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잔금분홍잎( Acrosorium polyneurum Okamura 193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9)

간의 단계가 관찰되기도 한다. 또한 갈고리 위에서 또 갈고리가 형성되는 2차 갈고리 형태를 가진다. 엽체의 가장자리에는 둥글거나 손바닥 모양의 짧은 거치들이 많이 발 달하고 발달 과정 중에 있는 거치들은 뾰족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엽면 위에는 육안으 로는 뚜렷하게 보이지 않지만 미세한 엽맥들이 여러 갈래로 발달하여 그물모양을 이루 고 있다(Fig. 10 - 11).

나. 내부구조

엽면의 하부쪽을 횡단면으로 잘라보면 세포들은 둥그스름한 사각형-다각형 모양이며 엽맥이 있는 곳에서는 세포층 중 가운데 세포가 원형을 이루기도 한다. 가장자리와 엽 맥이 없는 곳에서는 1개의 세포층을 가지며 엽맥이 있는 곳에서는 3 - 6개의 세포층 을 이루며 세포층의 너비는 72.2 - 103 ㎛이다. 엽면의 중부 쪽에서는 가장자리를 포 함하여 엽맥이 없는 곳에서는 1개의 세포층, 엽맥이 있는 곳에서는 3 - 4개의 세포층 을 이루며 세포층의 너비는 51 - 67.1 ㎛이다. 엽면 상부에서는 가장자리를 포함한 엽 맥이 없는 곳에서는 1층의 세포층을 이루고 엽맥이 있는 곳에서는 3 - 6층을 이루고 세포층의 너비는 29 - 60 ㎛이다. 갈고리 형태의 엽면을 횡단면으로 잘랐을 때 갈고리 의 안쪽의 세포층이 바깥쪽보다 두꺼워 횡단면이 곤봉모양을 이루고 세포층 수는 5 - 8층을 이루고 세포층 안쪽의 두께는 94.8 - 170 ㎛이다(Fig. 11).

2) 사분포자체(Tetrasporophyte)

사분포자들은 사분포자낭 안에 흩어진 상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사분포자낭은 하나의 구형이나 난형으로 주머니를 이루며 주로 중심 엽면이 아닌 한번 갈라져 나온 가지의 엽면 위에 발달하거나 엽체 가장자리의 거치 위에서 발달한다. 사분포자낭을 횡단면으 로 잘라보면 가운데 central cell line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사분 포자들은 inner cortical cell로부터 발달하여 outer cortical cell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태를 가진다. 사분포자들은 tetrahedral 모양으로 분열한다. 사분포자의 크기 는 250 × 200 ㎛이다(Fig. 12).

3) 배우자체(Gametophyte)

본 종의 웅성배우체는 채집되지 않았다. 자성식물체는 적갈색을 띠며 엽의 정단부나 가장자리에서 높이 5 cm로 직립하여 자란다. 기부는 매우 넓고 엽면의 가장자리에 둥 글거나 부채꼴 모양의 거치를 많이 낸다. 가지는 기부아래에서부터 두 갈래로 갈라져 자라는 것이 아니라 기부에서부터 넓게 중부까지 자라며, 이 때 가장자리에서 엽면을 많이 분기하며 중부지점에서 많은 가지를 불규칙적으로 분기하는 형태의 엽상체를 가 진다. 식물체의 너비는 기부에서 1 cm 중부에서는 0.5 - 1.5 cm, 상부에서는 0.4 - 0.2 cm이다. 짧은 다세포성 가근은 상부 쪽 엽면에서 가지가 분기되는 지점에 특히 많 이 분포한다. 엽면의 중부에서부터 갈라져 얇은 가지로 자라다가 끝에서 둥그렇게 분 기함으로써 개구리 발모양을 연상케 하며 갈고리 형태의 엽면은 보이지 않는다. 엽면 위에는 성숙한 낭과와 procarp들이 흩어져 분포한다. 낭과는 반구형 모양으로 주로 엽 면 가장자리의 거치 위나 엽면의 상부 쪽(Subapical)에 많이 발달하고 그 크기는 885.96 x 884.92 ㎛ 이다. 낭과의 내부에서는 fusion cell들이 부채꼴 모양으로 발달 하고 그 끝에 carposporangium들이 붙어 있으며 낭과에는 1개의 과공(Ostiole)이 존재 한다(Fig. 13).

Figs. 10. Different morphologies of vegetative thalli in Acrosorium polyneurum from Korea. Scale bars are A-F: 2 cm.

Figs. 11. Vegetative structures of Acrosorium polyneurum from Korea.

A. Apex of the thallus. B-C. Details of hooked branches with many rhizoids. D. Surface view of vegetative thallus with microscopic vein. E.

Figs. 12. Tetrasporangial structures of Acrosorium polyneurum from Korea.

Fig. A. Basal part of tetrasporophyte thallus. Fig. B. Hook branchlets and tetrasporangial sorus (arrows). Fig. C. Branchlet proliferations with

tetrasporangial sorus (arrows). Fig. D. Tetraspotangial sorus in branchlet. Fig. E. Cross section of tetrasporangial sorus. Scale bars are

Figs. 13. Female structures of Acrosorium polyneurum from Korea.

