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애영유아의 이해

문서에서 보수교육과정 매뉴얼(2016 개정) (페이지 42-47)

나. 건강·안전 영역

2) 장애영유아의 이해

발달기 영유아의 다양성 이해

영유아 선별, 장애진단, 조기중재의 중요성

가) 교과목의 성격

<장애영유아의 이해> 교과목은 보육시설에 포함되어 있는 특별한 교육적 욕구를 지 닌 영유아를 발견하고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교과목이다.

이를 위해 첫째, 발달의 개념과 발달 과정, 연령별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비전형적 인 발달을 보이는 영유아와 장애 영유아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교수학습 방법

- 비전형적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온라인을 통한 간단한 선별검사를 활용한 실습을 해 보고, 실제 자신이 지도하는 영유아의 사례를 토론을 통해 공유한다.

- 방송 매체를 활용하여 전문적인 장애 진단 과정 및 개입방법을 이해할 수 있 도록 한다.

- 장애 진단 의뢰 시 부모에게 효과적으로 면담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발달에 문제를 보이는 영유아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관과 지원 제도를 가 정에 안내할 수 있도록 참고자료를 제공한다.

마) 참고자료

보건복지부(2015). 2015년 보육사업안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폐이지 (http://www.nhis.or.kr/retrieveHomeMain.xx):

영유아건강검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 (http://www.socialservice.or.kr/)

온라인 파라다이스 한국표준 적응행동검사 (http://isori.net/education/pabs/)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홈페이지 (http://www.hinet.or.kr/)

라. 전문지식·기술 영역-보육활동 운영의 실제 1) 영유아 관찰 사례 이해 및 실제

관찰의 기초, 관찰 기록 이해

일상생활 및 놀이행동, 상호작용 관찰 실습

가) 교과목의 성격

<영유아 관찰 사례 이해 및 실제> 교과목은 발달적 특성으로 인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요구를 언어로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영유아를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관찰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관찰의 목적, 관찰의 절차, 관찰의 문제점 등 관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라) 강의 포인트 일반적 사항

- 영유아의 개인차와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육교사에게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양성교육 기간이 짧고 보육경험도 길지 않은 수강생의 상황을 고려하여 관찰 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충분히 쌓을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관찰의 기본적 지식을 강조하다 보면 자칫 이론 교육에만 치중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 보육교사가 정확하고 객관적인 관찰과 기록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하도록 한다. 관찰 사례를 제시하여 우수한 기록과 부적절한 기록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는 것이 한 방법 이다.

- 일상행동, 놀이, 상호작용과 같은 행동 주제를 다룰 때는 영유아의 연령을 구분하여 각 시기에서 더욱 중요하게 관찰하여야 하는 행동 특징을 중심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교수학습 방법

- 관찰 방법 빛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며 강의를 진행한다.

- 현장의 관찰 문제점과 어려움을 이야기 나누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방안 을 함께 모색해 본다.

- 실습활동으로 영유아의 특정 행동 장면에 대한 동영상 또는 사진 자료를 제시 하여 이를 관찰하고 기록해 보는 활동을 한다.

마) 참고자료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김희진·박은혜·이지현(2011).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찰. 서울: 창지사 보건복지부(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이미화·이정림·여종일·김경미·김명순·이경옥·이완정·이정욱·최일선·

최혜영(2012). 「5세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평가척도 개발.

육아정책연구소.

급 승

교 육

과 정

문서에서 보수교육과정 매뉴얼(2016 개정) (페이지 4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