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임금만족에 대한 불일치이론을 주장한 연구자들로는 Katzell(1964)과 Locke(1968,1969), Porter(1961) 등을 들 수 있다.

Katzell은 만족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만족을 실제로 존재하는 것과 바라는 것과의 차이로 보고 이 차이가 “바라고 있는 자극의 양”에 의해 나누어져야 한다고 가정하였는데 이것은 사람이 어떤 자극을

1)보다 많이 바랄수록 어떤 주어진 불일치에 대한 불만은 그 만큼 더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Locke(1968)는 Katzell과 다르게 불일치이론을 제기하고 있는데 Locke는 중요한 것은 직각된 불일차이지 실제적인 불일차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는 만 족이란 사람이 바라는 것과 얻고 있다고 것과의 단순한 차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주장 하였다. Porter(1961)는 임금만족을 측정할 때 관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 였다. 즉 “당신들의 직무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임금이 마땅히 지급되어야 한다고 생 각하십니까?” 실제로는 얼마 정도의 임금이 지급되고 있습니까? 같은 질문을 통하여 기대하고 있는 임금과 실제지급받고 있는 임금간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만족결정요인의 파악에 있어 차이점은 Katzell(1964)은 실제적인 양과 바 라고 있는 양을 기준으로. Locke(1968)은 실제 지각량과 바라고 있는 양을 기준으로.

Porter(1961)은 실제지각량과 마땅히 받아야 한다고 느끼는 양을 기준으로 주장하였 다는 것이다. 이외 같이 불일치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마다 다소 다론 기준을 만족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지만 결정요인간의 차이에 의해 만족이 결정된다는 기본적인 입 장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불일치이론에서 임금만족은 개인이 그의 적무에서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임금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임금간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3)기대이론

기대이론의 가장 근복적인 특징은 행동형성에 있어서 개인의 동기행동선택이다.

즉 개인은 자신의 행동형과정에서 여러 가지 가능한 행동대안 또는 행동전략을 평가하 여 자기자신이 가장 중요시 하는 결과를 가져오리라고 믿어지는 행동대안 또는 행동전 략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기대이론이 작업상황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Vroom(1964)에 의해서 이다. 그는 개인의 동기는 결과에 대한 욕구의 강도와 자신의 행동이 원하는 결과를 실제로 가져오리라는 기대감의 복합적인 합수로서 다음과 같은 공식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개인의 등기(F)는 자기능력에 비추어 자기 자신이 달성할 수 있으리라 고 기대하는 일차적 성과(vj)와 일정행위가 1차 수준 결과를 가져 오리라고 믿는 기대 (Eij)의 곱의 함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1차 수준 결과의 유의성은 모든 2차 결과 유의

성과 1차수준의 결과가 2차 수준의 결과에 대해 가지는 수단성(Iik)의 곱의 함수이 다. 이로부터 한 결과가 높은 정의 유의성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만일 어떤한 행동에 그 결과가 따라 나오리라는 기대가 없다면 그 행동에 대한 힘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Porter와 Lawler(1968)은 Vroom(1964)의 이론을 기초 로 하여 여기에 몇 개의 작업관련 변수들을 첨가하여 포괄적인 모형을 모색하였다. 포 터와 롤러 이론의 특징은 만일 종업원이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특성을 지니지 못 하거나 자신의 역할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노력은 성과를 낳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과에 대해서는 내재적 및 외재적 보상이 따르게 되는데 보상에 대해 공정성을 지각하지 못한다면 만족을 얻게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임금만족에 관한 배경이론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외에 임금만족 배 경이론으로 공정성 이론이 있는데 공정성 이론에 대해서는 본 논문의 제2절에서 자세 히 다루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기로 한다.

3.3 임금만족 결정요인모형

위에서 살펴본 여러 임금만족 이론들에 근거하여 모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Lawler(1971)의 불일치 모형을 수정한 Dyer & Theribaul(1976)의 모 형 그리고 임금만족의 4가지 차원등을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Heneman(1985)의 수정

모형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lawler(1971)의 임금불만족의 결과모형을 살펴봄으로서 임금만족모형과의 비교를 시도해 보기로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