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 있다.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송정시장’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모루에 쇳덩이를 두드 리는 전통방식을 고수하는 대장간을 활용해 소비자들의 발걸음을 이끌고 있다. 다른 예로, 영화 ‘국제시장’의 실제 배경지인 부산의 ‘국제시장’은 시장 내 ‘소문난 분식’을 사례로 들 수 있다. 타 시장에서는 맛볼 수 없는 비빔당면을 주력으로 하여 하나의 점 포가 시장전체의 이미지 상승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 것이다.

이처럼 성공한 하나의 작은 브랜드는 시장 전체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통시장의 브랜드가 갖는 중요성은 실제로 크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차별화 되고 고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찾지 못하고 ‘지역명, 지리적 특생’등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문화에 따라 모티브를 찾고 브랜드를 개발하였다. 더불어 정부의 지원 역시 시설적인 측면에서의 환경보수에만 집중 되어 브랜드 개발에는 신경을 쓰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최근 각 지자체들은 ‘도심재생활성화 정책’ 등을 내놓으며 시대의 흐름에 견주어 전통시장의 가치를 살리고 관광명소로 도약하는 등 전통시장 살 리기에 나서고 있다.

<그림 6> 자가 브랜드를 적용한 전통시장 상가-오른쪽

브랜드 제작에서는 먼저 상가의 점포주들을 직접 참여시키고 개발하도록 해야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상인들에게 다소 심리적인 부담을 주어 진행이 힘든 면이 있으나 본 인들이 직접 참여해야만 각 점포가 갖는 독창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점주들은 자신이 참여한 브랜드에 대해 관심과 애착을 갖게 되고 이는 곧 수 많은 점포 들 중 자신의 점포가 획일화되지 않고 독창적인 하나의 브랜드로 나아가는 방법 이다.

두 번째, 각 점포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차별화된 그래픽을 활용해야한다. ‘ROI 전략(Relevance Originality Impact Strategy)’의 대표적인 사례인 자갈치 시장의 경우 비슷한 형태의 생선가게 브랜드가 상당 수 나올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생겨난 유사 한 브랜드들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실효성을 낮춘다. 다른 시각에서 생선가게의 브 랜드 이미지를 고양이나, 전혀 관련이 없는 소나무를 모티브로 한다면 큰 문제는 없다.

중요한 점은 점포주가 그 브랜드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애착을 갖느냐이다.

세 번째, 오랜 기간 지속가능한 브랜드가 되기 위해 디자인적인 완성도를 높여야한 다. 간판 정비 사업을 보면 상가의 간판들이 이전보다 깨끗하고 쾌적하게 정비되었으 나, 각 상가가 가진 특색이 사리지고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치우친 경향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세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각 상가, 점포의 상인들을 직접 만나 깊이 있 는 ‘심증 인터뷰’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각 점포가 갖는 역사성, 전통, 문화, 자 신들만이 갖고 있는 영업전략 등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시각화하고 다듬어서 브랜드 로 개발해 다시 상인에게 전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브랜드는 점포주 본인 이 직접 참여하였기에 자부심과 애착을 갖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제 3장

현황 및 사례 분석

제1절 전통시장 활성화 사례

제2절 전통시장 브랜드 디자인 사례

제3장 현황 및 사례 분석

제1절 전통시장 활성화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