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08

문서에서 형 유 북 (페이지 49-59)

. 입체도형

111, 113쪽

실전 개념

04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24_2+216=264(cmÛ`) 264`cmÛ`

05

(겉넓이)={;2!;_12_5 }_2+(5+12+13)_8

=60+240=300(cmÛ`) 300`cmÛ`

06

(겉넓이) =(2_4)_2+(2+4+2+4)_5

=16+60=76(cmÛ`) 76`cmÛ`

02

(밑넓이)=;2!;_6_8=24(cmÛ`) 24`cmÛ`

03

(옆넓이)=(6+10+8)_9=216(cmÛ`) 216`cmÛ`

07

a=4, b=2p_4=8p, c=8 a=4, b=8p, c=8

08

(밑넓이)=p_4Û`=16p(cmÛ`) 16p`cmÛ`

09

(옆넓이)=(2p_4)_8=64p(cmÛ`) 64p`cmÛ`

10

(겉넓이) =(밑넓이)_2+(옆넓이)

=16p_2+64p=96p(cmÛ`) 96p`cmÛ`

11

(겉넓이) =(p_2Û`)_2+(2p_2)_6

=8p+24p=32p(cmÛ`) 32p`cmÛ`

12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_14=7(cm)이므로 (겉넓이) =(p_7Û`)_2+(2p_7)_10

=98p+140p=238p(cmÛ`) 238p`cmÛ`

13

(부피)={;2!;_2_3 }_6=18(cmÜ`) 18`cmÜ`

14

(부피)=(5_2)_7=70(cmÜ`) 70`cmÜ`

15

(부피)=(p_5Û`)_9=225p(cmÜ`) 225p`cmÜ`

16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_6=3(cm)이므로 (부피)=(p_3Û`)_12=108p(cmÜ`) 108p`cmÜ`

08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57

18

(밑넓이)=5_5=25(cmÛ`) 25`cmÛ`

19

(옆넓이)={;2!;_5_6 }_4=60(cmÛ`) 60`cmÛ`

20

(겉넓이) =(밑넓이)+(옆넓이)

=25+60=85(cmÛ`) 85`cmÛ`

21

a=2, b=2p_2=4p, c=6 a=2, b=4p, c=6

22

(밑넓이)=p_2Û`=4p(cmÛ`) 4p`cmÛ`

23

(옆넓이)=p_2_6=12p(cmÛ`) 12p`cmÛ`

24

(겉넓이) =(밑넓이)+(옆넓이)

=4p+12p=16p(cmÛ`) 16p`cmÛ`

26

(겉넓이)=p_5Û`+p_5_8

=25p+40p=65p(cmÛ`) 65p`cmÛ`

28

(부피)=;3!;_{;2!;_4_5 }_6=20(cmÜ`) 20`cmÜ`

29

(부피)=;3!;_(p_5Û`)_6=50p(cmÜ`) 50p`cmÜ`

30

(부피)=;3!;_(p_15Û`)_8=600p(cmÜ`) 600p`cmÜ`

31

(겉넓이)=4p_3Û`=36p(cmÛ`) (부피)=;3$;p_3Ü`=36p(cmÜ`)

겉넓이: 36p`cmÛ`, 부피: 36p`cmÜ`

32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2!;_8=4(cm)이므로 (겉넓이)=4p_4Û`=64p(cmÛ`)

(부피)=;3$;p_4Ü`= 2563 p(cmÜ`)

겉넓이: 64p`cmÛ`, 부피: 2563 p`cmÜ`

27

(부피)=;3!;_(9_9)_8=216(cmÜ`) 216`cmÜ`

25

(겉넓이) =6_6+{;2!;_6_8 }_4

=36+96=132(cmÛ`) 132`cmÛ`

114~123쪽

실전 유형

(겉넓이)=[;2!;_(9+3)_4]_2+(9+5+3+5)_8

=48+176=224(cmÛ`)

01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 하면 2pr=8p ∴ r=4

∴ (겉넓이) =(p_4Û`)_2+8p_10

=32p+80p=112p(cmÛ`) 112p`cmÛ`

04

원기둥의 높이를 h`cm라 하면 (p_3Û`)_2+(2p_3)_h=72p 18p+6ph=72p, 6ph=54p

∴ h=9

따라서 원기둥의 높이는 9`cm이다.

