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접근방법 접근방법 접근방법 접근방법

가 가 가

가 . . . . 삶의 삶의 삶의 삶의 질에 질에 질에 질에 대한 대한 대한 대한 관점비교 관점비교 관점비교 관점비교

삶의 질과 관련된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직면하는 일차적인 문제는 삶의 질 의 정의와 그 기준의 문제이다(Veenhoven, 1991). Stewart와 King(1994)에 의하면 삶의 질의 원초적 의미는 주관적 인식이었는데, 측정상의 어려움 때문 에 객관적 요소까지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변화되었다고 하였다 (안희정, 2000).

따라서 그 동안 삶의 질 연구의 관심사는 주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합 당한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 객관적 조건들과 주관적 만족도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가장 관심 있게 다루어져 왔다. 그런 의미에서 먼저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검토하여 보면 <그림 2-1>

에서 보듯이 삶의 질에 대한 관점비교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즉 개인의 삶의 질을 객관적 조건을 중심으로 평가하려는 입장, 한 개인의 자 신의 삶에 대한 주관적 경험과 평가를 중요시하는 입장, 그리고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을 통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려는 입장이 있다.

<그림 2-1> 삶의 질에 대한 관점비교

(1) (1) (1) 객관적 (1) 객관적 객관적 객관적 접근접근접근접근

삶의 질을 연구하는 것은 무엇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탐구이며, 영향요인에 따라 삶의 질의 개념과 정의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접근방법으로 연구하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객관적 지표에 의한 접근방법은 삶의 질에 영향 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객관화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즉 삶의 질이 외적인 기준이나 조건에 의해 정의되므로 객관적 인 요인들을 찾아내고 그러한 요인들이 현실에서는 어떤 상황에 있는가를 측정 하는 것을 말한다. 객관적 접근은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 연구자에 의해 측정 가능한 지표들을 의미한다.

객관적 접근은 다시 물리적 ․ 물질적 조건9)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들과 사회

․ 문화 및 정치적 조건을 반영하는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개 인의 삶의 질은 외적인 기준이나 조건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사회 ․ 경제적 지표들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조명한ㆍ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객관적 접근은 사회지표의 개발과 함께 발달하였다. 삶의 질 에 대한 객관적 지표의 개발은 산업화 ․ 도시화 및 경제 발전에 따라 삶의 경

9) 물리적 ․ 물질적 조건이란 일반적으로 소득수준, 주거환경, 학력, 직업, 근로조건, 건강상태 등을 말한다.

제적인 또는 물질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 에 따른 양적인 측면만이 아닌 질적인 측면을 반영하고자 한 시도로 사회지표 운동(social indicators movement)을 통해 종합적인 삶의 질을 측정하고자 하 는 경향이 나타났다(이현송, 1997).

이러한 사회지표(social indicator)는 경제지표(economic indicator)의 제약 점을 극복하고자 객관적인 사회 인구학적인 변인을 사용하여 삶의 질의 개념과 삶의 질을 어떤 방법으로 측정할 것인가에 관심을 두었다. 1970년 이후에 삶 의 질 연구는 어떤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가라는 보다 이론적인 논의로 전환 되었다(한형수, 2002).

객관적인 접근을 통해 삶의 질을 연구한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객관적 인 평가 측면으로 살펴본 경우는, Sin(1981)은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수는 즐 거움지수와 복지지수를 합친 값으로 복지지수는 객관적 지표로서 경제적 ․ 물 질적 조건과 관련된 주택, 이웃, 건강, 재정 형편, 자녀 양육, 친구, 여가 ,정부, 교육 등과 관련된 것을, 즐거움 지수는 주관적 지표로서 만족감, 행복감 등을 나타내는 것인데 지적, 심미적 만족과 사랑 ․ 존경의 욕구는 실현에 관한 것으 로 각각 나누어 제시하였다.

Diener와 Emmons(1984)는 우선 주관적인 척도로 삶의 질 모든 면의 전반 적인 평가와 외부의 조건을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결정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Homes과 Dickerson(1987)은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는데 정신, 신체, 사회적 요인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추상적이고 복합적인 용어라고 하였으며, Park(1989)은 객관적인 측정의 지표가 되는 것은 실제적인 직업, 수입정도, 교 육수준, 신체적 활동 등이고 주관적 측정의 지표가 되는 것은 대상자 자신의 생활경험 즉 가족관계, 결혼생활, 경제상태 등으로 이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 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라고 정의 내렸다(이선혜 ․ 이정섭, 2002 재인용).

