2∠x+(3∠x+10ù)=180ù 이므로 9∠x=180ù ∴ ∠x=20ù  ③ 6 -2 오른쪽 그림에서 60° 60° y 7x-30° 3x 3∠x+60ù+(7∠x-30ù)=180ù이므로 10∠x+30ù=180ù, 10∠x=150ù ∴ ∠x=15ù ∴ ∠y=7∠x-30ù=7_15ù-30ù=75ù  ∠x=15ù, ∠y=75ù

수직과 수선

06

개념

본교재 | 18 쪽 개념 콕콕

1

⑴ ⊥ ⑵ 수선 ⑶ O ⑷ COÓ

2

⑴ 변 AB ⑵ 점 B ⑶ 4`cm ⑷ 5`cm

2

⑶ 점 A와 BCÓ 사이의 거리는 ABÓ의 길이와 같으므로 4`cm이다. ⑷ 점 D와 ABÓÓ 사이의 거리는 ADÓ의 길이와 같으므로 5`cm이다. 본교재 | 19 쪽

대표

유형

77 -1 ㄱ, ㄷ 8 21 8 -121.6 8 -27 -1 ㄴ. ACê와 BCê는 수직으로 만나지 않으므로 ACê는 BCê의 수선이 아 니다. ㄹ. 점 B와 CDÓ 사이의 거리는 BCÓ의 길이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ㄱ, ㄷ 8 -1 점 A와 BCÓ 사이의 거리는 ADÓ의 길이와 같으므로 x=9.6 점 C와 ABÓ 사이의 거리는 ACÓ의 길이와 같으므로 y=12

x+y=9.6+12=21.6 21.6 8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BCÓ에 내린 A B C D H 12 cm 10 cm 8 cm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점 A와 BCÓ 사이 의 거리는 AÕHÓ의 길이와 같으므로 점 A와 BCÓ 사이의 거리는 AÕHÓ=DCÓ=10(cm)  ③ 본교재 | 20 ~ 21 쪽

0

1

0

2

0

3

27ù

0

4

50ù

0

5

0

6

0

7

6쌍

0

8

162ù

0

9

145ù

10

11

12

13

5`cm 배운대로

해결하기

0

1

48ù+∠x=90ù이므로 ∠x=42ù

x+∠y=90ù이므로 42ù+∠y=90ù ∴ ∠y=48ù

∴ ∠y-∠x=48ù-42ù=6ù  ②

0

2

(2∠x+14ù)+∠x+(3∠x+16ù)=180ù이므로 6∠x+30ù=180ù, 6∠x=150ù ∴ ∠x=25Ùù  ①

0

3

∠AOF=180Ùù-72Ùù=108Ùù 이때 ∠AOC=∠COD=∠DOE=∠EOF이므로 ∠COD=;4!;∠AOF=;4!;_108ù=27ù 27ù

0

4

∠AOC=90ù이므로 ∠COD=;3!;∠AOC=;3!;_90ù=30ù ∴ ∠DOB=180ù-(90ù+30ù)=60ù

이때 ∠EOB=2∠DOE이므로 ∠DOB=60ù에서 ∠DOE+∠EOB=60ù, ∠DOE+2∠DOE=60ù 3∠DOE=60ù ∴ ∠DOE=20ù

∴ ∠COE=∠COD+∠DOE=30ù+20ù=50ù 50ù

0

5

∠COD=3∠AOC이므로 ∠AOC=;3!;∠COD ∠DOE=3∠EOB이므로 ∠EOB=;3!;∠DOE

이때 ∠AOC+∠COD+∠DOE+∠EOB=180ù이므로 ;3!;∠COD+∠COD+∠DOE+;3!;∠DOE=180ù ;3$;(∠COD+∠DOE)=180ù, ;3$;∠COE=180ù ∴ ∠COE=135ù  ④ 1. 기본 도형

(6)

0

6

z=180ù_5+7+8 =180ù_;5@;=72ù 8  ④

0

7

ABê와 CDê로 만들어지는 맞꼭지각은

∠AOC와 ∠BOD, ∠AOD와 ∠COB의 2쌍 ABê와 EFê로 만들어지는 맞꼭지각은

∠AOE와 ∠BOF, ∠AOF와 ∠EOB의 2쌍 CDê와 EFê로 만들어지는 맞꼭지각은

∠COE와 ∠FOD, ∠EOD와 ∠COF의 2쌍

따라서 구하는 맞꼭지각은 모두 6쌍이다. 6쌍

0

8

5∠x-30ù=2∠x+6ù이므로 3∠x=36ù ∴ ∠x=12ù 또, (5∠x-30ù)+∠y=180ù이므로 (5_12ù-30ù)+∠y=180ù 30ù+∠y=180ù ∴ ∠y=150ù ∴ ∠x+∠y=12ù+150ù=162ù 162ù

0

9

(∠x+10ù)+(3∠x-20ù)+90ù=180ù이므로 4∠x+80ù=180ù, 4∠x=100ù ∴ ∠x=25ù ∴ ∠y =(3∠x-20ù)+90ù =3_25ù-20ù+90ù=145ù 145ù

10

4∠x-45ù=120ù-∠x이므로 5∠x=165ù ∴ ∠x=33ù 또, (3∠y+15ù)+(120ù-∠x)=180ù이므로 3∠y+15ù+120ù-33ù=180ù, 3∠y+102ù=180ù 3∠y=78ù ∴ ∠y=26ù ∴ ∠x+∠y=33ù+26ù=59ù  ⑤

11

오른쪽 그림에서 x x 6x-15° 3x-5° (6∠x-15ù)+∠x+(3∠x-5ù)=180ù 이므로 10∠x-20ù=180ù, 10∠x=200ù ∴ ∠x=20ù  ③

12

ㄷ. DEê는 BCÓ의 수직이등분선이다. ㅁ. 점 D와 BCÓ 사이의 거리는 DEÓ의 길이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이다.  ②

13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AÕMÓ의 길이와 같으므로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AÕMÓ=;2!;ABÓ=;2!;_10=5(cm) 5`cm 본교재 | 22 ~ 24 쪽 개념 넓히기로

마무리

0

1

0

2

0

3

②, ④

0

4

0

5

0

6

5`cm

0

7

65ù

0

8

0

9

10

11

12

13

18

14

19

15

12`cm

16

62ù

17

6`cm

18

40ù

19

100ù

0

1

오각뿔의 면의 개수는 6개이므로 a=6 교점의 개수는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b=6 교선의 개수는 모서리의 개수와 같으므로 c=10a+b+c=6+6+10=22  ③

0

2

⑤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오직 하나뿐이다.  ⑤

0

3

② ACÓ와 BCÓ 는 한쪽 끝 점이 다르므로 ACÓ+BCÓ ④ BÕA³와 BC³는 방향이 다르므로 BÕA³+BC³  ②, ④

0

4

반직선은 AB³, AC³, AÕD³, AÕE³, BÕA³, BC³, BD³, BE³, CÕA³, CB³, CD³, CE³, DÕA³, DB³, DC³, DE³, EÕA³, EB³, EC³, ED³의 20개 선분은 ABÓ, ACÓ, ADÓ, AEÓ, BCÓ, BDÓ, BEÓ, CDÓ, CEÓ, DEÓ의

10개  ④

0

5

두 점 M, N은 각각 ABÓ, BCÓ의 중점이므로 MBÓ=;2!;ABÓ, BNÓ=;2!;BCÓ ∴ MNÓ =MBÓ+BNÓ=;2!;ABÓ+;2!;BCÓ=;2!;(ABÓ+BCÓ) =;2!;ACÓ=;2!;_26=13(cm)  ③