05

(부피)=[;2!;_(1+2)_4]_3=18(cmÜ`)

07

(부피)={;2!;_6_8 }_10=240(cmÜ`) 240`cmÜ`

08

페인트가 칠해지는 부분의 넓이는 원기둥의 옆넓이와 같으 므로

(2p_6)_27=324p(cmÛ`) 324p`cmÛ`

06 17

a=5, b=6

(겉넓이)

=[;2!;_(3+6)_4]_2 +(4+6+5+3)_10

=36+180=216(cmÛ`)

02

6 cm

3 cm 5 cm

10 cm 4 cm

4 cm 6 cm 5 cm 3 cm 3 cm

보충 TIP 각기둥의 전개도에서 길이가 같은 선분 전개도를 접었을 때

⑴ 겹치는 선분 ⑵ 두 밑면의 대응변

⑶ 높이를 나타내는 선분

삼각기둥의 겉넓이가 108`cmÛ`이므로

{;2!;_4_3 }_2+(5+4+3)_h=108 ⋯ ➊ 12+12h=108, 12h=96

∴ h=8 ⋯ ➋

8

채점 기준 배점

➊ 겉넓이를 h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50%

➋ h의 값 구하기 50%

03

사각기둥의 높이를 h`cm라 하면 {;2!;_5_8 }_h=180, 20h=180

∴ h=9

따라서 사각기둥의 높이는 9`cm이다.

참고 두 대각선의 길이가 a, b인 마름모의 넓이 S는 S=;2!;ab

09

(부피)={;2!;_5_6+;2!;_5_4 }_7

=175(cmÜ`) 175`cmÜ`

10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prÛ`_7=175p, rÛ`=25

∴ r=5 (r>0)

따라서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는

2p_5=10p(cm) 10p`cm

11

세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2`cm, 2+2=4(cm), 4+2=6(cm)이므로

(부피)=(p_2Û`)_5+(p_4Û`)_5+(p_6Û`)_5

=20p+80p+180p=280p(cmÜ`) 280p`cmÜ`

13

그릇 A의 부피는 (p_4Û`)_3=48p(cmÜ`) ⋯ ➊ 그릇 B의 부피는 (p_xÛ`)_4=4pxÛ`(cmÜ`) ⋯ ➋ 그릇 B의 부피는 그릇 A의 부피의 3배이므로

48p_3=4pxÛ`, 144p=4pxÛ`, xÛ`=36

∴ x=6 (x>0) ⋯ ➌

6

채점 기준 배점

➊ 그릇 A의 부피 구하기 30%

➋ 그릇 B의 부피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0%

➌ x의 값 구하기 40%

14

(부피)={ p_4Û`_;3@6$0);}_9=96p(cmÜ`) 96p`cmÜ`

16

(겉넓이)={ p_6Û`_;3!6@0);}_2

+{ 2p_6_;3!6@0);+6_2 }_10

=24p+40p+120

=64p+120(cmÛ`) (64p+120)`cmÛ`

15

기둥의 높이를 h`cm라 하면 { p_3Û`_;2!;}_h=27p ∴ h=6

∴ (겉넓이)={ p_3Û`_;2!;}_2+{ 2p_3_;2!;+3_2 }_6

=27p+36(cmÛ`) (27p+36)`cmÛ`

18

밑면인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225ù인 큰 기둥의 부 피는

{ p_5Û`_;3@6@0%;}_8=125p(cmÜ`)

밑면인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360ù-225ù=135ù인 작 은 기둥의 부피는

{ p_5Û`_;3!6#0%;;}_8=75p(cmÜ`)

따라서 큰 기둥과 작은 기둥의 부피의 비는

125p : 75p=5 : 3 5 : 3

다른 풀이 큰 기둥과 작은 기둥은 밑면인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와 높이가 각각 같으므로 부피의 비는 밑면인 부채꼴 의 중심각의 크기의 비와 같다.

