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반현황 전국 현황

문서에서 그림 차례 (페이지 32-49)

(1)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수는 지난 10년간 감소 추세

20대와 30대 청년층의 경제활동인구 수는 2008년 천만 1 57만 명 수준을 기록한 이후 2018년에는 986만명까지 감소

- 20대의 경제활동인구 수는 2012년 389만명으로 최저를 기록한 이후 계속해서 증가 추세인 반면 30대의 경제활동인구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수가 감소 및 정체하고 있다는 것은 청년이 취업할

수 있거나 취업을 희망하는 일자리 수가 증가하지 않고 있음을 방증

청년층 취업자 수도 지난 10년간 감소 추세

20대와 대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30 2008년 천만명 수준에서 1 2018년 920만으 로 약 80만명이 감소함

- 20대 취업자 수는 2014년 이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30대는 2008년 이후 계속 감소 추세

청년층 실업자 수와 실업률은 최근 급증세

청년층 실업자 수는 2008년 49만명 대비 2018년 58만명으로 약 만명이 8 증가함

- 특히 대 실업자 수는 약 만명에서 20 29 2018년 약 만명으로 약 만명이 38 10 증가

20대 청년층 실업률은 2008년의 7.0% 수준 대비 약 2.5%가 오른 9.5%를 기록한 반면, 30대의 실업률은 약 3%대 초반을 유지

단위 천명 ( : , %)

항목 연령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15

이상 총 인구

39,775 40,825 41,857 42,795 43,606 44,182

청년층 소계 18,275 17,952 17,607 17,233 16,959 16,527

15 - 19 3,214 3,361 3,333 3,196 3,066 2,759

20 - 29 6,655 6,373 6,198 6,199 6,296 6,390

30 - 39 8,406 8,218 8,076 7,838 7,597 7,378

경제 활동 인구

24,551 24,956 25,781 26,836 27,418 27,895

청년층 소계 10,787 10,406 10,213 10,170 10,190 10,089

15 - 19 210 234 255 270 271 226

20 - 29 4,246 4,034 3,894 3,909 4,063 4,086

30 - 39 6,331 6,138 6,064 5,991 5,856 5,777

취업자

23,775 24,033 24,955 25,897 26,409 26,822

청년층 소계 10,272 9,851 9,721 9,606 9,580 9,486

15 - 19 189 207 233 245 244 205

20 - 29 3,950 3,724 3,605 3,556 3,664 3,699

30 - 39 6,133 5,920 5,883 5,805 5,672 5,582

실업자

776 924 826 939 1,009 1,073

청년층 소계 515 557 494 563 610 603

15 - 19 21 28 23 25 27 21

20 - 29 297 311 290 352 399 387

30 - 39 197 218 181 186 184 195

비경제활 인구

15,225 15,868 16,076 15,959 16,187 16,287

청년층 소계 7,489 7,546 7,394 7,063 6,770 6,436

15 - 19 3,004 3,127 3,077 2,926 2,795 2,533

20 - 29 2,409 2,339 2,304 2,290 2,234 2,303

30 - 39 2,076 2,080 2,013 1,847 1,741 1,600

경제 활동 참가율

61.7 61.1 61.6 62.7 62.9 63.1

청년층 소계 59.0 58.0 58.0 59.0 60.1 61.0

15 - 19 6.5 7.0 7.7 8.5 8.8 8.2

20 - 29 63.8 63.3 62.8 63.1 64.5 64.0

30 - 39 75.3 74.7 75.1 76.4 77.1 78.3

실업률

3.2 3.7 3.2 3.5 3.7 3.8

청년층 소계 4.8 5.4 4.8 5.5 6.0 6.0

15 - 19 10.25 11.9 8.9 9.3 10.0 9.3

20 - 29 7.0 7.7 7.4 9.0 9.8 9.5

30 - 39 3.1 3.5 3.0 3.1 3.1 3.4

고용률

59.8 58.9 59.6 60.5 60.6 60.7

청년층 소계 56.2 54.9 55.5 55.7 56.5 57.4

15 - 19 5.9 6.1 7.0 7.7 8.0 7.4

20 - 29 59.4 58.4 58.2 57.4 58.2 57.9

| 표 2-10 경제활동인구 및 고용률 실업률 등| ,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은 증가세