0

6

ACÓ:CDÓ=2:1이므로 ACÓ=;3@;ADÓ=;3@;_30=20(cm) ABÓ:BCÓ=3:1이므로 BCÓ=;4!;ACÓ=;4!;_20=5(cm) 5`cm

(7)

0

7

∠AOB=90ù-∠BOC=∠COD이고 ∠AOB+∠COD=50ù 이므로 ∠AOB=;2!;_50ù=25ù ∴ ∠BOC=90ù-25ù=65ù 65ù

0

8

(3∠x+10ù)+(80ù-2∠x)+(5∠x-6ù)=180ù이므로 6∠x+84ù=180ù, 6∠x=96ù ∴ ∠x=16ù ∴ ∠DOB=5_16ù-6ù=74ù  ④

0

9

∠COE =∠COD+∠DOE=;4!;∠AOD+;4!;∠DOB

=;4!;(∠AOD+∠DOB)=;4!;_180ù=45ù  ⑤

10

네 직선을 각각 a, b, c, d라고 하면 직선 a와 직선 b, 직선 a와 직선 c, 직선 a와 직선 d, 직선 b와 직선 c, 직선 b와 직선 d, 직선 c와 직선 d로 만들어지는 맞꼭지각이 각각 2쌍이므로 맞꼭지각의 개수6_2=12(쌍)  ②

11

2∠x+20ù=90ù+40ù이므로 2∠x=110ù ∴ ∠x=55ù (3∠y-10ù)+90ù+40ù=180ù이므로

3∠y+120ù=180ù, 3∠y=60ù ∴ ∠y=20ù

∴ ∠x+∠y=55ù+20ù=75ù  ⑤

12

오른쪽 그림에서 95° 95°2x-10° 4y+10° x+5° (∠x+5ù)+95ù+(2∠x-10ù)=180ù이 므로 3∠x+90ù=180ù, 3∠x=90ù ∴ ∠x=30ù 4∠y+10ù=2∠x-10ù이므로 4∠y+10ù=2_30ù-10ù 4∠y=40ù ∴ ∠y=10ù  ③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BCÓ에 A B C D E F H' H 8 cm 6 cm 10 cm 10 cm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점 A와 BCÓ 사이의 거리는 AHÓ의 길이와 같 으므로 AHÓ=DEÓ=8(cm) ∴ x=8 점 C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고 하면 점 C와 ABÓ 사이 의 거리는 CH'Ó의 길이와 같으므로 CH'Ó=AFÓ=10(cm) ∴ y=10x+y=8+10=18 18

14

직선은 ABê, AEê, BEê, CEê, DEê의 5개이므로 a=5 …… 40%

반직선은 AB³, AE³, BA³, BC³, BE³, CB³, CD³, CE³, DC³, DE³, EÕA³, EB³, EC³, ED³의 14개이므로 b=14 …… 50%

a+b=5+14=19 …… 10%

19

15

ABÓ:BCÓ=3:2이므로 2ABÓ=3BCÓ ∴ BCÓ=;3@;ABÓ …… 30%

MòNÓ =MòBÓ+BNÓ=;2!;ABÓ+;2!;BCÓ =;2!;ABÓ+;2!;_;3@;ABÓ=;6%;ABÓ …… 40% ∴ ABÓ=;5^;MòNÓ=;5^;_10=12(cm) …… 30%12`cm

16

오른쪽 그림에서 x x a 2x-26° 3x+38° (2∠x-26ù)+∠x+(3∠x+38ù)=180ù 이므로 6∠x+12ù=180ù, 6∠x=168ù ∴ ∠x=28ù …… 60% 이때 ∠a+∠x=90ù이므로 a+28ùÙ=90ù ∴ ∠a=62ù …… 40%62ù

17

PBÓ=;2!;APÓ이므로 APÓ=2PBÓ BQÓ=;2!; QCÓ이므로 QCÓ=2BQÓ ACÓ=ABÓ+BCÓ=(APÓ+PBÓ)+(BQÓ+QCÓ) =(2PBÓ+PBÓ)+(BQÓ+2BQÓ)=3(PBÓ+BQÓ)=3PQÓ ∴ PQÓ=;3!;ACÓ=;3!;_18=6(cm) 6`cm

18

∠AOD=7∠COD이고 ∠AOC+∠COD=∠AOD이므로 90ù+∠COD=7∠COD, 6∠COD=90ù ∴ ∠COD=15ù 이때 ∠DOB=180ù-(90ù+15ù)=75ù이고

∠DOB=3∠DOE이므로 75ù=3∠DOE ∴ ∠DOE=25ù ∴ ∠COE=∠COD+∠DOE=15ùÙ+25ùÙ=40ù 40ù

19

시계의 시침은 1시간에 360ùÖ12=30ù씩, 1분에 30ùÖ60=0.5ù씩 움직이고, 분침은 1분에 360ùÖ60=6ù씩 움직인다. 시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4시간 40분 동안 움직인 각의 크기는 30ù_4+0.5ù_40=140ù 분침이 시계의 12를 가리킬 때부터 40분 동안 움직인 각의 크기는 6ù_40=240ù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240ù-140ù=100ù 100ù 1. 기본 도형

(8)

Ⅰ. 기본 도형

2.

위치 관계

평면에서의 위치 관계

01

개념

본교재 | 26 쪽 개념 콕콕

1

⑴ 점 A, 점 B ⑵ 점 C, 점 D

2

⑴ 변 AD, 변 BC ⑵ 변 AD 본교재 | 27 쪽

대표

유형

1 1 -1 ②, ⑤ 1 -2 ㄱ, ㄷ 2 2 -1 ③, ⑤ 2 -24개 1 -1 ① 점 A는 직선 l 위에 있다. ③ 직선 l은 점 D 를 지난다. ④ 두 점 A, D를 지나는 직선은 직선 l 하나뿐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⑤이다.  ②, ⑤ 1 -2 ㄴ. 점 D는 평면 P 위에 있다. ㄷ. 직선 l 위에 있지 않은 점은 점 A, 점 C의 2개이다. ㄹ. 평면 P 위에 있는 점은 점 B, 점 C, 점 D의 3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ㄱ, ㄷ 2 -1 ③ ABê와 DCê는 한 점에서 만난다. ⑤ ADê와 BCê는 평행하므로 교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③, ⑤ 2 -2 AFê, BCê, CDê, EFê의 4개 4개

공간에서 두 직선의 위치 관계

02

개념

본교재 | 28 쪽 개념 콕콕

1

⑴ 꼬인 위치에 있다. ⑵ 평행하다. ⑶ 한 점에서 만난다.