따라서 큰 기둥과 작은 기둥의 부피의 비는 225 : 135=5 : 3

17

(부피)=(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p_4Û`)_6-(p_2Û`)_6

=96p-24p=72p(cmÜ`) 72p`cmÜ`

다른 풀이 (부피)=(밑넓이)_(높이)

=(p_4Û`-p_2Û`)_6

=12p_6=72p(cmÜ`)

19

보충 TIP 구멍이 뚫린 기둥에서 두 밑면이 합동인 경우 (부피)=(밑넓이)_(높이)

={(큰 기둥의 밑넓이)-(작은 기둥의 밑넓이)}_(높이)

(겉넓이)

= {(원기둥의 밑넓이)-(사각기둥의 밑넓이)}_2 +(원기둥의 옆넓이)+(사각기둥의 옆넓이)

=(p_5Û`-4_4)_2+(2p_5)_12+(4_4)_12

=50p-32+120p+192

=170p+160(cmÛ`) (170p+160)`cmÛ`

20

보충 TIP 평면도형과 회전체

직사각형의 한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 전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는 원기둥이다.



직사각형 원기둥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기둥이므로

(부피) =(p_3Û`)_6

=54p(cmÜ`)

54p`cmÜ`

12

6 cm 3 cm

08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59

주어진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잘라 내기 전 정육면체의 겉 넓이와 같다.

∴ (겉넓이) =(10_10)_6

=600(cmÛ`) 600`cmÛ`

24

(겉넓이)

= {(큰 사각기둥의 밑넓이)-(작은 사각기둥의 밑넓이)}_2 +(큰 사각기둥의 옆넓이)+(작은 사각기둥의 옆넓이)

= (6_5-4_3)_2+(6+5+6+5)_9 +(4+3+4+3)_9

=36+198+126=360(cmÛ`)

∴ a=360 ⋯ ➊

(부피) =(큰 사각기둥의 부피)-(작은 사각기둥의 부피)

=(6_5)_9-(4_3)_9

=270-108

=162(cmÜ`)

∴ b=162 ⋯ ➋

∴ a+b=360+162=522 ⋯ ➌

522

채점 기준 배점

➊ a의 값 구하기 50%

➋ b의 값 구하기 40%

➌ a+b의 값 구하기 10%

22

(겉넓이)=(6_6-2_4)_2+(6+4+4+2+2+6)_5

=56+120

=176(cmÛ`) 176`cmÛ`

23

⑴ (겉넓이) ={ 8_8-p_4Û`_;2!;}_2 +{ 8_3+2p_4_;2!;}_10

=128-16p+240+40p 

=368+24p(cmÛ`) ⋯ ➊

⑵ (부피)=(8_8)_10-{ p_4Û`_;2!;}_10

=640-80p(cmÜ`) ⋯ ➋

⑴ (368+24p)`cmÛ` ⑵ (640-80p)`cmÜ`

채점 기준 배점

➊ 겉넓이 구하기 50%

➋ 부피 구하기 50%

25

5_5+{;2!;_5_x }_4=95 25+10x=95, 10x=70

∴ x=7 7

29

(겉넓이)=3_3+{;2!;_3_8 }_4

=9+48=57(cmÛ`)

28

입체도형의 부피는 높이가 10`cm인 원기둥의 부피에서 높이가 2`cm인 원 기둥의 부피의 ;2!;을 뺀 것과 같다.

∴ (입체도형의 부피)

=(p_4Û`)_10-{(p_4Û`)_2}_;2!;

=160p-16p

=144p(cmÜ`) 144p`cmÜ`

26

8 cm 2 cm

4 cm 10 cm

(겉넓이)=10_10+{;2!;_10_13 }_4

=100+260=360(cmÛ`) 360`cmÛ`

27

(겉넓이)

=(사각뿔의 옆넓이)+(사각기둥의 옆넓이) +(사각기둥의 밑넓이)

={;2!;_7_6 }_4+(7_8)_4+7_7

=84+224+49

=357(cmÛ`) 357`cmÛ`

주의 입체도형의 겉넓이를 구할 때, 사각뿔과 사각기둥의 겉넓이에 서 겹쳐지는 면, 즉 사각뿔의 밑넓이와 사각기둥의 한 밑넓이 는 제외한다.