전체적으로 청년층 인구수는 감소하지만 경제활동 참가율은 상승세 유지, - 특히 30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대보다 12% 포인트 정도 높은 수준

청년층 고용률은 최근 증가세를 기록

청년층 고용률은 최근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나 대는 20 2008년 대비 1.5%

포인트 낮은 57.9% 수준이며, 30대는 2.7% 포인트 높은 75.7% 수준임 - 30대 청년층의 고용률은 20대 청년층에 비해 17%p 이상 높은 수준

청년층의 교육훈련 경험 부족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2018년 월 현재 직업교육 훈련 5 · 경험이 있는 청년층의 비율이 18.8%에 그침

- 또한 직업교육 훈련 경험이 있는 청년층의 · 50% 이상이 재학 중에 경험한 것으로 판명 설문응답자 대부분 특성화 고교 내지는 전문대학교 재학생들이 . 참여한 것으로 추측

단위 천명 ( : , %)

구분 2014 2016 2018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청년층 인구 전체 9,397 100.0 9,378 100.0 9,157 100.0

전체 1,501 16.0 1,500 16.0 1,721 18.8

재학ㆍ휴학 중 788 8.4 862 9.2 905 9.9

졸업ㆍ중퇴이후 546 5.8 514 5.5 654 7.1

재학ㆍ휴학 및

졸업ㆍ중퇴 이후1) 167 1.8 123 1.3 162 1.8

교육훈련 경험 없음 7,891 84.0 7,875 84.0 7,435 81.2

무학 5 0.1 4 0.0 1 0.0

주 직업교육훈련 경험이란 공공직업훈련시설 예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폴리텍대학 직업훈련시설 대학 및 대학: ( : , ), , 원 평생교육시설 등에서 훈련을 받은 경우를 의미,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1 청년층 직업교육훈련 경험 유무|

취업준비 기간의 장기화

청년 임금 근로자들은 대략 첫 취업을 하는데 평균적으로 개월 정도 걸리며11 , 년 이후 최근까지 유사한 추세를 보임

2008

다만 첫 취업소요기간 이 개월‘ ’ 6 ~1년미만 년 이상 걸린 근로자 수가 최근 , 1 급증

단위 천명 개월

( : , )

구분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졸업ㆍ중퇴 후

취업유경험자 전체 4,590 4,272 4,037 3,827 4,033 4,140

임금 근로자

전체 4,456 4,138 3,904 3,708 3,909 4,054

개월 미만

3 2,315 2,176 2,041 1,888 1,998 2,011

개월 미만

3~6 558 562 562 484 511 487

개월 년 미만

6 ~1 435 398 360 364 355 438

년 이상

1 1,149 1,002 941 971 1,046 1,118

비임금 근로자 134 134 133 119 124 86

첫 취업 평균소요기간 개월( ) 10 10 10 11 10 11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2 청년층 첫 취업소요기간|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생 비율이 낮음

2018년 월 기준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5 478만명 중 취업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수는 62만명으로 약 13%에 그침

청년 취업준비생 중 일반직공무원 준비생 수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일반직 공무원과 고시 및 전문직 취업준비생의 수는 62만명 중 25만명에 달함

단위 천명

( : )

구분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전체 5,338 5,427 5,293 5,258 5,004 4,789

취업시험 준비하였음 531 543 572 650 644 626

일반 기업체 92 91 128 166 138 154

언론사 공영기업체/ 41 24 36 52 58 50

교원임용 41 28 36 35 33 37

일반직 공무원 207 177 164 182 253 208

고시 및 전문직 76 86 67 75 55 49

기능분야 및 기타 105 138 140 139 108 129

취업시험 준비하지 않았음 4,769 4,881 4,719 4,606 4,356 4,162

미상 8 3 2 3 3 1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3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시험 준비 유무 및 취업 준비분야|

| 그림 2-1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 준비분야|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대 청년층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전체 평균과 유사 20