2

⑴ 모서리 AC, 모서리 AD, 모서리 BC, 모서리 BE ⑵ 모서리 DE ⑶ 모서리 CF, 모서리 DF, 모서리 EF

2

⑶ 모서리 AB와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모서리는 모서리 CF, 모서리 DF, 모서리 EF이다. 본교재 | 29 쪽

대표

유형

33 -1 3 -244 -1 ②, ③ 4 -211 3 -1 모서리 AE와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모서리는 모서리 BC, 모서리 CD, 모서리 FG, 모서리 GH이다. 따라서 모서리 AE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가 아닌 것은 ③ 모서 리 DH이다.  ③ 3 -2 BDÓ와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모서리는 모서리 AE, 모서리 CG, 모서리 EF, 모서리 FG, 모서리 GH, 모서리 HE의 6개이다.  ④ 4 -1 ② 모서리 BC와 모서리 EF는 평행하다. ③ 모서리 BE와 모서리 DF는 꼬인 위치에 있다.  ②, ③ 4 -2 모서리 AF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BG, 모서리 CH, 모서리 DI, 모서리 EJ의 4개이므로 a=4

모서리 AE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BG, 모서리 CH, 모서리 DI, 모서리 FG, 모서리 GH, 모서리 HI, 모서리 IJ의 7개 이므로 b=7a+b=4+7=11 11

공간에서 직선과 평면의 위치 관계

03

개념

본교재 | 30 쪽 개념 콕콕

1

⑴ 모서리 AB, 모서리 BC, 모서리 CD, 모서리 DA ⑵ 모서리 EF, 모서리 FG, 모서리 GH, 모서리 HE ⑶ 모서리 AE, 모서리 BF, 모서리 CG, 모서리 DH ⑷ 면 ABFE, 면 BFGC ⑸ 면 AEHD, 면 CGHD ⑹ 면 ABCD, 면 EFGH 본교재 | 31 쪽

대표

유형

5 ③, ④ 5 -1 5 -28 6 17 6 -121

(9)

5 -1

④ 면 ADEB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CF의 1개이다.

⑤ 면 DEF와 수직인 모서리는 모서리 AD, 모서리 BE, 모서리 CF의 3개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⑤

5 -2

면 GHIJKL과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AB, 모서리 BC, 모서리 CD, 모서리 DE, 모서리 EF, 모서리 FA의 6개이므로 a=6 모서리 AG와 수직인 면은 면 ABCDEF, 면 GHIJKL의 2개이므b=2a+b=6+2=8 8 6 -1 점 A에서 면 CGHD에 내린 수선의 발이 점 D이므로 구하는 거리 는 ADÓ=FGÓ=9(cm) ∴ a=9 점 F에서 면 ABCD에 내린 수선의 발이 점 B이므로 구하는 거리 는 BFÓ=DHÓ=12(cm) ∴ b=12a+b=9+12=21 21

공간에서 두 평면의 위치 관계

04

개념

본교재 | 32 쪽 개념 콕콕

1

⑴ 면 ABFE, 면 BFGC, 면 CGHD, 면 AEHD ⑵ 면 EFGH

⑶ 면 ABCD, 면 ABFE, 면 EFGH, 면 CGHD

2

3개 ⑵ 2개 ⑶ 1개

2

⑴ 면 ABED, 면 BEFC, 면 ADFC의 3개 ⑵ 면 ABC, 면 DEF의 2개 ⑶ 면 ABC의 1개 본교재 | 33 쪽

대표

유형

7 ①, ⑤ 7 -1 7 -2 ㄱ, ㄹ 88 -1 모서리 CF, 모서리 DF, 모서리 EF 8 -26 7 -1 ③ 면 BFGC와 면 AEHD는 평행하다.  ③ 7 -2 ㄴ. 면 ABGF와 면 BGHC는 수직이 아니다. ㄷ. 면 CHID와 면 FGHIJ의 교선은 모서리 HI이다.

ㄹ. 면 AFJE와 수직인 면은 면 ABCDE, 면 FGHIJ의 2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 ㄱ, ㄹ 8 -2 모서리 AD와 평행한 면은 면 BFGC, 면 EFGH의 2개이므로 a=2 모서리 BC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AE, 모서리 DH, 모서리 EF, 모서리 GH의 4개이므로 b=4a+b=2+4=6 6 본교재 | 34 ~ 35 쪽

0

1

0

2

6개

0

3

0

4

0

5

모서리 CD, 모서리 DE

0

6

0

7

7

0

8

0

9

10

11

1

12

ㄴ, ㄷ

13

①, ③ 배운대로

해결하기

0

1

⑤ 두 직선 l, n의 교점은 점 D의 1개이다.  ⑤

0

2

ABê, BCê, CDê, EFê, FGê, GHê의 6개 6개

0

3

ㄱ.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 mn이면 m n l ln이다. ㄴ.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 l⊥n이면 m l n m⊥n이다. ㄷ.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 l⊥n이면 l m n mn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③

0

4

①, ②, ④, ⑤ 한 점에서 만난다. ③ 꼬인 위치에 있다.  ③ 2. 위치 관계

(10)

0

6

주어진 전개도로 삼각뿔을 만들면 오른쪽 그림 A(C, E) D B F 과 같으므로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 서리는 모서리 DF이다.  ⑤

0

7

모서리 AE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BF, 모서리 CG, 모서리 DH의 3개이므로 a=3 모서리 CD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AE, 모서리 BF, 모서리 FG, 모서리 EH의 4개이므로 b=4a+b=3+4=7 7

0

8

① BDÓ와 평행한 면은 면 EFGH의 1개이다. ② 모서리 BC와 수직인 면은 면 ABFE, 면 CGHD의 2개이다. ③ 면 BFHD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AE, 모서리 CG의 2개 이다. ④ 면 EFGH와 수직인 모서리는 모서리 AE, 모서리 BF, 모서리 CG, 모서리 DH의 4개이다. ⑤ FH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AB, 모서리 BC, 모 서리 CD, 모서리 DA, 모서리 AE, 모서리 CG의 6개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 ③

0

9

면 AEHD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BF, 모서리 FG, 모서리 GC, 모서리 CB의 4개이므로 a=4 모서리 DC를 포함하는 면은 면 ABCD, 면 DHGC의 2개이므로 b=2 모서리 BF와 수직인 면은 면 ABCD, 면 EFGH의 2개이므로 c=2a+b+c=4+2+2=8  ②

10

점 A에서 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이 점 E이므로 구하는 거리 는 AEÓ=BFÓ=14(cm) ∴ a=14

점 E에서 면 CGHD에 내린 수선의 발이 점 H이므로 구하는 거리 는 EHÓ=ADÓ=7(cm) ∴ b=7

a+b=14+7=21  ④

11

면 BHIC와 평행한 면은 면 FLKE의 1개이므로 a=1

면 BHIC와 수직인 면은 면 ABCDEF, 면 GHIJKL의 2개이므로 b=2b-a=2-1=1 1

12

ㄱ. 모서리 AB와 모서리 AC는 수직으로 만나지 않는다. ㄴ. 모서리 BC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AD, 모서리 DE, 모서리 DF의 3개이다.

ㄹ. 면 BCFE와 수직인 면은 면 ABC, 면 ADFC, 면 DEF의 3 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 ㄴ, ㄷ

13

① 모서리 AB와 모서리 CD는 꼬인 위치에 있다. ③ 면 ABC와 모서리 AD는 한 점에서 만나지만 수직이 아니다.  ①, ③

동위각과 엇각

05

개념

본교재 | 36 쪽 개념 콕콕

1

⑴ ∠e ⑵ ∠c ⑶ ∠e ⑷ ∠d

2

110ù ⑵ 70ù ⑶ 110ù ⑷ 95ù

2

⑴ ∠b의 동위각은 ∠e이고 ∠e=110ù (맞꼭지각) ⑵ ∠c의 동위각은 ∠f 이고 ∠f=180ù-110ù=70ù ⑷ ∠d의 엇각은 ∠c이고 ∠c=95ù (맞꼭지각) 본교재 | 37 쪽

대표

유형

11 -1 ②, ④ 1 -2 ㄱ, ㄷ 22 -1 2 -2155ù 1 -1 ① ∠a와 ∠f 는 엇각이 아니다. ③ ∠c의 엇각은 ∠e, ∠i이다. ⑤ ∠h의 엇각은 ∠b이다.  ②, ④ 1 -2 ㄴ. ∠b의 동위각은 ∠f, ∠i이다. ㄹ. ∠h의 엇각은 ∠b, ∠j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ㄱ, ㄷ 2 -1