30

원뿔의 모선의 길이를 l`cm라 하면 p_8Û`+p_8_l=184p

8pl=120p ∴ l=15

따라서 원뿔의 모선의 길이는 15`cm이다. 15`cm

31

(겉넓이)=p_6Û`+p_6_9

=36p+54p=90p(cmÛ`) 90p`cmÛ`

32

(부채꼴의 호의 길이)=2p_5_;3@6!0^;=6p(cm)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2pr=6p    ∴ r=3

∴ (겉넓이) =p_3Û`+p_3_5

=9p+15p 

=24p(cmÛ`) 24p`cmÛ`

33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겉넓이)

= (p_6Û`-p_2Û`)_2+(2p_6)_8 +(2p_2)_8

=64p+96p+32p

=192p(cmÛ`) 192p`cmÛ`

21

8 cm 4 cm2 cm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l`cm라 하면 p_1Û`+p_1_l=6p, p+pl=6p, pl=5p

∴ l=5 ⋯ ➊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xù라 하면 2p_5_;36{0;=2p_1

∴ x=72

따라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72ù이다. ⋯ ➋

72ù

채점 기준 배점

➊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50%

➋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 구하기 50%

34

(겉넓이)

=p_2Û`+p_3Û`+p_3_9-p_2_6

=4p+9p+27p-12p

=28p(cmÛ`)

35

(겉넓이)=3_3+6_6+[;2!;_(3+6)_8]_4

=9+36+144

=189(cmÛ`)

36

(필요한 색지의 넓이)=p_5Û`+p_10_30-p_5_15

=25p+300p-75p

=250p(cmÛ`) 250p`cmÛ`

37

사각뿔의 높이를 h`cm라 하면

;3!;_(8_8)_h=128 ∴ h=6

따라서 사각뿔의 높이는 6`cm이다.

38

(부피)=;3!;_(7_7)_9=147(cmÜ`) 147`cmÜ`

39

(부피)=(처음 사각뿔의 부피)-(잘라 낸 사각뿔의 부피)

=;3!;_(6_6)_6-;3!;_(2_2)_2

=72-;3*;= 2083 `(cmÜ`) 208 3 `cmÜ`

40

(부피)=(처음 삼각뿔의 부피)-(잘라 낸 삼각뿔의 부피)

=;3!;_{;2!;_8_8 }_6-;3!;_{;2!;_4_4 }_3

=64-8=56(cmÜ`) 56`cmÜ`

41

남아 있는 물의 모양이 삼각뿔이므로 물의 부피는

;3!;_{;2!;_10_12 }_4=80(cmÜ`) 80`cmÜ`

45

기울어진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모양이 삼각뿔이므로 물 의 부피는

;3!;_{;2!;_9_6 }_12=108(cmÜ`) ⋯ ➊ 바로 세운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모양이 사각기둥이므로 물의 부피는

(9_6)_x=54x(cmÜ`) ⋯ ➋

47

남아 있는 물의 모양이 삼각기둥이므로 물의 부피는 {;2!;_6_x }_5=60, 15x=60

∴ x=4

46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cm라 하자.

△ABC를 밑면으로 생각하면 높이가 BFÓ이므로 삼각뿔 B-AFC의 부피는

;3!;_{;2!;_a_a }_a=36 ⋯ ➊ aÜ`=216=6Ü` ∴ a=6

따라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6`cm이다. ⋯ ➋

6`cm

채점 기준 배점

➊ 삼각뿔 B-AFC의 부피에 대한 식 세우기 60%

➋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 구하기 40%

44

(부피)=(직육면체의 부피)-(잘라 낸 삼각뿔의 부피)

=(8_9)_10-;3!;_{;2!;_2_5 }_6

=720-10=710(cmÜ`)

참고 잘라 낸 삼각뿔은 다음 그림과 같다.

