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동집하시설 운영 합리화 방안

5. 친환경적 폐기물 관리기반 구축

5.4 자동집하시설 운영 합리화 방안

(1) 현황 및 문제점

○ 자동집하시설은 지하관로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수송함으로써 폐기물수거차량의 운행감소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줄이고, 폐기물 적치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설치된 수거ㆍ운반 시설 로써,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송도지구를 중심으로 현재 일부 가동중이며, 청라와 영종지구 에서 설치 중임. 일부 도시개발사업에서 대규모 공동주택단지에 적용하고 있음.

구분 송도지구 청라지구 영종지구 한화지구

집하장

1단계 : 1, 2, 3, 4, 5, 7공구 2단계 : 6, 8, 9, 10, 11공구

총 11개 집하장

1~5 집하장 1~4집하장 1집하장

운영현황

2, 4공구 운영중 1, 3, 5, 7 공구 시공중

2단계는 계획중

시공중 계획중 7개 단지 설치완료

(일부시설 운영 중단) [표 6-14] 자동집하시설 설치 및 운영 현황

○ 자동집하시설이 가동되는 지역의 폐기물 수거현황을 살펴보면, 1개의 관로를 이용하여 종 량제봉투폐기물과 음식물류폐기물을 함께 사용하는 과정에서 봉투의 파봉이나 음식물 침출 수가 관로에 남아 폐기물의 자원화나 처리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음.

○ 자동집하시설이 설치된 지역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신규시설 설치시 시설을 개선하고, 폐기 물 자원화율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

○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자동집하시설 설치를 개발사업 초기부터 적용하여 시설의 개보수가 필 요한 시점으로 개보수를 위한 비용부담 주체에 대한 관리 관청과 주민들의 의견이 대립되 고 있음.

(2) 목표

○ 자동집하시설의 운영효율성 향상 및 친환경적 운영

○ 자동집하시설 대상 폐기물의 폐기물간 유입 방지를 통한 자원화율 제고

(3) 추진전략

○ 운영중인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운영상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시설을 개선하고, 향후 시설 설치시 적정한 설치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수거ㆍ운반체계를 확립함.

○ 장기적인 방안으로 자동집하시설 설치 지역에 대한 폐기물 수거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거대 상 폐기물의 변경과 음식물류폐기물에 대한 별도 처리 검토 필요.

○ 신규 자동집하시설 설치시 음식물류폐기물 수거를 위한 분리관로 설치 의무화 및 폐기물간 의 혼입을 방지함으로써 재활용과 자원화율 제고.

○ 자동집하시설의 수거ㆍ운반비용 부과 방안 검토를 통해 자동집하시설 개보수 재정확보 및 운영효율성 제고.

(4) 실천계획

□ 경제자유구역 자동집하시설 운영 효율화 방안

○ 현재 운영되는 자동집하시설의 관로 막힘, 음식물류폐기물 수거율저하 등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기적인 정비.

○ 현재 자동집하시설 집하장 단위로 별도 운영되고 있는 집하장의 통합운영을 고려한 시스템 신설과 개보수로 운영 효율성 향상.

○ 자동집하시설 통합관리 시스템과 연계를 통한 송도지역 생활폐기물 처리에 대한 운영/관 리, 비용부과 등의 방법을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시스템 구축

○ 자동집하시설의 시설 개보수를 위한 수선비용과 운영비용 충당을 위한 비용부과 방안 등에 대한 운영관리 조례 제정

○ 자동집하시설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지자체와 주민과의 운영 협의체 구성을 통한 협의조 정

□ 자동집하시설 도입지역의 수거운반 체계 정비

○ 자동집하시설 운영시 야기되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수거율 저하 및 자원화 가치 저하를 해소 를 위하여 분류식 하수관거의 정리가 잘되는 있는 경제자유구역의 경우 가정용 분쇄기의 도입을 통하여 음식물류폐기물의 하수병합처리를 통한 자원화 및 에너지화 방안 모색.

○ 종량제 봉투 폐기물과 음식물류폐기물로 분리배출되는 자동지하시설의 수거 체계를 재활용 품 수거까지로 확대함으로써 자동집하시설의 이용 효율성 향상과 운반비용 절감.

○ 자동집하시설 운영 비상시에 대비한 차량을 이용한 비상시 수거․ 운반 체계 구축 필요

(5) 추진일정

구분 2009년(현재) 2012년 2015년 2018년 2021년

자동집하시설

통합운영 -

-처리시설 및 자동집하시설 통합운영

-

-수거체계 정비 - - 생활폐기물 종류별

수거체계 조정 -

-□ 자동집하시설 운영 합리화 방안 추진일정

제7장 폐기물 처리시설의 최적화

제1절 폐기물처리시설별 시설계획

○ 인천광역시는 2021년까지 생활폐기물 종류별 배출량을 추정한 결과, 음식물류폐기물 684톤/

일, 재활용품 454.3톤/일, 가연성폐기물이 796.6톤/일로 예측됨.

년도 합계 가연성 불연성 음식물 재활용

톤/일 비율 톤/일 비율 톤/일 비율 톤/일 비율

2011 2,413.6 786.6 32.6% 397.5 16.5% 690.0 28.6% 539.5 22.4%

2012 2,428.9 788.6 32.5% 418.7 17.2% 691.1 28.5% 530.5 21.8%

2013 2,409.1 790.5 32.8% 437.2 18.1% 660.2 27.4% 521.2 21.6%

2014 2,423.8 789.4 32.6% 456.1 18.8% 663.7 27.4% 514.6 21.2%

2015 2,435.3 791.1 32.5% 472.3 19.4% 667.1 27.4% 504.8 20.7%

2016 2,451.1 792.2 32.3% 491.4 20.0% 670.1 27.3% 497.4 20.3%

2017 2,463.8 793.2 32.2% 510.8 20.7% 670.0 27.2% 489.8 19.9%

2018 2,473.4 794.2 32.1% 527.4 21.3% 672.9 27.2% 478.9 19.4%

2019 2,486.1 795.1 32.0% 544.3 21.9% 675.8 27.2% 470.9 18.9%

2020 2,504.8 795.9 31.8% 564.5 22.5% 681.7 27.2% 462.7 18.5%

2021 2,517.4 796.6 31.6% 581.9 23.1% 684.6 27.2% 454.3 18.0%

[표 7-1] 생활폐기물 성상별 배출량 추정

○ 2021년까지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5장2절에서 각 폐기물 종류 별 관리목표를 수립하였음. 이렇게 수립된 관리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폐기물 처리시설별 시설계획을 다음과 같음.

○ 인천광역시는 재활용품 선별업무의 대부분을 민간선별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선 별업무의 안정적인 수행과 공공성을 담보한다는 측면에서 전체 재활용품 배출량의 약 45%

를 공공재활용품 선별시설에서 처리하기 위한 시설확충 계획을 수립하였음.

○ 음식물류폐기물과 가연성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 및 소각시설은 각 폐기물 종류별 배출량에 근거하여 시설계획을 수립함.

구분 2009(현재) 2012 2015 2018 2021

공공재활용품 선별시설 35 125 205 205 205

고형연료화 시설 및 전용보일러 0 - 77 77 77

음식물자원화시설 598 598 650 650 650

음폐수에너지화 시설 200

소각시설 1025 945 970 970 970

[표 7-2] 폐기물 처리시설별 시설계획

(단위 : 톤/일)

제2절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