① ∠a의 동위각은 ∠e이고 ∠e=180ù-105ù=75ù ③ ∠c의 동위각은 ∠f 이고 ∠f=180ù-105ù=75ù ④ ∠d의 엇각은 ∠b이고 ∠b=130ù (맞꼭지각) ⑤ ∠f 의 엇각은 ∠a이고 ∠a=180ù-130ù=50ù

(11)

4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pq가 되도 45° 45° 35° 35° 15° 15° l p q m 록 두 직선 p, q를 그으면 x=35ù+15ù=50ù  ② 5 -1 ∠GFE=180ù-125ù=55ù ADÓBCÓ이므로 ∠DEF=∠GFE=55ù ∠GEF=∠DEF=55ù (접은 각) 따라서 삼각형 EGF에서 55ù+∠x+55ù=180ù이므로 x+110ù=180ù ∴ ∠x=70ù 70ù 5 -2 ∠EAG=90ù이므로 ∠FAG=90ù-22ù=68ù ∠FGC=∠AGF=∠x (접은 각) ADÓBCÓ이므로 ∠AFG=∠FGC=∠x (엇각) 따라서 삼각형 AGF에서 68ù+∠x+∠x=180ù이므로 2∠x=112ù ∴ ∠x=56ù 56ù 6 -1 ㄱ. 오른쪽 그림에서 동위각의 크기가 같지 않 50° 50° 55° l m 으므로 두 직선 l, m은 평행하지 않다. ㄴ. 오른쪽 그림에서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95° 85° l m 95° lm ㄷ. 오른쪽 그림에서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35° 35° 145° l m lm ㄹ. 오른쪽 그림에서 동위각의 크기가 같지 않 105° 100° 100° l m 으므로 두 직선 l, m은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두 직선 l, m이 평행한 것은 ㄴ, ㄷ이다.  ③ 본교재 | 41 쪽

0

1

0

2

0

3

0

4

23ù

0

5

0

6

0

7

lm, pq 배운대로

해결하기

0

1

③ ∠b의 동위각은 ∠f 이고 ∠f=180ù-110ù=70ù 2 -2 (∠x의 엇각의 크기)=180ù-120ù=60ù (∠y의 동위각의 크기)=180ù-85ù=95ù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의 합은 60ù+95ù=155ù 155ù

평행선의 성질

06

개념

본교재 | 38 쪽 개념 콕콕

1

⑴ ∠x=40ù, ∠y=40ù ⑵ ∠x=65ù, ∠y=115ù

2

⑴ 같지 않다, 평행하지 않다 / 55 ⑵ 같다, 평행하다 / 80

1

⑴ ∠x=40ù (엇각), ∠y=40ù (동위각) ⑵ ∠x=65ù (엇각), ∠y=180ù-∠x=180ù-65ù=115ù 본교재 | 39 ~ 40 쪽

대표

유형

33 -1 3 -270ù 44 -1 4 -25 100ù 5 -170ù 5 -256ù 66 -13 -1 오른쪽 그림에서 6x-40° x+10° x+10° l m (6∠x-40ù)+(∠x+10ù)=180ù 7∠x-30ù=180ù, 7∠x=210ù ∴ ∠x=30ù  ④ 3 -2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 x 65° 65° 45° 45° l m 의 합이 180ù이므로 x+45ù+65ù=180ù x+110ù=180ù ∴ ∠x=70ù70ù 4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n이 되도록 63° 63° 32°32 ° l n m 직선 n을 그으면x=32ù+63ù=95ù  ⑤ 2. 위치 관계

(12)

④ ∠c의 엇각은 ∠e이고 ∠e=110ù (맞꼭지각) ⑤ ∠d의 동위각은 ∠g이고 ∠g=180ù-110ù=70ù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⑤

0

2

오른쪽 그림에서 x y 100° 80° 45° 135° l mx=45ù (엇각), ∠y=80ù (동위각) ∴ ∠y-∠x=80ù-45ù=35ù  ④

0

3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x x-15° x-15° 75° l m 합이 180ù이므로 75ù+∠x+(∠x-15ù)=180ù 2∠x+60ù=180ù, 2∠x=120ù ∴ ∠x=60ù  ④

0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n이 되도록 x x 38° l m n 38° 직선 n을 그으면 38ù+∠x=61ù ∴ ∠x=23ù 23ù

0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pq가 되도록 25° 25° 30°30 ° 75° 105° 75° l p q m 두 직선 p, q를 그으면 x=105ù+25ù=130ù  ④

0

6

∠FEC=∠GEF=∠x (접은 각) ADÓBCÓ이므로 ∠GFE=∠FEC=∠x (엇각) 따라서 삼각형 GEF에서 40ù+∠x+∠x=180ù이므로 2∠x=140ù ∴ ∠x=70ù  ⑤

0

7

오른쪽 그림에서 두 직선 l, m이 직선 q 60° 65° 115° 120° l m n p q 120° 65° 와 만날 때, 엇각의 크기가 65ù로 같으므lm 두 직선 p, q가 직선 n과 만날 때, 동위각 의 크기가 120ù로 같으므로 pqlm, pq 본교재 | 42 ~ 44 쪽 개념 넓히기로

마무리

0

1

ㄱ, ㄹ

0

2

0

3

①, ③

0

4

0

5

4쌍

0

6

ㄱ, ㄴ

0

7

9

0

8

0

9

a=60ù, ∠b=120ù

10

11

45ù

12

13

57ù

14

15

10

16

130ù

17

90ù

18

19

①, ④

20

90ù

0

1

ㄴ. 점 D는 직선 l 위에 있지만 점 E는 직선 l 위에 있지 않다. ㄷ. 직선 l 밖에 있는 점은 점 A, 점 B, 점 E의 3개이다. ㄹ. 평면 P 위에 있는 점은 점 B, 점 C, 점 D, 점 E의 4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 ㄱ, ㄹ

0

2

⑤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은 한 평면 위에 있지 않으므로 평면이 하나로 정해지지 않는다.  ⑤

0

3

① BDÓ와 한 점에서 만나는 모서리는 모서리 AB, 모서리 BC, 모 서리 CD, 모서리 DA, 모서리 BF, 모서리 DH의 6개이다. ② 모서리 BF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AD, 모서리 DC, 모서리 EH, 모서리 HG의 4개이다. ③ FHÓ와 수직인 모서리는 모서리 BF, 모서리 DH의 2개이다. ④ 모서리 AB와 수직인 면은 면 AEHD, 면 BFGC의 2개이다. ⑤ 면 BFHD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AE, 모서리 CG의 2개 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①, ③이다.  ①, ③

0

4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삼각기둥은 오른쪽 그림 J H I(A, G) D(B, F) C E 과 같다. 면 CDE와 한 점에서 만나는 모서리는 모서리 JC, 모서리 AB, 모서리 HE의 3개이므로 a=3 모서리 AB와 평행한 면은 면 JCEH의 1개이 므로 b=1

2a+b=2_3+1=7  ②

0

5

서로 평행한 두 면은 면 ABCDEF와 면 GHIJKL, 면 ABHG와 면 DJKE, 면 BHIC와 면 EKLF, 면 CIJD와 면 AGLF의 4쌍이

(13)

0

6

ㄱ.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 l⊥P이면 l m P m⊥P이다. ㄴ. 오른쪽 그림과 같이 l⊥P, m⊥P이면 lm이 l m P 다. ㄷ. 오른쪽 그림과 같이 l⊥P, PQ이면 l⊥Q이 l P Q 다. ㄹ. 오른쪽 그림과 같이 P⊥Q, R⊥Q P P Q Q R R 이면 두 평면 P, R는 평행하거나 한 직선에서 만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ㄱ, ㄴ

