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지(Blocking)

문서에서 예보관 훈련용 기술서 (페이지 74-79)

3.4 종관기상 현상의 현업예보 활용 예 종관기상 현상의 현업예보 활용 예

3.3.10 저지(Blocking)

가 저지(Omega Block)와 유출 저지(Diffluent Block)가 있다. 저지패턴은 대개 봄철에 발생하는데, 여름철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저지고기 압의 북쪽 또는 남쪽으로 저기압의 효과를 가지며, 1주일 또는 그 보다 조 금 더 오래 유지된다.

유출 저지는 분리형으로 분리저기압을 동반하며, 강한 저지 현상은 북측에 닫혀있는 고기압 중심과 남측에 닫힌 저기압 중심을 가진다(그림 3.8). 오 메가 저지는 남북형으로 분리저기압을 동반하지 않는다(그림 3.9). 앞서 언 급한 바와 같이, 저지는 1주일 이상 지속될지라도, 결국은 분열된다. 이들 은 상층고기압과 지상고기압이 북쪽에서 형성된 대상류를 동반하고 남동진 할 때, 충돌하기도 한다.

[그림 3.8]유출 저지의 개념도

[그림 3.9]오메가 저지의 개념도

3.4.1.1 전선의 이동 3.4.1 전선의 이동과 발달

[표 3.2]전선계의 이동 속도

전선의 유형 이 동 속 도

온난전선 (Warm Fronts)

- 육지: 지균풍의 2/3 - 해상: 지균풍의 5/6 한랭전선

(Cold Fronts) - 육지와 해상: 지균풍속과 같음.

폐색전선 (Occusions)

- 한랭전선과 같은 속도의 한랭 폐색전선 - 온난전선과 같은 속도의 온난 폐색전선 전선 시스템은 이류(Advection)와 연속성(Continuity)을 종합하여 이해하 여야 한다. 수평 방향의 이류만을 고려하면, 전선은 전선 쪽으로 부는 바람 (지균풍)의 평균풍속과 거의 같은 속도로 이동한다. 이동 속도는 마찰력으 로 인해 아래 [표 3.2]와 같이 다양하다.

전선을 따라 등압선의 간격이나 기압 경도는 전선의 이동속도와 직접적으 로 관련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즉 강화되는 저기압처럼 기 압 경도를 나타내는 등압선의 간격이 조밀하다면, 그 전선의 이동속도가 빨 라지고, 등압선의 간격이 느슨해지고 열리면 전선의 이동속도는 느려진다.

온난전선이 한랭전선보다 더 빨리 이동하는 것은 아주 드물기 때문에, 온난 역은 보통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좁아진다. 전선시스템에 관련된 기압의 변화 가 클 경우, 등기압변화 효과(Isallobaric Effect)는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한랭전선 후면에서 기압의 큰 상승은 전선이 초지균적(Super Geostrophic)으로 이동하는데 기여한다. 때때로 기압경도가 전 전선시스 템에서 약해지기도 한다. 이 경우, 기압경도의 약화 이후 일어나는 운동은

[그림 3.10]전선 전환점에서의 이동속도

3.4.1.2 전선의 발달

전선발생(Frontogenesis)은 전선대의 강화나 발달을 의미한다. 이는 수평 적 온도경도의 강화에 좌우되고, 강우띠의 확대나 강우가 세지고 오래 지속 되는 현상으로부터 알 수 있다. 위성영상에서는 전선발생을 전선대에서 구 름 정상(꼭대기)의 온도 냉각으로 알 수 있다. 전선발생은 다음과 같을 때 름 정상(꼭대기)의 온도 냉각으로 알 수 있다. 전선발생은 다음과 같을 때 일어난다.

전선의 골이 깊어지면서 전선의 양쪽에서 기압이 떨어질 때이다.

두 개의 수렴하는 풍속대가 만날 때 이다.

전선이 고지대를 이동할 때이다.

이 효과는 특히 온난전선을 동반하고 산맥의 풍상측에서 현저한 강화를 보 인다.

전선소멸(Frontolysis)은 전선발생과 반대로 전선대의 약화를 의미한다.

이것은 수평 온도경도의 약화에 좌우되고, 강우띠가 좁아지거나 때때로 비 가 금방 그치는 현상으로부터 알 수 있다. 위성영상에서는 전선소멸을 전선 대의 구름 정상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전선소멸은 다음과 같을 때 일어난다.

전선의 양쪽에서 기압이 상승할 때이다.

발산하는 바람장이 있을 때이다.

지형효과가 풍하측에서 전선을 약화시킬 때이다.

문서에서 예보관 훈련용 기술서 (페이지 7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