6 cm 5 cm

2 cm 8 cm

9 cm 6 cm 4 cm

4 cm 10 cm

43

보충 TIP (잘라 낸 삼각뿔의 부피)

=;3!;_{;2!;_a_b }_c

=;3!;_;2!;_(a_b_c)

=;6!;_(직육면체의 부피)

a b

c

(부피)=;3!;_BCD_CGÓ

=;3!;_{ ;2!;_3_3 }_3=;2(;(cmÜ`) ;2(;`cmÜ`

42

08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61

원뿔의 높이를 h`cm라 하면

;3!;_(p_3Û`)_h=48p 3ph=48p    ∴ h=16

따라서 원뿔의 높이는 16`cm이다. 16`cm

49

(부피)=(원기둥의 부피)+(원뿔의 부피)

=(p_4Û`)_6+;3!;_(p_4Û`)_3

=96p+16p=112p(cmÜ`) 112p`cmÜ`

50

(부피)=;3!;_(p_9Û`)_10

=270p(cmÜ`)

48

(부피)=(처음 원뿔의 부피)-(잘라 낸 원뿔의 부피)

=;3!;_(p_10Û`)_15-;3!;_(p_6Û`)_9

=500p-108p

=392p(cmÜ`) 392p`cmÜ`

51

잘라 낸 단면의 넓이의 합은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원의 넓이와 같으므로

(겉넓이)=(구의 겉넓이)_;4#;+(원의 넓이)

=(4p_4Û`)_;4#;+p_4Û`

=48p+16p

=64p(cmÛ`) 64p`cmÛ`

55

보충 TIP 구의 ;n!; 을 잘라 낸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구의 겉넓이)_{1-;n!;}+(잘라 낸 단면의 넓이의 합)

(겉넓이)=(4p_7Û`)_;2!;+p_7Û`

=98p+49p

=147p(cmÛ`) 147p`cmÛ`

56

(겉넓이)=(구의 겉넓이)+(원기둥의 옆넓이)

=4p_4Û`+(2p_4)_3

=64p+24p

=88p(cmÛ`) 88p`cmÛ

57

구를 한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 중 가장 큰 단면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원이다.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prÛ`=64p, rÛ`=64 ∴ r=8 (r>0) ⋯ ➊

∴ (구의 겉넓이)=4p_8Û`=256p(cmÛ`) ⋯ ➋

256p`cmÛ`

채점 기준 배점

➊ 구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50%

구의 겉넓이 구하기 50%

58

(부피)=(반구의 부피)+(원뿔의 부피)

={;3$;p_6Ü` }_;2!;+;3!;_(p_6Û`)_8

=144p+96p=240p(cmÜ`) 240p`cmÜ`

59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뿔이 므로

(부피)=;3!;_(p_3Û`)_4

=12p(cmÜ`)

52

3 cm A B

C 4 cm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겉넓이)

=(큰 원뿔의 옆넓이) +(작은 원뿔의 옆넓이)

=p_6_10+p_6_7`

=60p+42p

=102p(cmÛ`)

54

6 cm

7 cm 10 cm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뿔대 이다.

⑴ (겉넓이)

=p_3Û`+p_9Û`+p_9_15 -p_3_5

=9p+81p+135p-15p

=210p(cmÛ`)

⑵ (부피)=;3!;_(p_9Û`)_12-;3!;_(p_3Û`)_4

=324p-12p

=312p(cmÜ`) ⑴ 210p`cmÛ` ⑵ 312p`cmÜ`

53

5 cm

10 cm

4 cm

3 cm 8 cm 9 cm

두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양이 같으므로

54x=108 ∴ x=2 ⋯ ➌

2

채점 기준 배점

➊ 기울어진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 구하기 30%

➋ 바로 세운 그릇에 들어 있는 물의 부피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0%

➌ x의 값 구하기 40%

(부피)=(구의 부피)_;8&;

