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외파생상품거래의 현황

파생상품시장의 변천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1929년 대공황 직전 미국 뉴욕증권시장에 등장하였던 옵션의 일종인 신주인수권 거래를 시초로 볼 수 있으나 파생금융상품 거래가 본격화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전쟁종료 이후 그 동안 제한되었던 국제 자본이동이 늘어나면서 런던을 중심으로 은행 간 선물환거래가 활발 해졌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변동환율제로의 이행으로 금융자산 가격 의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거래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1972년에는 시카고상업거래소(Chicago Mercantile Exchange)에 통화선물이 상장되 었다. 주식관련 파생상품은 1973년 시카고옵션거래소(Chicago Board Option Exchange)가 설립되면서 그동안 장외에서 당사자 간에 직접 거 래되던 주식옵션거래가 표준화되었다. 이후 1982년 캔사스시티상품거 래소(Kansas City Board of Trade)에 주가지수선물이, 1983년 시카고옵 션거래소에 주가지수옵션이 등장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금리관 련 파생상품거래가 급격히 늘어났는데 장외거래에서는 1980년대 초

구 분 장외파생상품 장내파생상품

주 문 사전합의 / 주문 증거금납부 / 주문

매매체결 매매체결 / 거래확인 매매체결

청 산 상대차감 다자간 차감

결 제 결 제 결 제

담보관리 담보관리 없 음

2 장 장외파생상품거래의 의의와 규제의 필요성

금리스왑을 필두로 선도금리계약(forward rate agreements)과 금리상한 계약(caps), 금리하한계약(floors), 금리상하한계약(collars)과 같은 금리옵 션이 등장하였다. 장내거래로는 주요국 장기국채, 유로달러채권 등의 금리를 대상으로 하는 금리선물상품이 등장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이후 에는 신종옵션(exotic options), 구조화채권(structured notes), 신용파생상품 (credit derivatives)등 새로운 상품들이 등장하였다. 전세계 파생금융상품 거래의 규모를 보면, 장내거래의 경우 명목원금(notional principal)20) 기 준으로 1988년 말 1.3조달러에 불과하였으나 2005년 말에는 57.8조달러 로 44배 이상 확대되었다. 장외거래의 경우 통계 미비로 전체 거래규모 를 정확히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같은 기간 중 장내거래에 비해 상대적 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금리스왑거래는 1988년말 1.0조달러 에서 2005년 말 172.9조달러로 171배 증가하였으며 금리옵션거래는 같 은 기간 중 0.3조달러에서 27.9조달러로 85배 증가하였다.

이처럼 파생금융상품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게 된 것은 수요측변에서 는 국제자본 이동의 확대로 금융거래가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금융상 품의 가격 변동 폭이 확대됨에 따라 그 위험을 헤지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공급측면에서도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에 힘입어 기초자산에 수반되는 위험의 평가․분리․이전이 용이해 짐으로써 다양한 상품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파생금융 상품에 대한 투자는 기초자산에 투자하는 것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편의성을 지니고 있다. 파생금융상품거래는 소액의 증거금 또는 프리 미엄만으로 훨씬 규모가 큰 기초자산 거래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

20) 파생금융상품의 시장규모를 나타내기 위해 명목원금(notional principal)이 통상 사 용되고 있는데 명목원금이란 거래의 대상이 되는 기초자산의 원금을 나타내는 것으 로 파생금융상품 거래시 발생하는 자금흐름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고정금리 채권 과 변동금리 채권의 현금흐름(원금 및 이자)을 서로 교환하는 금리스왑의 경우 실 제 자금흐름은 두 이자의 차액에 불과하나 명목원금은 원금전체를 표시하고 있다.