20대 청년층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32% 수준이며 전체 비정규직 , 비중과 거의 동일한 수준에서 추이

30대 청년층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21% 수준으로 전체 비정규직 , 비중에 비해 약 12% 낮음

20대 청년층 비정규직 일자리 수는 늘었지만 전체 비정규직 일자리에서 ,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고 있음

30대는 비정규직 일자리 수도 2008년 대비 만 명 줄었으며 전체 비정규직 27 ,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거의 8% 포인트 감소함

단위 천명 ( : , %)

구분

2015 2016 2017 2018

임금

근로자 정규직 정규직

임금

근로자 정규직 정규직

임금

근로자 정규직 정규직

임금

근로자 정규직 정규직

전체

19,474 13,166 6,308 19,743 13,262 6,481 20,006 13,428 6,578 20,045 13,431 6,614

100.0  67.6 32.4 100.0  67.2 32.8 100.0  67.1 32.9 100.0  67.0 33.0

청년 소계

8,253 6,196 2,157 8,197 6,153 2,144 8,251 6,180 2,171 8,195 6,147 2,148 100.0 75.1 26.1 100.0 75.1 26.2 100.0 74.9 26.3 100.0  75.0 26.2

20-세 29

3,413 2,316 1,097 3,455 2,343 1,112 3,498 2,341 1,157 3,478 2,353 1,124 100.0  67.9 32.1 100.0  67.8 32.2 100.0  66.9 33.1 100.0 67.7 32.3

30-세 39

4,840 3,812 1,028 4,742 3,742 1,000 4,753 3,772 981 4,717 3,726 992 100.0   78.8 21.2 100.0 78.9 21.1 100.0  79.4 20.6 100.0  79.0 21.0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4 청년층 근로형태 현황|

청년층 근로자 수 증가는 20대 초반에 집중

20대 초반 청년층 근로자 수가 가장 높은 비중으로 증가했지만 월급여액 , 증가율은 가장 낮았음

- 대졸자들이 노동시장에 최초 진입하는 연령대인 25세에서 34세의 일자리 수 증가율이 20대 초반과 30대 후반 연령대의 일자리 수 증가율보다 낮음 - 여성의 경우 대 후반 연령대 일자리 수 증가율이 대 초반 연령대에 버금갈 30 20

정도의 높은 수준을 보임

단위 명 천원 ( : , , %)

구분

2013 2015 2018 변화율

(2013-2018) 근로자 수

급여액 근로자 수

급여액 근로자 수 급여액

근로자

급여액

전체 8,683,949 2,659 9,643,688 2,819 10,510,220 3,137 21.0 18.0

20-24 431,638 1,672 491,798 1,763 507,902 1,998 17.7 19.5

25-29 1,128,469 2,087 1,193,985 2,218 1,296,079 2,466 14.9 18.2

30-34 1,455,453 2,480 1,495,573 2,652 1,354,775 2,928 -6.9 18.1

35-39 1,262,499 2,866 1,374,275 3,070 1,528,126 3,333 21.0 16.3

전체 5,708,678 2,986 6,166,738 3,214 6,494,543 3,562 13.8 19.3

20-24 153,672 1,709 180,740 1,787 195,791 2,085 27.4 22.0

25-29 601,107 2,162 639,592 2,302 684,625 2,554 13.9 18.1

30-34 979,097 2,566 998,510 2,764 855,589 3,055 -12.6 19.1

35-39 896,681 3,061 966,215 3,289 1,028,445 3,570 14.7 16.6

전체 2,975,271 2,032 3,476,950 2,119 4,015,677 2,449 35.0 20.5

20-24 277,965 1,651 311,058 1,748 312,111 1,944 12.3 17.7

25-29 527,362 2,001 554,393 2,121 611,453 2,368 15.9 18.3

30-34 476,356 2,302 497,063 2,427 499,186 2,709 4.8 17.7

35-39 365,819 2,389 408,060 2,551 499,681 2,844 36.6 19.0 출처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

| 표 2-15 청년층 성별 연령별 임금조건| ·

청년층 취업유경험자들의 평균 근속기간이 단축되는 경향

첫 일자리를 유지하는 청년의 수가 2010년 이후 증가추세였으나, 2018년에 약간 감소

첫 일자리를 그만둔 청년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8년 16개월에서 2018년 개월로 지속해서 단축되고 있음