={;3$;p_3Ü` }_;8&;

=;;¤2£;;p(cmÜ`) ;;¤2£;;p`cmÜ`

60

보충 TIP 구의 ;n!; 을 잘라 낸 입체도형의 부피는 (구의 부피)_{1-;n!;}

지름의 길이가 10`cm인 쇠공의 부피는

;3$;p_5Ü`= 5003 p(cmÜ`)

지름의 길이가 2`cm인 쇠공의 부피는

;3$;p_1Ü`=;3$;p(cmÜ`) 5003 pÖ4

3 p=500 3 p_ 3

4p =125이므로 지름의 길이가 2`cm인 쇠공을 최대 125개까지 만들 수 있다. 125개

62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부피)

=(원기둥의 부피)+(반구의 부피)

=(p_6Û`)_10+{;3$;p_6Ü` }_;2!;

=360p+144p

=504p(cmÜ`) 504p`cmÜ`

63

6 cm

10 cm

6 cm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구이므로 (겉넓이)=4p_9Û`=324p(cmÛ`)

324p`cmÛ`

64

9 cm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부피)

=(원뿔의 부피)-(반구의 부피)

=;3!;_(p_6Û`)_7-{;3$;p_3Ü` }_;2!;

=84p-18p=66p(cmÜ`) 66p`cmÜ`

65

3 cm

3 cm 4 cm

(구의 부피)=;3$;p_3Ü`=36p(cmÜ`) ⋯ ➊ 원뿔의 높이를 h`cm라 하면

(원뿔의 부피)=;3!;_(p_6Û`)_h=12ph(cmÜ`) ⋯ ➋ 구와 원뿔의 부피가 같으므로

36p=12ph ∴ h=3

따라서 원뿔의 높이는 3`cm이다. ⋯ ➌

3`cm

채점 기준 배점

➊ 구의 부피 구하기 30%

➋ 원뿔의 부피를 높이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0%

➌ 원뿔의 높이 구하기 40%

61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높이 는 2r`cm이므로

prÛ`_2r=2prÜ`=432p    ∴ rÜ`=216 (원뿔의 부피)=;3!;prÛ`_2r=;3@;prÜ`

=;3@;p_216=144p(cmÜ`)

∴ a=144

(구의 부피)=;3$;prÜ`=;3$;p_216=288p(cmÜ`)

∴ b=288

∴ a+b=144+288=432 432 다른 풀이 (원뿔의 부피) : (구의 부피) : (원기둥의 부피)

=1 : 2 : 3

이므로 (원뿔의 부피) : (원기둥의 부피)=1 : 3에서 ap : 432p=1 : 3, 3ap=432p

∴ a=144

(구의 부피) : (원기둥의 부피)=2 : 3에서 bp : 432p=2 : 3, 3bp=864p

∴ b=288

∴ a+b=144+288=432

67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3$;prÜ`=36p ∴ rÜ`=27

∴ (원뿔의 부피)=;3!;prÛ`_2r=;3@;prÜ`

=;3@;p_27

=18p(cmÜ`) 18p`cmÜ 다른 풀이 (원뿔의 부피) : (구의 부피) : (원기둥의 부피)

=1 : 2 : 3

이므로 (원뿔의 부피) : (구의 부피)=1 : 2에서 (원뿔의 부피) : 36p=1 : 2, (원뿔의 부피)_2=36p ∴ (원뿔의 부피)=18p(cmÜ`)

68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겉넓이)

=(4p_4Û`)_;2!;+(4p_6Û`)_;2!;

+p_6Û`-p_4Û`

=32p+72p+36p-16p=124p(cmÛ`) 124p`cmÛ`

66

4 cm

6 cm

08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63

정육면체의 각 면의 한가운데 점을 연결하여 만든 입체도 형은 정팔면체이다.

