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활용 동향과 전망

CHAPTER

4 공간정보 발전 동향 및 전망

본 장에서는 공간정보의 발전과정과 최근의 동향 그리고 향후 발전전망에 대해 서술하였다. 먼저 공간정보 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융합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고, 초연결 시대가 요구하는 공간정보 의 활용수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어서 공간정보의 활용주체와 활용대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활용 수요에 의해 진화하고 있는 위치정보, 지도정보, 상황정보, 지능공간 등 공간정보의 최근 동향과 초연결 시대의 활용전망을 기술하였다.

1. 공간정보의 발전특성

1) 정보통신과 공간정보 기술의 연계 (1)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정

1980년대 말부터 인터넷 사용으로 컴퓨터 간 통신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정보를 주고받는데 장애가 되었던 공간적 거리와 시간은 일거에 해소되었다. 2000년 이후 에 무선통신과 모바일 디바이스 덕분에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접근ㆍ활용할 수 있는 유비 쿼터스1) 정보통신 환경으로 발전하였다. 이후에 와이파이(WiFi), 비콘(Beacon)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기 간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 환경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기나 사물에 ‘연결성’을 제공하는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은 블루투스 (Bluetooth), 와이기그(WiGig),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한 근거리 통신기술과 와 이파이, 롱텀에볼루션(LTE), 스몰셑 등 무선이동통신 기술과 이더넷 등의 유선통신

1)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라틴어 Ubique에서 나온 용어로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존재한다’는 뜻으로, 물이나 공기처럼 도처에 퍼져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정보환경이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상태를 말함

기술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2) 특히, 사물인터넷이 본격화되면서 전력소모가 작으

있으며, 최근에는 인지공학과 공간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등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앞으로 공간정보는 센서정보와 융합하면서 새로운 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센서를 통해서 수집된 빅데이터가 공간정보와 결합하 여 분석ㆍ시각화되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정보나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4-1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

출처 : 사공호상 외(2007), p.136.

(3) 정보통신과 공간정보 기술의 연계변화

아날로그 시대의 정보통신과 공간정보 기술은 서로 무관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디 지털 환경에서 양자는 <그림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면서 발전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통신 환경은 공간정보의 교환과 공유, 갱신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공간정보와 정보통신 의 완전한 결합은 모바일 기기에서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면, 스마 트폰에 GPS와 지도가 탑재되면서 무선통신 환경에서 공간정보 활용이 보편화되었다.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지도를 통해서 주변 환경을 인지할 수 있다. 지금은 너무 익숙한 나머지 당연하게 여기지만 실로 우리 생활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근자에는 센서를 장착한 기기가 와이파이, 비콘 등 근거리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위치와 주변상황을 인지하는 공간정보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정 보통신은 데이터의 송수신과 기기 연결성 제고를 위해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것이 며, 공간정보는 데이터의 설명력 제고와 서비스 창출을 위하여 정교하게 발전해 나갈 것이다. 앞으로 공간정보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며, 양자는 더욱 긴밀하게 융합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4-2 정보통신기술과 공간정보기술의 발전과정

2) 공간정보 활용대상 및 사용자 변화

공간정보 활용의 변화과정을 시대별로 살펴보면 크게 지역중심, 객체중심, 사람중 심, 기기중심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80년대는 지역계획 또는 도시계획을 수립하거나 도로건설 등 대형 토목공사를 시행할 때 주로 종이지도를 활용하였다. 종이지도는 제 한된 크기에 담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대축척과 소축척으로 구분되며, 소축척일수록 지역범위는 넓지만 정보는 빈약하다. 1990년대는 종이지도가 수치지도로 전환된 시기 이다. 수치지도는 도로, 철도, 하천, 행정구역 등 객체 단위로 데이터를 구축하고 목적 에 따라 선택ㆍ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콘텐 츠로 활용되었다. 2000년대는 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간정보를 활용하였다. 모바 일 기기는 이동성이 좋은데 비해 공간정보를 표출하는 면은 매우 작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움직이는 주변의 공간정보를 연속적으로 표출하는 특성이 있다. 자동 차 및 실내 네비게이션이 좋은 사례다. 향후 사물인터넷 환경에서는 사람보다 센서와 기기가 공간정보를 더 많이 이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4-3 공간정보 활용의 발전전망

출처: Steve Liang(2016).

3) 공간정보의 활용특성

종이지도에서 수치지도로, 컴퓨터에서 모바일 기기로 공간정보의 형태와 활용환경 이 변하면서 광범위한 지역보다는 점차 좁은 공간을 상세하게 표현하는 경향이 늘어나 고 있다. 광범위한 지역은 소축척의 지도를 활용하고, 도시지역처럼 조밀한 지역은 대 축척 지도를 활용한다. 수치지도가 보편화된 이후에는 축척보다는 데이터의 내용이 더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종이지도를 활용할 당시는 표현의 한계로 인해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수시로 갱신하기도 어려웠다. 그러나 디지털로 변환된 이 후에는 축척과 내용에 제한이 없어졌다.

무선통신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목적지를 검색하거나 길안내를 받는 것이 일상 화되었다. 또한 실내 공간정보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공간정보 이용범위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가시권 공간으로 작아지고 있다. 그 반면 공간정보의 정밀성과 정확성은 점

차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공간정보의 활용특성을 도식화하면 <그림 4-4>와 같다.

그림 4-4 공간정보 활용의 특성

출처: 사공호상(2016), p.2.

2.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활용 동향과 전망

1)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활용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