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CHAPTER 1

연구의 개요

CHAPTER

1 연구의 개요

이 장에서는 연구를 수행하게 된 배경, 목적 및 연구의 범위와 전반적인 연구수행 방법을 서술하 였다. 또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기대효과도 제시하였다.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스마트 기기와 센서,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람, 사물, 공간 등이 언제 어디서나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Society)로 발전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이 견인하고 있는 초연결 사회는 생활, 경제, 산업, 문화 등 모든 분야의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2016년 1월에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전시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 의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드론, 증강현실, 기계학습 등이 주목 을 받았다. 또한 같은 해에 개최된 제46회 다보스 포럼의 주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만드는 새로운 산업과 통치시스템 그리고 생활방식의 혁명 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 가트너(Gartner)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기기의 수가 2016년에 는 64억개, 2020년에는 208억 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1) 또한 IDC가 2015년 초

1) Information Week, 2015.11.10., 「Gartner: 21 Billion IoT Devices To Invade By 2020」, (http://www.informationweek.com/mobile/mobile-devices/gartner-21-billion-iot-devices-to- invade-by-2020/d/d-id/1323081, 2016.10. 12 최종접속)

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IoT 시장은 기기, 연결성 및 IT 서비스를 중심으로 invade-by-2020/d/d-id/1323081, 2016.10. 12 최종접속)

3) 미래부의 ‘15년 IoT R&D 예산은 239.01억 원으로 전체 과학기술·ICT 분야 R&D 예산(3조 9520억원)의 0.6%

에 불과함[미래창조과학부 ‘2015년도 과학기술 ICT 분야 R&D 사업 종합시행계획’(2015.1.4. 발표자료) 참조]

4) ZERONOVA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 최적화 빅데이터 활용사례」, (https://zeronova.kr/2013/08/07/

seoul-bus-route-optimization/ 2016.11. 30 최종접속)

보는 쓰레기를 실어 나르는 차량이 지정된 장소에 쓰레기를 처리하는 지 등을 추적할

상호 기능과 역할 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와 사물인터넷을 효과적으로

∙ Mobile Devices, Personalize

∙ Realtime, Seamless, Interactive(Live)

∙ High Accuracy, High Precision 등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적 범위는 정보통신기술과 공간정보기술 의 발전 속도를 감안하여 최근 1~2년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정책건의는 향후 3년 이내에 반영 또는 고려할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공간적 범위는 초연결사회로의 진입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므로 국내외를 구분하지 않고 동향을 파악하되, 정책은 국 내 공간정보정책에 한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적 범위는 초연결사회를 견인 하는 핵심기술인 사물인터넷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국내외 추진동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공간정보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자체 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우선,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의 접점, 양자 간 상호작용 등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틀을 분석하고 공간정보기반 사물인터넷 (Geo-IoT)의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연결사회의 수요에 부응하는 공간정 보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2) 연구의 방법

사물인터넷에 관한 연구는 많은데 비해 공간정보와 사물인터넷 간 관계에 대한 연구 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단행본 보고서는 발견하지 못했고 학술논문도 소수에 불과했 다. 다만 가트너(Gartner), 매키나 리서치(Machina Research) 등과 같은 컨설팅 회 사에서 발간한 사물인터넷 동향 리포터에서 지리정보나 위치정보 활용의 유용성에 대 해 가끔 다루고 있는 것이 전부다. 이와 같이 참고할 자료가 부족하여 주로 최신 뉴스 와 언론보도, 세미나, 컨퍼런스 등에 참여하여 가능한 정보와 자료를 획득하였다. 사 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관련 세미나를 통해서 기술과 산업 그리고 서비스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공간정보 정책과 연계하고자 노력했다.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Geo-IoT World Forum 2016 에 참석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6) 이 포럼은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 관련 유럽 전문가들이 모여서 양자의 융합

6) Geo IoT World 홈페이지 http://www.geoiotworld.com/, 참조

에 관한 주제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자리다. 이틀 동안 개최된 이 포럼에 참석하여 발표 를 듣고 참석자와 아이디어를 교환하면서 공간정보와 사물인터넷 간 융합에 관한 개념 을 정리할 수 있었다.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 융합서비스 현장사례는 ‘북촌 사물인터넷 실증단지’를 대상 으로 살펴보았다. 서울시 정보통신과 공간정보 관계자를 방문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 를 위한 공간정보의 기능과 역할, 제공방법 등에 관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그리고 시범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물인터넷 기업관계자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와이파이, 비콘 등 통신설비 등 인프라시설을 확인하였다.

초연결 시대에 대응한 공간정보 정책을 개발하는 동안 학계, 연구원, 산업계 등 관 련분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정책안을 마련한 후에도 정책의 타당성 에 대해 관련학회와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가능한 많은 의견을 수렴하였다. 고정밀 위 치정보를 획득하는 기술분야와 글로벌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는 관계 전문가에게 원고 를 청탁하였다.

연구를 마무리하기 전에 공간정보와 사물인터넷을 융합한 Geo-IoT 산업의 발전동 향과 전망에 대해 오픈 세미나를 개최하여, 관련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융합산 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타진하였다.7) 이 세미나에서는 위치기반 실내 IoT, IoT 기반 재난안전, Geo-IoT 구현을 위한 센서융합 등 공간정보와 사물인터넷을 융합한 서비스 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데이터와 시스템 구축 중심의 전통적인 공간정보산업이 성장의 한계에 봉착한 어려운 상황에서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를 융합한 Geo-IoT는 새로운 공간정보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참석자들의 중론이었다.

7) 「Geo-IoT 산업발전을 위한 전략 세미나」, 2016.10.27, 국토연구원.

그림 1-2 연구의 흐름과 수행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