따라서 구하는 정팔면체의 부피는 밑면인 정사각형의 대각 선의 길이가 6`cm이고 높이가 3`cm인 사각뿔의 부피의 2배 와 같으므로

(부피)=[;3!;_{;2!;_6_6 }_3]_2

=36(cmÜ`) 36`cmÜ`

72

보충 TIP 정육면체 각 면의 한가운데 점을 연결하여 만든 입체도 형은 정다면체이다. 이때 정육면체의 면의 개수는 6이므로 꼭짓점 의 개수가 6인 정다면체는 정팔면체이다.

(정육면체의 부피)=4_4_4=64(cmÜ`) (구의 부피)=;3$;p_2Ü`=;;£3ª;;p(cmÜ`)

(사각뿔의 부피)=;3!;_(4_4)_4=;;¤3¢;;(cmÜ`) 따라서 정육면체, 구, 사각뿔의 부피의 비는

64 : ;;£3ª;;p : ;;¤3¢;;=6 : p : 2

71

124~126쪽

실전 기출

사각기둥의 높이를 h cm라 하면

[;2!;_(3+6)_4]_2+(3+4+6+5)_h=180 36+18h=180, 18h=144

∴ h=8

따라서 사각기둥의 높이는 8`cm이다.

01

(겉넓이)={ p_8Û`_;3@6&0);}_2

+{ 2p_8_;3@6&0);+8_2 }_12

=96p+144p+192

=240p+192(cmÛ`) (240p+192)`cmÛ`

03

(겉넓이)=4_4+8_8+[;2!;_(4+8)_6 ]_4

=16+64+144=224(cmÛ`) 224`cmÛ`

05

사각뿔의 높이를 h`cm라 하면

;3!;_(5_5)_h=225, ;;ª3°;;h=225 ∴ h=27

따라서 사각뿔의 높이는 27`cm이다.

06

(부피)=(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p_4Û`)_9-(p_2Û`)_5

=144p-20p=124p(cmÜ`)

04

야구공의 겉넓이는 4p_3Û`=36p(cmÛ`)

따라서 가죽 한 조각의 넓이는

;2!;_36p=18p(cmÛ`) 18p`cmÛ`

08

(겉넓이)

=p_3Û`+p_6Û`+p_6_10-p_3_5

=9p+36p+60p-15p=90p(cmÛ`)

∴ a=90

(부피)=;3!;_(p_6Û`)_8-;3!;_(p_3Û`)_4

=96p-12p=84p(cmÜ`)

∴ b=84

∴ a-b=90-84=6 6

07

구하는 정팔면체의 부피는 밑면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 이가 12`cm이고 높이가 6`cm인 사각뿔의 부피의 2배와 같으므로

(부피)=[;3!;_{;2!;_12_12 }_6]_2

=288(cmÜ`) 288`cmÜ`

70

보충 TIP 정사각형은 마름모이므로 두 대각선은 서로를 수직이등분한다.

(정사각형의 넓이)=(마름모의 넓이)

=;2!;_2r_2r

r

캔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라 하면 2pr=10p ∴ r=5

∴ (부피) =(p_5Û`)_4

=100p(cmÜ`) 100p`cmÜ`

02

(공 3개의 부피의 합)={;3$;p_2Ü` }_3

=32p(cmÜ`) ⋯ ➊

통은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cm, 높이가 2_6=12(cm)인 원기둥 모양이므로 (통의 부피)=(p_2Û`)_12

=48p(cmÜ`) ⋯ ➋

따라서 공 3개를 제외한 통의 빈 공간의 부피는

48p-32p=16p(cmÜ`) ⋯ ➌

16p`cmÜ`

채점 기준 배점

➊ 공 3개의 부피의 합 구하기 40%

➋ 통의 부피 구하기 40%

➌ 공 3개를 제외한 통의 빈 공간의 부피 구하기 20%

69

(부피)=(삼각기둥의 부피)-(사각뿔의 부피)

={;2!;_3_5 }_4-;3!;_(5_2)_3

=30-10=20(cmÜ`)

=(p_1Û`)_2-;3!;_(p_1Û`)_2

=;3$;p(cmÜ`) 7aÜ`=189, aÜ`=27=3Ü` ∴ a=3

이 입체도형에서 중심에 있는 정육면체를 제외한 6개의 정 육면체는 각각 5개의 면이 밖으로 드러나 있다.

