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자연주의적 입장에 대한 비판

심층생태주의는 생태학과 자연주의에 그 기초를 두고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160)서태열,「현대 환경주의의 유형과 그 교육적 함의」, 지리교육논집 49집,2005,193 쪽.

161)심층생태주의와 생태여성주의의 관점은 외연적으로 공통된 부분이 많다.하지만,심 층생태주의가 성(性)에 대하여 ‘중립접인 입장’을 취한다는 점에서 생태여성주의로부터 비판받고 있다.살레는 생태여성주의가 어떤 의미에서 더 심층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심 층생태주의는 또 하나의 자기도취적인 개량주의적 운동에 불과하며,인류의 절반인 여 성의 문화적 창조성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어서 반계급적이라고 비판한다.

162)캐롤린 머천드,앞의 책,166쪽.

163)ArneNaess,Ecology,Community,andLifestyle,16~17

생태학에서 천이(遷移)에 따른 극상의 상태를 조화와 균형의 이상적인 상태로 설 명하는 데,심층생태주의에서는 그것을 근거로 선이나 바람직한 상태로 묘사하고 있다.하지만 생물종이 단일한 정점을 향하여 나아간다고 단정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어떤 상태가 극상의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묘사할 수 없다.비록 그 극상 의 균형이 이루어졌다고 할지라도,자연 상태에서는,그 극상의 상황 속에서도 역동적인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164)따라서 환경에 대한 윤리적 가치 판단은 생태학에 관한 지식에 근거하지 않을 수 없다.그래서 생태계의 속성,인 간과 자연과의 관계,자원 낭비와 환경오염 등 생태학의 지식이 없다면 환경에 대한 인간행동의 유익성이나 유해성을 판단할 수 없다고 보았다.그러나 그렇다 고 해서 생태계의 제도와 규범의 문제가 수반되는 인간 공동체와 자연 생태계 공동체를 생태학적 균형과 조화라는 모호한 개념으로 묘사하거나 가치평가 하는 것은 곤란하다.또 생태학적 지식인 ‘사실판단으로부터 윤리학적 가치 판단을 이 끌어낼 수 없다는 자연주의 오류도 거론된다.그러나 네스는 과학의 한계를 인식 하고 있었으며,생태학에서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자연주의 오류는 아니라고 주장한다.165)

심층생태주의의 주장이 자연 진화의 결정판인 인간에 대해 극도의 적개심을 드러내고 있으며,원시적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개입을 거부하고,휴머니즘을 거부 하는 등의 인간 멸시의 유사종교와 같다는 지적이 있다.166)비판자들은 생명평등 주의가 원리적 측면에서는 그럴듯한 설득력을 지닌 선언일지 모르나,모든 생명 이 작용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당화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모든 생명에 대한 외경(畏敬)또는 생명평등주의 관점은 곧바로 현실 속에서 인간의 자기보존 욕구와 충돌하기 때문이다.가장 전형적인 사례 하나로, 만약 우리가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 생명공동체와 목적론적 중심의 개념을 받아들인다면,그 결과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자기보존욕구와 인간의 자 기보존욕구가 서로 충동하게 될 때,우리는 어떤 선택과 결정을 해야 하는가?자 기 마당을 갈아엎을 잔디를 심거나 집에 테라스를 만드는 일조차도 불가능하게

164)문종길,앞의 글,177~178쪽.

165)ArneNaess,Ecology,Community,andLifestyle,26~27쪽.

166)구승회,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동국대학교출판부,2001,105쪽.

될 것이다.

이처럼 생명평등주의를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불가능하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심층생태주의가 자연과 관련한 구체적 윤리규범이 아니라,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이며,그 방식에 기초한 인간 행동의 규범이라는 것을 유념 할 필요가 있다.자연에 대한 인간의 행동 방식에 대한 일종의 지침인 심층생태 주의는 인간이 자신의 필요 앞에서 자연에 대해 어떻게 행동할 것이지를 관계성 과 가치의 원리에 의해 깊이 생각해보도록 우리를 이끈다.167)따라서 심층생태주 의가 인간의 고유한 내재적 특성을 부인하거나,어떤 경우에도 인간이 자신을 위 해 다른 존재를 먹거나 사용하는 등의 도구적 가치로 이용할 수 없다는 주장으 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이해이다.168)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를 생물권의 그물망으로 보고,개개의 구성원들을 그 속의 하나의 매듭으로 보는 심층생태주의의 주장은 자연의 가치에 대한 열정 을 엿볼 수 있다.라이하르트(R.Reichardt)는 가치를 추구하는 주체로서의 인간 은 다른 생명체에도 가치를 부여해야만 하며,다른 생명체 및 자연에 대해 취한 행동의 결과를 항상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9)심층생태주의가 추구하는 가 치는 바로 인간과 자연을 공생관계로 보는 생태학적 가치이다.즉 심층생태주의 의 기반은 ‘생태학’자체가 아니라,‘생태지혜’이다.생태지혜는 생태학에의 사실 과 이론들로부터 규범적이고 철학적인 견해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도입된 것으로 서,추상적인 원리와 구체적인 결정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래서 네스는 생태학적 사실이 직접 윤리적 결론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생 태지혜’를 통해 생태위기의 문제해결을 위한 세계관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보았 다.170)

167)ArneNaess,Ecology,Community,andLifestyle,166~169쪽.

168) Arne Naess,“The Deep EcologicalMovement:Some PhilosophicalAspects”, DeepEcologyfor21stCentury,169~171쪽.

169)황종관, 생태윤리학 ,한남대학교출판부,2001,47~48쪽.

170)ArneNaess,“A DefenceoftheDeepEcologyMovement”,EnvironmentalEthics, vol.6,1984,2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