0

7

면 ADGC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BE, 모서리 EF, 모서리 FI, 모서리 IH, 모서리 HB의 5개이므로 a=5

면 ABHJC와 수직인 면은 면 ABED, 면 BEFIH, 면 JIFGC, 면 ADGC의 4개이므로 b=4a+b=5+4=9 9

0

8

③ ∠d의 동위각은 ∠h, ∠k이다.  ③

0

9

오른쪽 그림에서 ∠a+28ù=88ù(동위각) a l m b 88° 28° b 이므로 ∠a=60ù 이때 ∠a+∠b=180ù이므로 60ù+∠b=180ù ∴ ∠b=120ù  ∠a=60ù, ∠b=120ù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n이 되도록 l n m 3x 3x x x 180°-3x 직선 n을 그으면x+(180ù-3∠x)=130ù 180ù-2∠x=130ù, 2∠x=50ù ∴ ∠x=25ù  ③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n이 되도록 직 l n m x 60° 75° 75° 30° 30° 선 n을 그으면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180ù이므로 60ù+∠x+75ù=180ùx+135ù=180ù ∴ ∠x=45ù45ù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pq가 되도 a b c d a a+b a+b+c l p q m 록 두 직선 p, q를 그으면 a+∠b+∠c+∠d=180ù  ④

13

∠EAG=90ù이므로 ∠FAG=90ù-24ù=66ù ∠FGC=∠AGF=∠x (접은 각) ADÓBCÓ이므로 ∠AFG=∠FGC=∠x (엇각) 따라서 삼각형 AGF에서 66ù+∠x+∠x=180ù이므로 2∠x=114ù ∴ ∠x=57ù 57ù

14

① ∠a=∠c (맞꼭지각)이므로 ∠a=∠g이면 ∠c=∠g 즉,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lm ② ∠c=∠e이면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lm

③ ∠a+∠b=180ù이므로 ∠b+∠e=180ù이면 ∠a=∠e 즉,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lmlm이면 ∠b=∠f (동위각) 즉, ∠b+90ù이면 ∠b+∠f+180ùlm이면 ∠c=∠g=180ù-∠h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 ④

15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CH, 모서리 DI, 모서리 EJ, 모서리 GH, 모서리 HI, 모서리 IJ, 모서리 JF의 7개

이므로 a=7 …… 60% 면 AFJE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BG, 모서리 CH, 모서리 DI의 3개이므로 b=3 …… 30%a+b=7+3=10 …… 10%10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pq가 되도 l p q m 40° 40° 90° 90° 35° 35° 록 두 직선 p, q를 그으면 …… 50%x=90ù+40ù=130ù …… 50%130ù 2. 위치 관계

(14)

17

∠GFE=180ù-150ù=30ù ADÓBCÓ이므로 ∠FEC=∠GFE=30ù (엇각) ∴ ∠x=30ù …… 45% ∠GEF=∠FEC=30ù (접은 각) 삼각형 GEF에서 ∠y+30ù+30ù=180ù이므로y+60ù=180ù ∴ ∠y=120ù …… 45% ∴ ∠y-∠x =120ù-30ù =90ù …… 10%90ù

18

주어진 전개도로 만든 정육면체는 오른 A(M, I) B(D, H) N C F E(G) L(J) K 쪽 그림과 같다. ①, ④ 평행하다. ②, ③ 한 점에서 만난다.  ⑤

19

② 다음 그림과 같이 공간에서 한 직선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직선 은 한 점에서 만나거나 평행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③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공간에서 한 직 선에 평행한 서로 다른 두 평면은 만 나거나 평행하다. ⑤ 다음 그림과 같이 공간에서 한 평면에 평행한 서로 다른 두 직선 은 한 점에서 만나거나 평행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④이다.  ①, ④

20

오른쪽 그림과 같이 lmn이 되도록 직 l aa a b b b n m B E F C D A 선 n을 긋고 ∠DAC=∠BAC=∠a, ∠ABC=∠CBE=∠b라고 하면 ∠ACF=∠DAC=∠a (엇각), ∠FCB=∠CBE=∠b (엇각) ∴ ∠ACB =∠ACF+∠FCB =∠a+∠b 삼각형 ABC에서 ∠a+∠b+(∠a+∠b)=180ù이므로 2(∠a+∠b)=180ù ∴ ∠a+∠b=90ù ∴ ∠ACB=∠a+∠b=90ù 90ù Ⅰ. 기본 도형

3.

작도와 합동

작도, 길이가 같은 선분의 작도

01

개념

본교재 | 46 쪽 개념 콕콕

1

_ ⑵ _ ⑶ ◯ ⑷ ◯ ⑸ ◯

2

㉡ → ㉠ → ㉢

1

⑴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을 작도라 고 한다. ⑵ 작도할 때에는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하므로 자로 선분의 길이를 잴 수 없다. 본교재 | 47 쪽

대표

유형

1 ②, ③ 1 -1 22 -12 -1 점 C를 작도하기 위해서는 직선 l 위에 ABÓ의 길이를 한 번 옮기면 되므로 사용되는 도구는 컴퍼스이다.  ③

크기가 같은 각, 평행선의 작도

02

개념

본교재 | 48 쪽 개념 콕콕

1

⑴ ㉢, ㉡, ㉣, ㉤ ⑵ OBÓ, PDÓ,CDÓ,∠CPD

2

⑴ ㉠, ㉡, ㉥, ㉢, ㉣ ⑵ 동위각 본교재 | 49 쪽

대표

유형

33 -1 ㄱ, ㄷ 4 ③, ④ 4 -1 4 -2 ②, ⑤ 3 -1 ㄱ. 두 점 O, P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 로 OAÓ=PCÓ ㄴ. OXÓ=OYÓ인지는 알 수 없다.

(15)

ㄷ. 두 점 B, D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 로 ABÓ=CDÓ ㄹ. ∠OAB=∠CPD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ㄱ, ㄷ 4 -1 ① 두 점 A, P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 로 ABÓ=ACÓ=PQÓ=PRÓ ② 두 점 B, Q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 로 BCÓ=QRÓ ③ ∠BAC=∠QPR, 즉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ACêPRê ④ ∠ABC=∠BAC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 ④ 4 -2 두 점 A, P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로 ABÓ=ACÓ=PQÓ=PRÓ 따라서 ACÓ와 길이가 같은 선분이 아닌 것은 ②, ⑤이다.  ②, ⑤ 본교재 | 50 쪽

0

1

0

2

0

3

컴퍼스, AB Ó, 정삼각형

0

4

②, ⑤

0

5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0

6

0

7

② 배운대로

해결하기

0

1

ㄱ. 작도할 때에는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한다. ㄹ. 주어진 각과 크기가 같은 각을 작도할 때에는 눈금 없는 자와 컴 퍼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 ③

0

2

㉣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하여 직선을 긋는다. ㉡ 직선 위에 점 C를 잡는다. ㉠ 컴퍼스를 사용하여 ABÓ의 길이를 잰다. ㉢ 점 C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ABÓ인 원을 그려 직선과의 교 점을 D라고 한다. 따라서 작도 순서는 ㉣ → ㉡ → ㉠ → ㉢이다.  ⑤

0

4

① 두 점 B, D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 로 ABÓ=CDÓ ② OAÓ=CDÓ인지는 알 수 없다. ③ 두 점 O, O'을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 로 OAÓ=OBÓ=OÕ'CÓ=OÕ'DÓ ④ 크기가 같은 각을 작도한 것이므로 ∠XOY=∠X'O'Y' ⑤ ㉡ 점 O를 중심으로 원을 그려 OX³, OY³와의 교점을 각각 A, B