∴ (겉넓이)=(3_3)_5_6

=270(cmÛ`) 270`cmÛ`

13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 므로 원뿔 ㈎의 높이를 a`cm, 원뿔 ㈏의 높이를 b`cm라 하면 a+b=8

∴ (부피)=;3!;_(p_3Û`)_a +;3!;_(p_3Û`)_b

=3p_(a+b)

=3p_8

=24p(cmÜ`) 24p`cmÜ`

12

=;3$;p_3Ü`-[;3$;p_{;2#;}Ü` ]_2

=36p-9p

=27p(cmÜ`) 27p`cmÜ`

09

3 cm

3 cm

입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삼각 뿔이므로

(부피)=;3!;_{;2!;_6_6 }_12

=72(cmÜ`)

=;3!;_{;2!;_a_a }_;2!;a

=;1Á2;aÜ`(cmÜ`) ⋯ ➊ 2pl=6p_3 ∴ l=9

∴ (옆넓이)=p_3_9=27p(cmÛ`) 27p`cmÛ`

15

=112p(cmÛ`) ⋯ ➋

112p`cmÛ`

그릇에 물을 가득 채울 때, 물의 부피는

;3!;_(p_6Û`)_9=108p(cmÜ`) ⋯ ➊ 물을 1분에 3p`cmÜ`씩 넣으므로 빈 그릇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8pÖ3p=36(분) ⋯ ➋

36분

채점 기준 배점

➊ 가득 채운 물의 부피 구하기 50%

➋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 구하기 50%

19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➊

(큰 원기둥의 부피)=(p_9Û`)_10

=810p(cmÜ`) (작은 원기둥의 부피)=(p_4Û`)_7

=112p(cmÜ`)

(원뿔의 부피)=;3!;_(p_4Û`)_3=16p(cmÜ`) ⋯ ➋

∴ (회전체의 부피)

=(큰 원기둥의 부피)-(작은 원기둥의 부피) -(원뿔의 부피)

=810p-112p-16p

=682p(cmÜ`) ⋯ ➌

682p`cmÜ`

채점 기준 배점

➊ 회전체 그리기 30%

➋ 큰 원기둥, 작은 원기둥, 원뿔의 부피 구하기 50%

➌ 회전체의 부피 구하기 20%

20

10 cm 7 cm

5 cm 4 cm

9 cm 3 cm

쇠구슬 1개의 부피는 ;3$;p_3Ü`=36p(cmÜ`) ⋯ ➊ 이므로 줄어든 물의 부피는 3_36p=108p(cmÜ`) ⋯ ➋

21

줄어든 물의 높이를 h`cm라 하면 (p_6Û`)_h=108p

36ph=108p ∴ h=3

따라서 줄어든 물의 높이는 3`cm이다. ⋯ ➌

3`cm

채점 기준 배점

➊ 쇠구슬 1개의 부피 구하기 30%

➋ 줄어든 물의 부피 구하기 30%

➌ 줄어든 물의 높이 구하기 40%

칸막이가 있을 때, 물의 부피는 6_9_3+9_9_7 =162+567

=729(cmÜ`) ⋯ ➊

칸막이를 뺄 때, 물의 높이를 h`cm라 하면 칸막이가 있을 때의 물의 부피와 칸막이를 뺀 후의 물의 부피는 같으므로 (6+9)_9_h=729 ∴ h=;;ª5¦;;

따라서 칸막이를 뺄 때, 물의 높이는 ;;ª5¦;;`cm이다. ⋯ ➋

;;ª5¦;;`cm

채점 기준 배점

➊ 칸막이가 있을 때, 물의 부피 구하기 50%

➋ 칸막이를 뺄 때, 물의 높이 구하기 50%

18

자료의 정리와 해석

문서에서 형 유 북 (페이지 49-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