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기본자료수집

1주일간의 훈련을 받은 26명의 조사원들이 1985년 3월 1일부터 30일까지 1달 동 안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진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육정도, 직업, 결혼 상태, 의료보험, 당시 건강 상태와 건강습관, 질병 여부, 식이(식사량, 음식습관, 8가 지 음식에 대한 섭취빈도), 흡연, 음주(음주 유무, 음주 빈도, 마시는 술의 종류, 음주 량) 등에 관련된 인구학적 자료에 대한 정보를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혈압과 키, 몸무게 등은 훈련된 조사원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체질량지수(BMI)는 연구진이 측정한 몸무게(kg)와 키를 이용하였고, 키는 센티미터(cm)로 측정하여 미터 (m)로 환산하였으며, 몸무게(kg)/키(㎡)로 계산하였다(윤수진 등, 2000). 만성질환에 대하여, 연구참여자는 “당신은 일하는 것을 포함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을 느끼 게 하는 과거의 사고나 부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예’ 또는 ‘아니오’로 답하도록 하였다. 만일 참여자가 ‘예’라고 답한 경우에는 훈련된 직원이 그 참여자에게 만성질 환의 유형에 대해서 면담 후 자료를 입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05년 12월 31일까지 추적 관찰하였고, 따라서 사망에 대한 추적 관찰 기간은 최대 20.8년으로 전체 사망자 수는 1,990명이었다.

2. 음주수준의 측정

음주자의 음주특성에 대해서는 크게 4가지의 질문을 통해서 대상자의 음주특성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는 “당신은 술을 마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예’ 또는 ‘아니 오’로 답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음주 빈도에 대해서 물었고 매일, 거의 매일, 1주 에 2~3회, 한 달에 1~4회, 1년에 4~12회 중 선택하도록 하여 표기하였다(Table 1).

세 번째는 술의 종류와 양에 대해서 질문하였다. “술을 마실 때, 어떤 종류의 술을

얼마나(병, 잔) 마십니까?” 참여자는 한번의 술자리에서 마시는 술의 종류를 두 가지 까지 고를 수 있도록 하였다. 총 83.9%의 남성 음주자가 1가지 종류만 골랐고, 16.1%는 2가지 종류의 술을 한번의 술자리에서 마신다고 답하였다. 중등도의 과음 (binge drinking)은 한번의 술자리에서 하나 또는 두 가지 종류의 술을 6잔(drinks) 이 상 마시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한번에 12잔 이상 마시는 경우는 특별히 고도의 과음 (폭음, heavy binge drinking)으로 분류하였다. 네 번째는 음주를 시작한 연령에 대해 서 “언제부터 술을 마시기 시작했습니까? 몇 년 전부터(몇 세부터)라고 물었고, 참여 자는 술을 마시기 시작한 나이 또는 년도를 기입하였다. 참여자들이 마시는 술의 종 류는 대부분 소주와 막걸리였다. 강화코호트 연구가 진행된 시기인 1985년에 소주는 25%, 막걸리는 6%의 알코올을 포함하고 있었다(KALIA, 1986; Sull 등, 2009). 알코 올 섭취량에 대한 질문의 타당도를 확인하고 알코올 섭취 패턴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1994년에 3,381명의 생존자를 대상으로 두 번째 면담을 실시하였다.

Table 1. Drinking-related variables and their scales

Name Variables Scales

DRHX85 Alcohol consumption 1: Drink 2: Do not drink

DRFR85 Drinking frequency

3. 알코올의 종류와 섭취량

Table 2. Amount of alcoholic liquor, per drink by liquor type

Type of Liquor

Chinese liquor 1,800 180 250 30 40 9.6

Western liquor 360 30 40 9.6

Rice wine 1,800 80 16 10.2

Fruit wine 700 100 12 9.6

† Concentration of Alcohol

‡ Alcohol per 1 drink

4. 심박수의 측정

안정시 심박수는 적어도 10분 동안 반듯이 누운 채로 요골 동맥 부위를 촉진하여 스톱워치로 15초 동안 측정하고 4를 곱하였다. 만일 심박수의 계산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느린 경우에는, 심장 위에 직접 청진기를 대고 60초로 연장하여 측정하였 다. 선행연구에서 정의된 cut-off point를 수정하여 ≤60 bpm, 61~79 bpm, ≥80 bpm 으로 안정시 심박수를 3그룹으로 범주화하였다(Palatini 등, 1999; Fujiura 등, 2001;

Jouven 등, 2009).

Variable Abbreviation Description

Sex GENDER 1: men

2: women

Age AGE85 baseline (1985) age

Weight WT85 baseline (1985) weight (kg) Height HT85 baseline (1985) height (cm) Systolic blood pressure SBP85 baseline (1985) systolic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DBP85 baseline (1985) diastolic pressure

BMI BMI85 baseline (1985) BMI

Education level EDU 1: no

2: ≤elementary school 3: ≥middle school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