라고 한다. ㉤ 점 O'을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OAÓ인 원을 그려 OÕ'Y'³과 의 교점을 D라고 한다. ㉠ 컴퍼스를 사용하여 ABÓ의 길이를 잰다. ㉣ 점 D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ABÓ인 원을 그려 ㉤의 원 과의 교점을 C라고 한다. ㉢ OÕ'C³를 긋는다. 즉, 작도 순서는 ㉡ → ㉤ → ㉠ → ㉣ → ㉢이다. 이때 ㉡과 ㉤의 순서를 바꾸어 작도해도 된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⑤이다.  ②, ⑤

0

5

㉥ 점 P를 지나는 직선을 그어 직선 l과의 교점을 A라고 한다. ㉡ 점 A를 중심으로 원을 그려 APê, 직선 l과의 교점을 각각 B, C 라고 한다. ㉤ 점 P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ABÓ인 원을 그려 APê와의 교 점을 Q라고 한다. ㉠ 컴퍼스를 사용하여 BCÓ의 길이를 잰다. ㉣ 점 Q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BCÓ인 원을 그려 ㉤의 원과의 교점을 R라고 한다. ㉢ PRê를 긋는다. 따라서 작도 순서는 ㉥ → ㉡ → ㉤ → ㉠ → ㉣ → ㉢이다. 이때 ㉡과 ㉤의 순서를 바꾸어 작도해도 된다.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0

6

①, ② 두 점 A, P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 리므로 ABÓ=ACÓ=PQÓ=PRÓ ③ 두 점 B, Q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같은 원을 각각 그리므 로 BCÓ=QRÓ ④ 크기가 같은 각을 작도한 것이므로 ∠QPR=∠BAC ⑤ ∠PQR=∠QPR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⑤

삼각형

03

개념

본교재 | 51 쪽 개념 콕콕

1

3`cm ⑵ 4`cm ⑶ 45ù

2

_ ⑵ ◯ ⑶ ◯ ⑷ _ 3. 작도와 합동

(16)

본교재 | 54 쪽

대표

유형

33 -1 3 -2 ㉠ ∠A ㉡ A, c, B ㉢ A, b, C 3 -33 -1 ㉡ 직선 l 위에 한 점 B를 잡고 점 B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을 그려 직선 l과의 교점을 C라고 한다. ㉢ 두 점 B, C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c, b인 원을 그려 두 원의 교점을 A라고 한다.

㉠ 점 A와 점 B, 점 A와 점 C를 이으면

ABC가 작도된다. 따라서 작도 순서는 ㉡ → ㉢ → ㉠이다.  ④ 3 -3 세 변의 길이를 그대로 옮기는 작도만 하면 되므로 이용되는 작도 방법은 길이가 같은 선분의 작도이다.  ㄱ

삼각형이 하나로 정해지는 경우

05

개념

본교재 | 55 쪽 개념 콕콕

1

_ ⑵ ◯ ⑶ _ ⑷ _ ⑸ ◯ ⑹ _ ⑺ ◯

1

8=6+2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⑵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 나로 정해진다. ⑶ ∠C는 AB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⑷ ∠B+∠C=180ù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⑸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⑹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다른

ABC가 무수히 많이 만들어진다. ⑺ ∠A=180ù-(∠B+∠C)=180ù-(30ù+40ù)=110ù 즉,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 가 하나로 정해진다. 본교재 | 56 쪽

대표

유형

44 -1 ㄴ, ㄷ 55 -1 ㄱ, ㄷ 5 -2 ①, ④

2

4=1+3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없다.6<2+5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3<3+3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10>4+5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없다. 본교재 | 52 쪽

대표

유형

11 -1 22 -1 ③, ⑤ 2 -21 -1 ∠A의 대변은 변 BC이므로 BCÓ=7`cm 변 AB의 대각은 ∠C이므로 ∠C=180ù-(65ù+75ù)=40ù  ① 2 -114>5+8 15>5+9012<7+817=8+9 20<9+12 따라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될 수 있는 것은 ③, ⑤이다.  ③, ⑤ 2 -2 Ú 가장 긴 변의 길이가 a`cm일 때 a<3+8 ∴ a<11 Û 가장 긴 변의 길이가 8`cm일 때 8<3+a ∴ a>5 Ú, Û에서 5<a<11이므로 a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①이다.  ①

삼각형의 작도

04

개념

본교재 | 53 쪽 개념 콕콕

1

_ ⑵ ◯

1

⑴ ∠A는 BCÓ, A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삼각형을 하나로 작도할 수 없다. ⑵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삼각형을 하 나로 작도할 수 있다.

(17)

0

2

9<3+7 5<4+5 10=4+6 8<6+7 12<7+7 따라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될 수 없는 것은 ③이다.  ③

0

3

Ú 가장 긴 변의 길이가 a`cm일 때 a<6+12 ∴ a<18 Û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2`cm일 때 12<6+a ∴ a>6 Ú, Û에서 6<a<18이므로 a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①이다.  ①

0

4

(2`cm, 3`cm, 4`cm), (2`cm, 4`cm, 5`cm), (3`cm, 4`cm, 5`cm)의 3개 3개

0

5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 삼각형의 작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한다. Ú 한 변의 길이 → 끼인각의 크기 → 다른 한 변의 길이(①, ⑤) Û 끼인각의 크기 → 한 변의 길이 → 다른 한 변의 길이(③, ④) 따라서

ABC를 작도하는 순서로 옳지 않은 것은 ② 이다.  ②

0

6

① 세 변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② ∠C는 AB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③ ∠B는 AC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④ ∠B=180ù-(∠A+∠C)=180ù-(30ù+90ù)=60ù 즉,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 가 하나로 정해진다. ⑤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다른

ABC가 무수히 많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ABC가 하나로 정해지는 것은 ①, ④이다.  ①, ④

0

7

ㄱ. ∠C는 ABÓ, A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ㄴ.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ㄷ. ∠A+∠C=180ù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ㄹ. ∠A=180ù-(∠B+∠C)=180ù-(60ù+70ù)=50ù 즉,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 가 하나로 정해진다. 따라서 더 필요한 조건은 ㄴ, ㄹ이다.  ㄴ, ㄹ 4 -1 ㄱ.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다른

ABC가 무수히 많이 만들어진다. ㄴ.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ㄷ. ∠B=180ù-(∠A+∠C)=180ù-(60ù+80ù)=40ù 즉,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 가 하나로 정해진다. ㄹ. 9=3+6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ABC가 하나로 정해지는 것은 ㄴ, ㄷ이다.  ㄴ, ㄷ 5 -1 ㄱ.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ㄴ. ∠B는 ABÓ, A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ㄷ. ∠B, ∠C의 크기가 주어지면 ∠A의 크기가 정해진다. 즉,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 가 하나로 정해진다.