삶의 질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측정의 영역이 대부분 객관적 지표 중심으 로 연구되어 왔으며, 인구사회적인 변수들이 삶의 질에서의 개인차를 설명해 주리라고 가정하였다(Bradburn, 1969; Andrews & Withey, 1976). 그러나 최 근의 연구들은 이와 같은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이 설

명할 수 있는 주관적 삶의 질의 변량을 모두 합해도 주관적 삶의 질 총 변량의 약10%에서 15% 사이이기 때문에(Andrews & Withey, 1976; Diener, 1984;

Michalos, 1985; Veenhoven 1991; Andrews & Robinson, 1991; 조긍호, 1996 ; 이수애, 2004 재인용)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주관적 삶의 질에서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삶의 질에 대한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주관적 삶의 질의 구성요소들을 규명하려는 노력이 경주 되고 있다(김용택 외,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지표에 의한 삶의 질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 점이 있다. 첫째, 객관적 접근은 사회, 행위, 현상 등의 사실 여부에 관한 것으 로서 측정이 용이하고, 절대적 판단이 가능하다. 둘째, 기존의 통계자료를 활용 할 수 있고, 국가나 지역 간의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셋째, 비교 대상간의 횡단적 비교분석을 통해서 사회적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에서 객관적 지표에 의한 접근은 국가나 지역사회를 분석단위로 하는 사회적 삶의 질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김영기ㆍ박재규, 2001

; 이수애, 2004).

이상의 논의들을 정리하면, 객관적인 측면의 정의는 인간의 만족스러운 생활 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인 삶의 조건으로 정의하는 견해로 객관적 ․ 물리적 삶의 상태가 인간의 주관적, 심리적 만족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2) (2) (2) 주관적 (2) 주관적 주관적 주관적 접근접근접근접근

객관적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측정의 영역이 대부분 객관 적 지표 중심으로 연령, 성별, 종교, 결혼여부, 소득 및 학력 등 인구사회학적 인 변인들이 삶의 질을 설명해 주리라고 생각하였으나 객관적인 지표만으로 주 관적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즉 사회지표들은 단지 삶의 질에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되는 객관적 지표들을 평가할 뿐, 정작 개개 인이 경험하는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평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삶의 질의 구성요소들을 규명하려는 노력 이 경주되고 있다. 즉 객관적 삶의 질은 경제학자나 사회학자가 경제적 ․ 환경 적 및 사회적인 삶의 상황이 어떠한가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면 반면에 ‘주관 적 삶의 질(subjective quality of life)은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만족감’, ‘행복감’이란 용어로 이는 그 사회에 속한 개개인이 자 신의 삶을 어떻게 평가하고 또 자신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측정하고 평 가하는 것이다.

주관적 삶의 질은 객관적인 삶의 상황에 대한 주관적 평가라고 할 수 있는 주관적 만족도의 수준이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정서 경험의 정도를 말한다 (Diener, 1984, 1994)라고 할 수 있다. 주관적 삶의 질 연구에서 노인의 삶의 질이란 Kim & Hong(1995)은 삶의 질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일상생활 전반 에 걸친 삶의 만족이라 하였고, No etc(1995)은 인간생활의 질 문제인 인간 삶의 정도와 가치로, Kim T. H. etc(1998, 1999)은 생활만족도와 정서적 감정 으로 표현되는 주관적 안녕감으로, Park etc(1998)은 만족, 행복, 긍정적 정서, 사기 등이 내포된 주관적 안녕상태로, Kim & Park(2000)은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 안녕감으로 보았으며, song(2001)은 인간이 통합적인 삶의 가치나 의 미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라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삶의 질을 만족감(satisfaction)과 안녕감(well-bing)으로 보고 있을 뿐 다차원적인 특성을 지닌 삶의 질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를 내리고 있지 않았다.

이에 노인을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주관적 삶의 질을 연구한 학자들의 견 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itchell, Logothetti & Kantor(1973) 등은 삶의 질을 어떤 개인이 일정 기간에 있어서 자기 자신의 욕구에 대해 인식하거나 감 지하는 만족감으로 정의하고, 개인의 주관적 만족감이 삶의 질을 규정하는 요 인이라고 보았다.

Dalkey & Roureke(1973)는 삶의 질을 개인의 안녕감(sense of well-being), 생활상의 만족, 불만족감, 행복감 및 불행감으로 설명하며, Ferrans & Powers(1992)는 삶의 질을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활영역

에 대한 만족도의 정도로 설명하고 있다.