14

- 첫 일자리를 유지하는 청년층과 그렇지 못한 청년층 간의 양극화 추세가 보임 - 평균 근속기간이 지속해서 단축되는 것은 청년들의 일자리 질이 악화하고

있음을 나타냄

단위 천명 개월

( : , )

구분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취업

경험

평균 근속 기간

취업 경험

평균 근속 기간

취업 경험

평균 근속 기간

취업 유경 험자

평균 근속 기간

취업 경험

평균 근속 기간

취업 경험

평균 근속 기간

전체 4,590 19 4,272 19 4,037 18 3,827 18 4,033 18 4,140 18 첫 일자리를

그만둔 경우 3,103 16 2,945 15 2,687 15 2,355 14 2,411 14 2,574 14 첫 일자리가

현 직장인 경우

1,487 27 1,327 26 1,349 26 1,472 24 1,621 24 1,566 25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6 청년층 취업유경험자들의 평균 근속기간|

청년층 취업유경험자들의 첫 직장이 서비스업종에 편중되는 경향

청년층들의 첫 일자리 중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 비중이 ‘ ’ 81%를 상회하고 있음

- 광 제조업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도소매 음식숙박업의 비중은 · , · 년 대비 약 증가

2008 5%

단위 천명 ( : , %)

구분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졸업ㆍ중퇴 후 취업

유경험자 전체 4,513 100.0 4,245 100.0 4,028 100.0 3,895 100.0 4,121 100.0 4,140 100.0 농림어업

(A) 25 0.6 26 0.6 24 0.6 36 0.9 32 0.8 29 0.7

광ㆍ제조업

(B,C) 908 20.1 772 18.2 710 17.6 685 17.6 728 17.7 725 17.5

사회 간접 자본 및기 타서 비스 업(

D~

U)

전체 3,580 79.3 3,446 81.2 3,294 81.8 3,175 81.5 3,361 81.6 3,386 81.8 건설업

(F) 245 5.4 190 4.5 165 4.1 131 3.4 125 3.0 146 3.5

도소매ㆍ음식 숙박업

(G,I)

1,096 24.3 1,082 25.5 1,049 26.0 1,077 27.7 1,201 29.1 1,215 29.3

사업 개인 공· · 공서비스업

(E, L~U)

1,788 39.6 1,630 38.4 1,630 40.5 1,567 40.2 1,625 39.4 1,589 38.4

전기 운수 통· · 신 금융업· (D,H,J,K)

452 10.0 544 12.8 450 11.2 399 10.2 411 10.0 437 10.6

: 2008~2016년도는 청년층 부가조사 차9 , 2018년도는10차 자료 활용함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7 청년층 취업유경험자 첫 일자리의 산업분야별 분포|

청년층 취업유경험자들의 첫 직업 역시 서비스 판매 종사자 비율이 높음·

청년층들의 첫 직업에서 서비스 판매 종사자 비율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 · 년 약간 감소

2018

단순노무종사자 비율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사무종사자 비율은 큰 , 폭으로 낮아지고 있음

청년층 첫 일자리의 근로형태에서 안정성이 낮은 형태의 비중이 증가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계속 근무가능한 일자리의 비중은 2018년 조사 결과 만으로 증가였고 계약직 일자리 비중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

253

시간제 일자리는 2012년 만명에서 46 2018년 만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한 69

단위 천명 ( : , %)