Fig. A. Habit of female gametophyte with numerous cystocarps. Fig. B.

Details of cystocarps on thallus (arrows). Fig. C. Surface view of female

(4) 종의 분포

가. 국내 분포(Korea Distribution)

강원도, 여수, 제주도 (Noda 1966), 부산 (정문기 & 박만상 1955, Rho J.H. 1958, 강제원 1962), 목도 (강제원 1956), 양포, 기성, 포항, 울릉도 (Kang J. W. 1966), 동해안 남부, 울릉도, 부산, 완도, 여수 (강제원 1968), 해운대 동백섬 (이기완 &

강제원 1971), 묘도, 난초도, 엄나무섬 (Lee I.K. & Kim Y.H. 1977), 연화도, 국도 (강제원 & 이종화 1979), 경기만 (Lee H.B. & Lee I.K. 1981), 성산, 고산, 화북, 법환 (이용필 & 이인규 1982), 황금도, 고파도 (이인규 & 이해복 1982), 돌산도 (손철현, 이인규 & 강제원 1983), 하조도, 청등도, 눌옥도 (이인규 et al. 1983), 안인 (김훈수, 이인규, 고철환, 김일회, 서영배 & 성낙길 1983), 대삼부도, 백도, 서도 (이인규 & 부성민 1984), 안면도 (이인규, 김훈수, 최병래 & 이해복, 1985), 횡간도, 상추자도, 추포도, 하추자도 (이인규, 이용필 & 정호성, 1986), 죽도 (남 기완 1986), 신수도, 월도 (김형근, 손철현 & 강제원 1986), 광양만 (송춘복 1986), 영일만 (이해복 & 오윤식 1986), 고리 (김영환 1986), 삼천포 (김은애, 이 해복 & 이인규, 이인규 & 강제원 1986), 영일만 (이재완 & 이해복 1988), 파도리 (이해복 & 장래혁 1989), 오호리 (Koh C. H., Oh S. H., Sung N.C., Ahn I.Y. &

Kang Y.C. 1989), 거문도 (고남표 1990), 문도 (이용필, 고용덕 & 윤상용 1990), 무창포, 마량리 (유종수 & 김영환 1990), 광양만 (Kim K.Y., Choi D.S. & Lee I.K.

1991), 당리, 진산리 (이인규, 최도성, 오윤식, 김광훈, 이재완, 김광용 & 유종수 1991), 울진, 월성, 영광 (김홍기 & 김영환 1991), 우도, 가파도, 마라도, 비양도 (이기완 & 고신자 1991), 범섬, 차귀도 (이인규 & 오윤식 1992), 마량리 (Kim Y.H., Yoo J.S. & Kim J.H. 1992), 영광, 월곡 (김영환 & 유종수 1992), 속초 (Lee J.W., Lee H.B. & Lee I.K. 1993), 연포, 호도 (김영환, 윤현수 & 유종수 1995), 울진, 죽변 (김영환, 최상일 1995), 영일만 (남기완, 김영식, 김영환 & 손철현 1996), 통구미 (김영환, 김형섭, 김광훈, 이욱재, 옥정현 & 이인규 1996), 울릉도, 독도 (김형섭, 김영환, 옥정현, 김광훈 & 이인규 1996), 남해안 대도 (Kim K.Y.

Huh S.H. & Kim G.H. 1996), 강독, 동고리 (황은경, 박찬선, 고남표 & 손철현 1997), 주문진 (김영환, 남기완 & 손철현 1997), 파도리 (이재완, 오병건 & 이해복

철 1998), 상록 (김영환 & 허성희 1998), 장호, 울진, 죽변, 후포, 강구, 이가리, 강사, 감포, 봉길리, 월성, 나아리, 하소리, 신소리, 양절갑, 대성리, 신암, 고리, 칠암 (Lee I.K. & Kim Y.H. 1999), 파도리 (이재완, 오병건 & 이해복 2000) (Fig.

14).

나. 국외 분포(World Distribution)

China (Zheng, Liu & Chen 2001), Japan (Segawa 1981, Yoshida, Nakajima &

Nakata 1990, Yosida 1998), Korea (Lee & Kang 2001, Lee 2008) (Fig. 15).

Fig. 14. Korea distribution on Acrosorium polyneurum Okamura.

1. Taean-gun. 2. Anmyeon-do. 3. Younggwang-gun. 4. Hajo-do. 5. Jin-do. 6.

Chuja-do. 7. Jeju-do. 8. Seoguipo-si. 9. U-do. 10. Wan-do. 11. Geomun-do.

12. Yeosu-si. 13. Busan. 14. Gampo-si. 15. Pohang-si. 16. Yongil-man. 17.

Uljin-gun. 18. Gangreung-si. 19. Sokcho-si. 20. Ulreung-do. (●: from this study, ◯: from references)

Fig. 15. World distribution on Acrosorium polyneurum Okamura.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