Young과 Longman(1983)은 삶의 질을 신체적, 정신적 측면, 사회적 활동과 경제적 환경 측면 등 현재의 삶의 환경여건에 대한 만족도라고 정의했다.

Campbell(1998)은 삶의 질이란 자신의 총체적인 욕구 만족도에 따라 달라 지는 질적 삶에 대한 느낌이라고 보았다. 즉 삶의 전반적인 상황이나 경험들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와 만족으로 생각하였다. 아울러 Campbell(1976)은 사람들에게는 만족감과 행복감을 최대화하려는 충동이 있으며 사람은 그가 인 지한 환경에 반응함에 있어서 객관적 부분만이 아니라 개개인의 가치관, 기대, 인성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또 현 재 상황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만족감과 행복감의 정도는 현 상황과 비교로 삼 는 기준들 간의 인지된 차이에 의해서 결정되며, 개인들의 만족감과 행복감의 정도가 변화되는 이유는 환경의 변화, 인지된 상황의 변화, 심리적 관점 등의 변화가 개인의 삶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이수애, 2004 재인용).

No(1988)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영적 영역에서 개인이 지각하는 주 관적인 안녕상태라고 정의하며 정서상태, 경제생활, 자아존중감, 신체상태와 기 능, 이웃관계, 가족관계가 포함된다고 하였고, Belcher(1991)는 현재 생활의 만족도에 초점을 맞춘 적절한 자존감, 목적 있는 삶, 최소한의 불안을 경험하는 것을, Bang(1991)은 삶의 상황이나 경험에 대해 주관적인 평가와 만족 혹은 행복으로 주로 주관적인 영역에서 Meeberg(1993)은 자신의 삶을 평가할 수 있는 정신이 명료한 개인이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하는 감정이라고 정의를 내렸 다(이선혜 ․ 이정섭, 2002 재인용).

Lehman(1983)도 주관적 삶의 질을 생활환경,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여가 활동, 직업, 재정, 안전, 건강 등의 삶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8개영역에서의 삶 의 만족도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였다.

이상의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하여 보면 주관적 접근에 있어서 삶의 질 이란 자신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안녕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의 생활의 영역에 대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삶에 대한 만족도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관적 접근에 있어서 장애노인 삶의 질 영역을 어떻게 구성하는 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즉 구성영역을 무엇으로 구성할 것인가와 장애노 인의 삶의 질에 대한 구성영역이 차별화되어야 하는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삶의 질 구성영역에 대한 것으로,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논 의들을 종합해보면 다양한 차원을 포함하고 있다. Evans(1994), 임희섭(1996), Lehman(1986) 등은 삶의 구성 영역을 비교적 세부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Evans(1994)는 삶의 질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 조사한 결과, 삶의 질 구성영역 으로 결혼만족, 직업만족, 재정만족(financial satisfaction), 지역사회만족 (community satisfaction), 결혼적응(marital adjustment), 종교적 만족 (religious satisfaction), 가족생활의 질(family life quality), 가족의 복지 (family well-being)의 8개 영역을 들고 있다(Diener, 1994).

또한 기존의 연구 문헌들을 살펴보면 삶의 질이란 인간의 일상생활과 관련 하여 전반적인 영역에 대해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나 객관적 인 지표와 개인의 주관적인 행복감이 항상 일치하지 않은 통계적 상관관계가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나 적절하게 선택된 객관적인 지표들은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지닐 수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인 삶의 조건들은 주 관적인 만족의 충분조건은 아니더라도 필요조건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주관적인 삶의 질은 개인이 자신의 객관적인 삶의 조건을 인지 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객관적인 조건을 나타내는 지표와 주관적인 만족을 나타내는 지표 사이에는 개인의 성향이나 상황에 따라 서 정적인 관계로 또는 부적인 관계로 나타나게 되며 상관관계의 정도도 가변 성을 지닐 수 있는 것이다(임희섭, 1996).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1970년대 이 후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주관적 안녕감과 같은 주관적인 측면에 관심이 더 기울어지고 있다.

장애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장애인의 삶의 질 구성영역은 매우 다양하고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삶의 질의 신체적

· 정신적 · 심리적 · 영적 건강 측면, 경제적 · 물질적 측면, 생활환경적 측면, 가족이나 중요한 사람들과의 대인 관계, 여가, 생산적인 활동, 자아감 등의 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