구분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졸업ㆍ중퇴 후

취업 유경험자 전체

4,513 100.0 4,245 100.0 4,028 100.0 3,895 100.0 4,121 100.0 4,140 100.0

관리자ㆍ

전문가 1,151 25.5 1,050 24.7 1,031 25.6 981 25.2 1,033 25.1 998 24.1 사무 종사자 1,242 27.5 1,133 26.7 1,026 25.5 973 25.0 946 23.0 935 22.6 서비스 판매·

종사자 1,181 26.2 1,169 27.5 1,169 29.0 1,158 29.7 1,325 32.2 1,318 31.8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20 0.4 14 0.3 15 0.4 30 0.8 15 0.4 11 0.3 기능 기계조작·

종사자 559 12.4 536 12.6 492 12.2 493 12.7 479 11.6 503 12.1 단순노무

종사자 361 8.0 344 8.1 296 7.3 261 6.7 324 7.9 375 9.1 : 2008~2016년도는 청년층 부가조사 차9 , 2018년도는10차 자료 활용함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8 청년층 취업경험자들의 첫 일자리의 직종별 분포|

단위 천명 ( : , %)

구분 2012 2016 2018

졸업ㆍ중퇴 후

취업 유경험자 전체 4,037 100.0 4,033 100.0 4,140 100.0

임금근로자 계약여부

( )

전체 3,904 96.7 3,909 96.9 4,054 97.9 계약기간 정함 917 22.7 1,067 26.5 1,037 25.0

년 이하

1 802 19.9 899 22.3 877 21.2

년 초과

1 115 2.8 168 4.2 160 3.9

계약기간 정하지

않음 2,987 74.0 2,843 70.5 3,018 72.9 계속 근무 가능 2,527 62.6 2,335 57.9 2,533 61.2

일시적 일자리 461 11.4 508 12.6 485 11.7

임금근로자 근로형태

( )

전체 3,904 96.7 3,909 96.9 4,054 97.9 전일제 3,440 85.2 3,342 82.9 3,356 81.1

시간제 465 11.5 567 14.1 698 16.9

자영업자 79 2.0 78 1.9 54 1.3

무급가족종사자 53 1.3 46 1.1 32 0.8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5 )

| 표 2-19 청년의 첫 일자리 근로형태의 분포 및 추이|

청년층의 근로여건에 대한 불만족이 첫 이직의 중요한 사유

청년층이 첫 일자리를 그만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보수와 근로시간 등 근로여‘ 건 불만족 으로 나타남’

‘임시적 계절적인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 의 이유도 , , ’ 2015년부터 지속해서 증가 추세

- 청년층의 첫 일자리가 속해 있는 산업 직종 그리고 근로형태 등의 근로여건이 , , 복합적으로 열악해지고 있음을 유추 가능

단위 천명 ( : , %)

구분

2015. 5 2016. 5 2017.5 2018.5 이직

경험자 구성비 이직

경험자 구성비 이직

경험자 구성비 이직

경험자 구성비 전체 2,493 100 2,464 100 2,516 100.0 2,574 100.0 근로여건 불만족

보수 근로시간 ( ,

등)

1,181 47.4 1,198 48.6 1,284 51.0 1,313 51.0

개인 가족적 이유· 건강 육아 결혼

( , ,

등)

418 16.8 332 13.5 348 13.8 365 14.2

전망이 없어서 190 7.6 196 7.9 180 7.2 224 8.7

전공 지식 기술, , , 적성 등이 맞지 않음

159 6.4 154 6.3 167 6.6 154 6.0

임시적 계절적인,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

280 11.2 264 10.7 303 12.0 320 12.4

직장 휴업 폐업, ,

파산 등 47 1.9 70 2.8 60 2.4 44 1.7

그 외 218 8.7 251 10.2 175 7.0 154 6.0

: 1) 이직경험자 실업 비경제활동인구 포함: ,

그 외 창업 또는 가족사업 참여 일거리가 없거나 회사사정 어려움 권고사직 기타

2) : ,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 ( ; 15-29세 매년 월 기준 고령층 부가조사5 / )

| 표 2-20 청년의 첫 일자리 이직 사유|

|

문서에서 그림 차례 (페이지 32-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