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분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회귀계수

표준 오차

표준화

회귀계수 F 유의

확률 R2

1단계 임금만족 분배공정성 .538 .058 .235 87.181 .000 .287 은 Sobel 검증법이 앞서 말한바와 같이 두 번째 식과 세 번째 식에서 독립변수의 계 수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밝히는 것과 같은 뜻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검증방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2단계 조직몰입 분배공정성 .357 .063 .355 31.978 .000 .126

3단계 조직몰입

분배공정성 .282 .076 .277

18.414 .000 .146 임금만족 .155 .075 .154

임금만족

β1=.235 β

4=.154 a=.538 b=.155 Sa=.058 Sb=.075

β2=.355 c=.063

분배공정성 조직몰입

c'=.076 β3=.277

한편 각 단계별 회귀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도식화하면<그림5-2>와 같 다. 검증결과 β

3=.277( <.001), β2=.355(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β2

3의 조 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임금만족은 분배공정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 고 할 수 있다.

<그림 5-2> 조직몰입에 대한 임금만족의 매개효과: 분배공정성

가설 Ⅲ-2 인 절차공정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임금만족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

구분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 회귀계수

표준 오차

표준화

회귀계수 F 유의

확률 R2

1단계 임금만족 절차공정성 .334 .069 .335 54.069 .436 .003

2단계 조직몰입 절차공정성 .247 .065 .247 14.443 .000 .061

3단계 조직몰입

절차공정성 .248 .064 .244

19.035 .000 .150 임금만족 .290 .063 .289

다>를 검증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결과가 <표5-7> 에 나타나 있다. 절차공정성의 경 우, 임금만족을 종속변수로 하는 1단계 회귀방정식은 절차공정성(β

1=.053, >.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변수로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절차공정성을 독립변수 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투입한 2단계 회귀방정식에서 절차공정성이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β

2=.247, <.001) 모델의 설명력 은 6.1%로 매우 낮았다.

절차공정성과 임금만족을 독립변수로 투입한 3단계 회귀방정식에서는 절차공정성(β

3

=.244)과 임금만족(β

4=.289)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의 분산 중 15.0%밖에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5-7>조직몰입에 대한 임금만족의 매개회귀분석 결과: 절차공정성

한편 각 단계별 회귀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도식화하면 <그림5-3>과 같 다. 검증결과, β

3=.244( <.001), β2=.247(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β2

3의 조 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임금만족은 절차공정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 고 할 수 있다.

임금만족

β1=.335 β

4=.154 a=.538 b=.155 Sa=.058 Sb=.075

β2=.355 c=.065

절차공정성 조직몰입

c'=.064 β3=.277

<그림5-3> 조직몰입에 대한 임금만족의 매개효과: 절차공정성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임금공정성은 조직몰입과 같은 조직유효성 변수에 더욱 유의 한 선행변수인 반면 분배공정성은 임금만족과 같은 개인적 성과변수를 예측하는데 더 욱 유의한 변수임을 밝혀냈으며 임금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 임금만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주장한 Sweeney(1992)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보상에 대 한 공정성 지각이 임금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임금만족에 대한 상관관계에 있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임금만족을 통한 조직몰입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주장한 윤권현(1998)의 연구와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도출되였으며 임 금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임금만족이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우봉관(2005)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