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2생태지혜 T의 일상화

태어나면서부터 우리는 각종 문제들에 부딪힌다.지혜는 그러한 문제들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극복해내는 힘이라고 하겠다.네스는 가중되는 생태위기를 해결하 기 위한 해법으로 심층생태주의의 제 원리를 창안했고,그 결과물의 일상화를 위 해 생태지혜(Ecosopy)라는 틀을 제시한다.앞에서 소개한 것처럼,조어(造語)인 생태지혜(Ecosophy)는 생물권(ecosphere)에서 삶의 조건에 의해 영감을 받은 철 학적인 세계관이나 시스템이 된다.141)철학적 지혜일 뿐 만 아니라,진선미의 가 치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상태로서,실천적 지혜142)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래도 지혜라는 말은 사물의 사유와 운행체계에 대한 통찰력을 겸비한 상태에 서,맞닥뜨리는 문제들을 인식하고 구별하고 적절히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네스가 굳이 생태지혜를 도식화하여서 보여주는 이유는 우리의 이성뿐만 아니라 직관으로도 문제해결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일종의 장치라고도 볼 수 있다.물론 그의 전제와 결론이라는 철학적 추론 체계이기도 하다.

우리가 어떤 사실을 진정으로 안다고 할 때,또 알려고 할 때,곧바로 지혜가 작동하는 경우는 드물다.왜냐하면 우리의 앎의 과정은 예를 들어 어떤 상황에 대한 ‘사실’이 습득되고,그것이 자신의 기존 지식 체계 내에서 ‘자료’로서 수용될 때에야 ‘정보’의 기능을 하게 되고,낱낱의 정보들이 문제해결에의 ‘지식’으로서 적용되는 과정이 구현되는 시점에서야 비로소 지혜가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네스는 질문하고 질문하기를 요구하고 있다.생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혹은 여차의 주제에 대해서라도 질문을 한다고 해보자.단편적인 내용에 관한 것에서 시작해서 보다 근본적이고 광범위하며,포괄적인 수준으로 질문의 수준이 심화되 려면,네스의 요청을 받아들여야만 가능한 것이다.

현대의 환경문제들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 사이에서 또 위계가 상이 한 계층들에서 또 저마다의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것이라서 어떤 하나의 기준만 으로 의사결정을 하기가 어렵다.또 생명체의 변화하는 속성들이 혼잡성을 가중

141) ArneNaess,Ecology,Community,andLifestyle.37~38쪽.

142) 실천적 지혜는 진선미의 가치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시켜서 윤리적으로 올바른 판단,혹은 좀 더 최선의 가치 선택을 고르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결국 우리가 개방적인 마음으로 질문하고 질문하면서 생태지혜을 다져간다면,애매모호한 환경문제상황을 딛고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좀 더 가까이 접근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림 2> 전제-결론 다이어그램143)

<그림 2>에서 수준1은 가장 근원적인 규범이나 대전제,가정,혹은 생태지혜 들로 구성되어 있다.그 근원은 스피노자나 화이트헤드 같은 철학이 될 수도 있 고,기독교나 불교,도교 등의 종교일 수도 있다.구태여 그 특징을 지적한다면 과학으로서의 생태학으로부터 영감을 얻고 있는 총체적 조망이라는 점에서 ‘넓은 143)FrederikA.Kaufman,앞의 책,411쪽.

의미의’철학이라고 볼 수 있다.심층생태주의의 기본 원리들은 수준1의 전제로 부터 결론으로 도출된 것이다.네스는 심층생태주의를 다른 관점에서 지지하는 사람들,그러니까 철학이나 종교적으로 배경이 다를 경우,궁극적 전제인 수준1 이 다르게 제시할 수 있겠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준2의 8개 강령에 대해서 는 모두 동의할 것으로 기대한다.불교도144)든,기독교도든,도교신자든 그리고 다른 많은 종교적 신자들이나 철학분파들도 그 믿음의 근원적 차이와 무엇이든 지 간에 모두 생태지혜를 통해 심층생태주의자가 될 수 있다.145)

수준2로부터 수준3의 일반적인 규범적 결론과 사실적(factual)가설들이 도출 되며 마지막으로 이들로부터 구체적인 특정의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 인가에 관한 결론인 수준4가 도출된다.수준4는 구체적인 특정의 조건에서 특정 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하는데,즉 수준1에서 수준3까지의 전제들을 고려하 여 내린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네스는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심층생태주의 운동의 지지자들은 부분적 으로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입장으로부터 동기를 부여받기도 하지만 ‘심층적인 전 제(deep premises)’를 근거로 행동하는 사람들이라고 지적하고 있다.심층생태주 의는 피상적 논의의 전제 조건들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질문을 던진다.

심지어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간주되는 것도 심층생태주의의 도전을 받게 된다.

왜냐하면 합리적이라는 것이 항상 어떤 특정의 목적이나 목표와의 관련 속에서 정의되기 때문이다.만약 어떤 결정이 낮은 단계의 목적이나 목표를 고려해 볼 때는 합리적이지만,높은 수준의 목표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라면,그 결정이 합 리적인 것이라고 판단될 수는 없다.네스는 이 점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고 강 조하고 있다.그래서 네스에 따르면 심층생태주의에서 질문 제기는 서로 다른 입 장들이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규범적 방향성을 밝혀내는 데 도움이 된다.피상 적 논의들은 기본적인 문제에 도달하기 이전에 이미 중단되고 말거나,수준1에

144)네스는 불교의 기본 규범인 비폭력,자비,생명존중 정신이 심층생태주의의 기본 원 칙과 일치하기 때문에,기독교도보다는 불교도가 심층 생태주의를 이해하는데 보다 친 숙할 것으로 보고 있다.

145)세션즈는 자칭 심층생태주의자가 아니어도,이 강령에 기본적으로 동조한다면 타칭 심층생태주의자로 볼 수도 있다는 논지에서,기독교 생태신학자 베리를 심층생태주의 자로 분류하고 있다.

서 직접 수준4로 이행하는 등,어떤 특정의 상황에서 비약적으로 궁극적 가치에 도달하려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규범적 주장만이 아니라,대 부분의 규범들은 이 세계가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가에 대한 어떤 관념을 전제한 다.규점 체계에서 요구되는 거의 대부분의 주장들은 기술적(descriptive)이거나 사실적(factual)진술들이다.네스는 심층생태주의의 추론 체계에서는 어떤 ‘합리 적인 것’이 존재론이나 기본적인 윤리학 체계 내에서 만장일치로 받아들여질 필 요는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146)하나의 신념으로서 심층생태주의는 다양한 세계 관과 생태 지혜의 입장에서도 존중될 수 있기 때문에 일상화가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