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기표현 통제집단 실험집단 사전ㆍ사후 변화

다음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이 사전 사후 자기표현과 자발성에 어떠한 변화 보 이고 있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각각 집단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동질성 검증을 통한 검증과 함께 단일집단의 변화 검증을 통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1) 통제집단 사전ㆍ사후 변화

한지를 이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골다공증 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표 12>와 같다.

먼저 통제집단의 첫 번째 자기표현 하위변인인 말한 내용의 경우 사전 말한 내용 자 기표현(m=26.00, sd=3.79)과 사후 말한 내용 자기표현(m=26.83, sd=5.57)간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값이 -.667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534로 나타나(p〉.05),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 하위변인인 음성의 경우 사전 음성 자기표현(m=23.67, sd=3.08)과 사후 음성 자 기표현(m=22.33, sd=2.73)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값

TG Y_G T

이 .964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379로 나타나(p〉.05),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하위변인인 신체표현 자기표현의 경우 사전 신체표현 자기표현(m=12.67, sd=2.06)과 사후 신체표현 자기표현(m=12.67, sd=1.75)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 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값이 .000으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1.000으로 나타 나(p〉.05),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의 전체 자기표현의 총점의 경우를 알아본 결과 사전 전체 자기표현 집단(m=62.33, sd=7.06)과 사후 통제집단 전체자기표현(m=61.83, sd=5.49)간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값이 .142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892로 나타나(p〈.05), 통제집 단의 전체자기표현의 총점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 12〉자기표현 통제집단 사전 사후 변화 검증

구분 N 평균(M) 표준편차(SD) t p

말한 내용 사전 6 26.0000

26.8333

3.79473

5.56477 -.667 .534

사후 6

음성 사전 6 23.6667

22.3333

3.07679

2.73252 .964 .379

사후 6

신체표현 사전 6 12.6667

12.6667

2.06559

1.75119 .000 1.000

사후 6

자기표현 총점 사전 6 62.3333 61.8333

7.06163

5.49242 .142 .892

사후 6

ٻڅٻۋରډڋڐڇٻڅڅۋରډڋڌڇٻڅڅڅۋରډڋڋڌ

그림은 사전․사후 통제집단의 변화의 추이를 꺽은 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62.33

12.66 23.66

26

61.83 12.66

26.83 22.33 100

2030 4050 6070

斲洊 斲篊

斲洊 26 23.66 12.66 62.33

斲篊 26.83 22.33 12.66 61.83

廖穢 喺殯 汒昷 柦熺祢笊 爣洖

<그림 3> 자기표현 통제집단 사전․사후 점수 변화

TG Y`G T (2) 실험집단 사전ㆍ사후 변화

다음으로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자기표현의 정도가 어느 정도 변화되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실험집단의 자기표현을 t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아래 <표 13>와 같다.

〈표 13 〉자기표현 실험집단 사전 사후 변화 검증

구분 N 평균(M) 표준편차(SD) t p

말한 내용 사전 6 26.5000 34.1667

2.94958

4.53505 -7.502 .001

사후 6

음성 사전 6 22.0000

29.1667

3.79473

3.76386 -17.855 .000

사후 6

신체표현 사전 6 11.6667

16.0000

2.33809

2.19089 -13.000 .000

사후 6

자기표현 총점 사전 6 60.1667 79.3333

8.49510

9.24482 -29.305 .000

사후 6

څٻۋରډڋڐڇٻڅڅۋରډڋڌڇٻڅڅڅۋରډڋڋڌG

그림은 사전․사후 실험집단의 변화의 추이를 꺽은 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

ͧͧ͢͢͟

ͣͣ

ͣͧͦ͟

ͨͪͤͤ͟

ͣͪͧ͟͢

ͧ͢͟͢͡

ͤͥͧ͟͢

͡

ͣ͢͡͡

ͤͥ͡͡

ͦ͡

ͧͨ͡͡

ͩͪ͡͡

͢͡͡

斲洊 斲篊

斲洊 ͣͧͦ͟ ͣͣ ͧͧ͢͢͟ ͧͧ͟͢͡

斲篊 ͤͥͧ͟͢ ͣͪͧ͟͢ ͧ͢͟͢͡ ͨͪͤͤ͟

廖穢͑喺殯 汒昷 柦熺祢笊 爣洖

<그림 4> 자기표현 실험집단 사전․사후 점수 변화

먼저 실험집단의 첫 번째 자기표현 하위변인인 말한 내용의 경우 사전 말한 내용 자기표 현(m=26.50, sd=2.95)과 사후 말한 내용 자기표현(m=34.17, sd=4.54)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값이 -7.502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001로 나타

TG ZWG T

나(p〈.01),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 하위변인인 음성의 경우 사전 음성 자기표현(m=22.00, sd=3.79)과 사후 음성 자 기표현(m=29.17, sd=3.76)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값 이 -17.855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000으로 나타나(p〈.001), 두 집단 간에 통 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하위변인인 신체표현 자기표현의 경우 사전 신체표현 자기표현(m=11.67, sd=2.34)과 사후 신체표현 자기표현(m=16.00, sd=2.19)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t값이 -13.00으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000으로 나타나(p

〈.001), 이 변인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의 전체 자기표현의 총점의 경우를 알아본 결과 사전 전체 자기 표현(m=60.17, sd=8.50)과 사후 실험 집단 전체자기표현(m=79.33, sd=9.24)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값이 -29.31로 나타났고 유의미수준인 p값이 .000으로 나타나 (p〈.001), 실험집단의 전체자기표현의 사전 사후 점수가 매우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제2절 회기별 진행에 의한 변화

본 연구에서는 노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초기단계, 실행단계, 종결 단계로 나누어 회기를 선택적으로 분석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