ㄹ. ∠A는 AB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따라서 더 필요한 조건은 ㄱ, ㄷ이다.  ㄱ, ㄷ 5 -2

① 세 변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② 13>10+2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③, ⑤ ∠A, ∠C는 AB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지지 않는다. ④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 나로 정해진다. 따라서 나머지 한 조건이 될 수 있는 것은 ①, ④이다.  ①, ④ 본교재 | 57 쪽

0

1

0

2

0

3

0

4

3개

0

5

0

6

①, ④

0

7

ㄴ, ㄹ 배운대로

해결하기

0

1

① ∠A의 대변은 변 BC이다. ② 변 AB의 대각은 ∠C이다. ③ ∠B의 대변은 변 AC이고 그 길이는 알 수 없다. ④ 변 BC의 대각은 ∠A이므로 ∠A=180ù-(50ù+35ù)=95ù ⑤ 변 AC의 대각은 ∠B이므로 ∠B=50ù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 ④ 3. 작도와 합동

(18)

삼각형의 합동 조건

07

개념

본교재 | 60 쪽 개념 콕콕

1

QRP, SAS ⑵ KLJ, ASA ⑶ OMN, SSS

1

ABC와

QRP에서 BCÓ=RPÓ=3(cm), ACÓ=QPÓ=4(cm), ∠C=∠P=90ù

ABCª

QRP (SAS 합동) ⑵

DEF와

KLJ에서 EFÓ=LJÓ=5(cm), ∠E=∠L=70ù, ∠F=∠J=50ù

DEFª

KLJ (ASA 합동) ⑶

GHI와

OMN에서

GHÓ=OÕMÓ=5(cm), HIÓ=MNÓ=4(cm), GÕIÕ=ONÓ=6(cm)

GHIª

OMN (SSS 합동) 본교재 | 61 ~ 62 쪽

대표

유형

3 ①, ③ 3 -1 ②, ⑤ 3 -24 ㄱ, ㄷ, ㄹ 4 -1 ㈎ CPÓ ㈏ PDÓ ㈐ CDÓ ㈑ SSS 55 -1 풀이 참조 6 △CDB, ASA 합동

6 -1 ㈎ CEÓ ㈏ ∠CEF ㈐ ∠FCE ㈑ ASA

6 -2 ①, ③ 3 -1 ② 두 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SAS 합 동이다. ⑤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SSS 합동이다.  ②, ⑤ 3 -2 ① SSS 합동 ② SAS 합동 ③ ASA 합동

④ ∠A=∠D, ∠C=∠F이면 ∠B=∠E이므로 ASA 합동 따라서 합동이 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⑤이다.  ⑤

5 -1

AOD와

COB에서

OAÓ=OCÓ, ∠O는 공통, ODÓ=OCÓ+CDÓ=OAÓ+ABÓ=OBÓ

AODª

COB`(SAS 합동)  풀이 참조

6 -2

AOP와

BOP에서 ∠AOP=∠BOP,

∠OAP=∠OBP=90ù이므로 ∠OPA=∠OPB, OPÓ는 공통

도형의 합동

06

개념

본교재 | 58 쪽 개념 콕콕

1

⑴ 점 E ⑵ 변 BC ⑶ ∠D

2

8`cm ⑵ 40ù ⑶ 90ù

2

⑴ ABÓ=DEÓ=8(cm) ⑵ ∠E=∠B=40ù ⑶ ∠F=∠C=180ù-(50ù+40ù)=90ù 본교재 | 59 쪽

대표

유형

1 ①, ⑤ 1 -1 2 ①, ⑤ 2 -1 ③, ⑤ 2 -298 1 -1 ㄱ. 오른쪽 그림과 같은 두 사각형은 3 3 3 3 3 3 3 3 모든 변의 길이가 같지만 합동이 아니다. ㄷ. 오른쪽 그림과 같은 두 이등변삼각형 3 3 1 3 2 2 은 둘레의 길이가 같지만 합동이 아 니다. 따라서 두 도형이 서로 합동인 것은 ㄴ, ㄹ이다.  ④ 2 -1 ① BCÓ=FGÓ=9(cm)

② EFÓ=ABÓ이지만 EFÓ의 길이는 알 수 없다. ③ EHÓ=ADÓ=7(cm) ④ ∠D=∠H=110ù이므로 사각형 ABCD에서 ∠C=360ù-(85ù+70ù+110ù)=95ù ⑤ ∠F=∠B=70ù 따라서 옳은 것은 ③, ⑤이다.  ③, ⑤ 2 -2 EFÓ=BCÓ=8(cm)이므로 x=8 ∠F=∠C=60ù이므로

DEF에서 ∠D=180ù-(30ù+60ù)=90ù ∴ y=90x+y=8+90=98 98

(19)

0

6

② ㄱ과 ㅁ에서 두 변의 길이가 각각 10`cm, 7`cm로 같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 55ù로 같으므로 SAS 합동이다. ⑤ ㄷ에서 나머지 한 각의 크기는 180ù-(55ù+80ù)=45ù 즉, ㄷ과 ㅂ은 한 변의 길이가 10`cm로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 가 각각 45ù, 55ù로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따라서 서로 합동인 삼각형끼리 바르게 짝 지은 것은 ②, ⑤이다.  ②, ⑤

0

7

AOB와

COD에서 OBÓ=ODÓ=140(m), ∠ABO=∠CDO=40ù, ∠AOB=∠COD`(맞꼭지각)

AOBª

COD (ASA 합동)

따라서 CDÓ=ABÓ=130(m)이므로 두 지점 C, D 사이의 거리는 130`m이다. 130`m 본교재 | 64 ~ 66 쪽 개념 넓히기로

마무리

0

1

④, ⑤

0

2

0

3

4

0

4

ㄱ, ㄴ, ㄷ

0

5

2개

0

6

0

7

a ㈏ ∠QCB ㈐ A

0

8

①, ③

0

9

10

①, ④

11

12

③, ⑤

13

14

△DEC, ASA 합동

15

16

9개

17

5`cm

18

10`km

19

20

120ù

21

90ù

0

1

① 선분을 연장할 때에는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한다. ② 원을 그릴 때에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③ 선분의 길이를 잴 때에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④, ⑤이다.  ④, ⑤

0

2

작도 순서는 ㉠ → ㉢ → ㉡ → ㉣ → ㉤ 또는 ㉢ → ㉠ → ㉡ → ㉣ → ㉤이므로 ㉡ 다음에 바로 작도해야 하는 것은 ㉣이다.  ㉣

0

3

PCÓ와 길이가 같은 선분은 OAÓ, OBÓ, PDÓ의 3개이므로 a=3 CDÓ와 길이가 같은 선분은 ABÓ의 1개이므로 b=1a+b=3+1=4 4

AOPª

BOP (ASA 합동)

따라서 이용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①, ③이다.  ①, ③ 본교재 | 63 쪽

0

1

④, ⑤

0

2

49

0

3

②, ⑤

0

4

㈎ ACÓ ㈏ CDÓ ㈐ ADÓ ㈑ SSS

0

5

0

6

②, ⑤

0

7

130`m 배운대로

해결하기

0

1

① 오른쪽 그림과 같은 두 삼각형은 한 변의 2 2 길이가 같지만 합동이 아니다. ② 오른쪽 그림과 같은 두 삼각형은 세 각 55°75° 50° 55° 75° 50° 의 크기가 각각 같지만 합동이 아니다. ③ 오른쪽 그림과 같은 두 사각형은 둘레 2 2 4 4 3 3 3 3 의 길이가 같지만 합동이 아니다. 따라서 두 도형이 합동인 것은 ④, ⑤이다.  ④, ⑤

0

2

EFÓ=ABÓ=4(cm)이므로 x=4 ∠F=∠B=75ù, ∠H=∠D=105ù이므로 사각형 EFGH에서 ∠G=360ù-(135ù+75ù+105ù)=45ù ∴ y=45x+y=4+45=49 49

0

3

① 두 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SAS 합동이다. ③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④ ∠A=∠D, ∠B=∠E이면 ∠C=∠F 즉,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따라서 필요한 조건이 아닌 것은 ②, ⑤이다.  ②, ⑤

0

5

ABD와

ACE에서

ABÓ=ACÓ, ∠BAD=60ù-∠DAC=∠CAE, ADÓ=AEÓ 따라서

ABDª

ACE (SAS 합동)이므로

BDÓ=CEÓ, ∠ABD=∠ACE, ∠ADB=∠AEC

즉,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⑤

3.