Ⅱ. 장외파생상품의 거래 구조 및 현황

을 뿐만 아니라(leverage effect; 지렛대효과) 투자원금을 주고 받지 않 으므로 자금관리의 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옵션을 비롯 한 파생금융상품의 거래기법을 이용하면 기초자산만으로는 불가능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으 로 인하여 파생금융상품시장은 보다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 투자자에 게는 고수익 투자수단을 제공하고 있고, 안정적인 재무관리를 필요로 하는 기업이나 금융기관에게는 효과적인 위험관리 수단을 제공함으로 써 장기적인 투자 및 재무계획을 원활히 수립할 수 있게 한다. 아울 러 장외거래가 장내거래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은 장외에 서 거래되는 상품은 수요자 구미에 맞추어 거래조건을 거래당사자간 에 정할 수 있어 점점 더 복잡․다양해지는 금융거래의 위험에 효과 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파생금융상품거래는 거래상대방의 채무불이행 위험(counter-party risk)이 높고 지렛대효과(leverage effect)가 크며 거래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투기적 거래에 대한 효과적인 내부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 우 대형 금융기관이라 하더라도 쉽게 재정적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영국 베어링사는 1994년 12월 일본 닛케이지수의 변 동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동 지수의 풋옵션과 콜옵션을 동 시에 매도하는 숏 스트래들(short straddle)을 구성하였으나 1995년 1월 일본 고베에서의 지진으로 닛케이지수가 예측했던 범위를 벗어나 급 락하면서 손실이 급증하여 결국 파산하였다. 최근에는 거래규모가 대 형화되고 금융시장간 연계성이 심화되어 개별 금융기관이 위험관리에 실패하는 경우 그 영향이 전체 금융시스템으로 파급될 가능성도 커지 고 있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파생금융상품거래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 는 가운데 이러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하부구조 및 감독체계 정비에 노력하고 있다.

2 장 장외파생상품거래의 의의와 규제의 필요성

나. 장외파생상품거래의 국내 현황

우리나라의 파생금융상품시장은 19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선물환거 래 이외에는 별다른 시장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이는 1990년대 중반 까지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정부의 광범위한 규제로 금융자산 가격이 경직성을 보여 왔기 때문에 가격변동 위험 헤지를 위한 파생금융상품 의 필요성이 크지 않았던 데 주로 기인하였다. 그러나 대외거래와 관 련해서 환율변동 위험을 헤지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1968년 외국환 은행에 대해 선물환거래가 일부 허용되었다. 이후 금리스왑이나 선물, 옵션 등의 거래도 허용되었다. 특히 1999년 4월 외국환거래법의 실수 요원칙 폐지를 계기로 외환관련 파생상품거래가 대폭 자유화되어 현 재 외국환은행은 외환관련 신용파생상품을 제외한 모든 외환관련 파 생상품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기업의 경우에는 일 부 거래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외국환은행을 거래상대방으로 하여 외환관련 파생상품거래를 하도록 하고 있다. 주가지수 및 금리관련 파생상품도 1990년대 중반 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 다. 이는 금융 자율화 및 개방화의 진전으로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 대됨에 따라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다른 한편 으로 이에 대응한 파생금융상품 관련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지는 등 주 변 여건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파생금융상품시장을 장내거래와 장외거래로 나누어 살 펴보면, 먼저 장내시장의 경우 한국증권거래소(현재 한국증권선물거래 소)에서 1996년 5월과 1997년 7월에 주가지수(코스피200)를 대상으로 선물과 옵션시장을 개설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장내시장을 갖게 되었 다. 또한 1999년 4월 한국선물거래소가 개설되면서 CD금리선물 미국 달러선물 미국달러옵션 금선물이, 이어 9월에는 3년국채선물이 도입

Ⅱ. 장외파생상품의 거래 구조 및 현황

2 장 장외파생상품거래의 의의와 규제의 필요성

기여한다. 금리관련 파생상품시장에서는 금리스왑, 금리옵션, 선도금 리계약 등이 거래되고 있다. 이 중 금리스왑26)은 국내 대형은행과 외 국은행 국내지점을 중심으로 200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거래되기 시작 했다. 자산운용회사, 보험회사 등이 포트폴리오 듀레이션(duration) 조 정을 위해, 은행이 금리변동 위험 헤지 등을 위해 적극 참여함에 따 라 시장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금리옵션 및 선도금 리계약의 경우에는 시장이 형성되고는 있으나 기간물 단기금융시장 (term money market)의 취약, 위험헤지 수단의 미비 등으로 거래가 크 게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Ⅲ . 장외파생상품거래의 위험요소 및 규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