(20)

11

①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SSS 합동이다. ② 두 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SAS 합 동이다. ④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⑤ ∠B=∠E, ∠C=∠F이면 ∠A=∠D 즉,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따라서 더 필요한 조건이 아닌 것은 ③이다.  ③

12

90 ⑤ SAS  ③, ⑤

13

ABD와

BCE에서

ABÓ=BCÓ, BDÓ=CEÓ, ∠ABD=∠BCE=60ù 따라서

ABDª

BCE (SAS 합동)이므로 ADÓ=BEÓ, AEÓ=ACÓ-CEÓ=BCÓ-BDÓ=CDÓ, ∠ADB=∠BEC, ∠BAD=∠CBE

즉,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 ③

14

AEB와

DEC에서

ABÓCDÓ이므로 ∠ABE=∠DCE(엇각), BEÓ=CEÓ, ∠AEB=∠DEC (맞꼭지각)

AEBª

DEC (ASA 합동) 

DEC, ASA 합동

15

ABC와

ADE에서

ABÓ=ADÓ, ∠C=∠E, ∠A는 공통이므로 ∠ABC=∠ADE 따라서

ABCª

ADE (ASA 합동)이므로

BCÓ=DEÓ, BEÓ=AEÓ-ABÓ=ACÓ-ADÓ=DCÓ, ∠DFC=∠BFE (맞꼭지각), ∠FBE=180ù-∠ABC=180ù-∠ADE=∠FDC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 ④

16

Ú 가장 긴 변의 길이가 a`cm일 때 a<5+6 ∴ a<11 …… 35% Û 가장 긴 변의 길이가 6`cm일 때 6<a+5 ∴ a>1 …… 35% Ú, Û에서 1<a<11 …… 10% 따라서 자연수 a는 2, 3, 4, …, 10의 9개이다. …… 20%9개

0

4

ㄹ. 엇각의 크기가 같으면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다는 성질을 이용 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ㄱ, ㄴ, ㄷ

0

5

(3`cm, 5`cm, 6`cm), (5`cm, 6`cm, 9`cm)의 2개 2개

0

6

가장 긴 변의 길이가 x+6이므로 x+6<x+(x+2) ∴ x>4  ③

0

8

① 세 변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진다. ② ∠A는 AB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③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가 하 나로 정해진다. ④ ∠B+∠C=183ù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⑤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다른

ABC가 무수히 많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ABC가 하나로 정해지는 것은 ①, ③이다.  ①, ③

0

9

12=6+6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② ∠C는 AB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③ ∠A는 ACÓ, BCÓ의 끼인각이 아니므로

ABC가 하나로 정해 지지 않는다. ④ ∠B=180ù-(∠A+∠C)=180ù-(70ù+40ù)=70ù 즉,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ABC 가 하나로 정해진다. ⑤ ∠B+∠C=180ù이므로

ABC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한 조건은 ④이다.  ④

10

① 나머지 한 각의 크기는 180ù-(100ù+45ù)=35ù 즉,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④ 나머지 한 각의 크기는 180ù-(100ù+35ù)=45ù 즉,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SA 합동이다.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과 합동인 삼각형은 ①, ④이다.  ①, ④

(21)

17

BCG와

DCE에서 BCÓ=DCÓ, ∠BCG=∠DCE=90ù, CGÓ=CEÓ 따라서

BCGª

DCE (SAS 합동)이므로 …… 80% DEÓ=BGÓ=5(cm) …… 20%5`cm

18

AOB와

COD에서 AOÓÓ=COÓ=3(km), ∠BAO=∠DCO, ∠AOB=∠COD`(맞꼭지각)

AOBª

COD (ASA 합동) …… 80%

따라서 CDÓ=ABÓ=10(km)이므로 두 지점 C, D 사이의 거리는

10`km이다. …… 20%

10`km

19

ADF와

BED와

CFE에서

ADÓ=BEÓ=CFÓ, ∠A=∠B=∠C=60ù, AFÓ=BDÓ=CEÓ 따라서

ADFª

BEDª

CFE (SAS 합동)이므로 DFÓ=EDÓ=FEÓÓ, ∠ADF=∠BED 즉,

DEF는 정삼각형이므로 ∠DEF=60ù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 ②

20

ACD와

BCE에서

ACÓ=BCÓ, CDÓ=CEÓ, ∠ACD=∠ACE+60ù=∠BCE

ACDª

BCE (SAS 합동)

∠ACD=180ù-∠ACB=180ù-60ù=120ù이므로

ACD에서 ∠CAD+∠CDA=180ù-120ù=60ù 따라서

PBD에서 ∠x =180ù-(∠CBE+∠CDA) =180ù-(∠CAD+∠CDA) =180ù-60ù =120ù 120ù

21

ABE와

BCF에서

ABÓ=BCÓ, ∠ABE=∠BCF=90ù, BEÓ=CFÓ

ABEª

BCF (SAS 합동)

PBE에서 ∠PBE+∠BEP=∠BAE+∠BEA=90ù이므로 ∠BPE=180ù-90ù=90ù ∴ ∠APF=∠BPE=90ù (맞꼭지각) 90ù Ⅱ. 평면도형

1.

다각형

다각형

01

개념

본교재 | 68 쪽 개념 콕콕

1

ㄴ, ㅁ

2

120ù ⑵ 95ù

1

ㄱ. 선분이 아닌 곡선이 있으므로 다각형이 아니다. ㄷ. 선분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으므로 다각형이 아니다. ㄹ. 평면도형이 아니므로 다각형이 아니다. 따라서 다각형인 것은 ㄴ, ㅁ이다.

2

⑴ ∠x=180ù-60ù=120ù ⑵ ∠x=180ù-85ù=95ù 본교재 | 69 쪽

대표

유형

1 165ù 1 -1 1 -2145ù 2 정팔각형 2 -1 정십각형 2 -21 -1x=180ù-80ù=100ùy=180ù-110ù=70ù ∴ ∠x-∠y=100ù-70ù=30ù  ④ 1 -2 (∠B의 외각의 크기)=180ù-90ù=90ù (∠C의 외각의 크기)=180ù-125ù=55ù 따라서 구하는 합은 90ù+55ù=145ù 145ù 2 -1 조건 ㈎, ㈏ 를 만족시키는 다각형은 정다각형이고 조건 ㈐ 를 만족 시키는 다각형은 십각형이다. 따라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각형은 정십각형이다.  정십각형 2 -2 ① 꼭짓점이 7개인 다각형은 칠각형이다. ② 어떤 다각형에서 한 내각의 크기가 62ù일 때, 이 각의 외각의 크 기는 180ù-62ù=118ù 1. 다각형

참조

관련 문서

17 에너지는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에너지가 새로 생기거나 소멸되지 않고 전체 에 너지의 양은 일정하게 보존된다..

지구의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전등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고 바르게 썼다.. 3 지구의 자전은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이전에 실시한 설문을 통해 수학 과학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려운 과목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수학, 과학 성적이 OECD

식물의 분류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어진 식물 줄기, 씨앗의 특징 을 살펴보고 실제로 분류해 볼

• 각뿔에서 면과 면이 만나는 선을 모서리,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꼭짓점, 옆면을 이루는 모든 삼각형의 공통인 꼭짓점을 각뿔의 꼭짓점, 각뿔의 꼭짓점에서

 필요 없는 단어와 의미 없는 수식 문장들은 삭제하고, 종 속관계를 이용하여 문장을 결합하여 글을 압축한다...

철호는 성적이 좋은 학생이고, 영수도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