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반연수 체제의 하위영역에 대하여 학교 배경 변인 즉 학교급별과 지 역별로 어떤 인식수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1. 학 교 급 별

일반연수의 하위영역에 대한 학교급별에 따른 인식 차를 분석한 결과 는 < 표- 12> 와 같다.

< 표- 12> 일반연수 체제의 하위영역에 대한 학교급별에 따른 인식 차

효과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원(M =3.06)이 중등학교 교원(M =3.00)보다 약간

일반연수 체제에 대한 교원의 지역별에 따른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 표- 13>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서울특별시 교원(M =3.04)이 경기도 교원 (M =2.90)보다 높게 반응하였으나 모두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들 간에 는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

이를 하위 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내용면에서 서울특별시 교원(M =3.40)은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경기도 교원(M =3.36)은 보통수준으 로 반응을 하였다. 이들 간에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방법면에서 는 서울특별시 교원(M =2.86)이 경기도 교원(M =2.66)보다 긍정적으로 반응 하였으며 이들 간에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p .001) 지원조건면에는 서 울특별시 교원(M =2.84)이 경기도 교원(M =2.81)보다 약간 높게 반응하였으 나 모두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이들간에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효과면에는 서울특별시 교원(M =3.14)이 경기도 교원(M =2.91)보다 높게 반 응하였으며 모두 보통수준이기는 하지만 이들간에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 다.(p .001)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서울특별시, 경기도 교원 모두 일반연수에 대해 모두 보통수준으로 인식을 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서울특별시 교원들이 경기도 교원들보다는 더 높은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고 특히 연수 방법 면, 연수 효과면에서 경기도 교원들보다는 서울특별시 교원들이 더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문항별 인식수준 분석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과의 연계성면에서 초등학교 교원들은 비교적 연계가 있

다고 보고 있는데(M =3.45) 반하여 중등학교 교원들은 보통수준이라고 반 응하고 있다.(M =3.20) (p< .001) 또한 현행 일반연수가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응하고 있는가 하는 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원들(M =3.24)이 중등학교 교 원들(M =3.06)보다는 약간 더 높게 반응하고 있으나 모두 보통수준이었 다.(p< .05) 연수시간의 적정성 문제에 대해 남교사들(M =3.48)은 비교적 적 정하다고 반응하고 있는데 반하여 여교원들(M =3.32)은 보통수준이라고 반 응하고 있는데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p< .05)

둘째, 연수 대상자 선발방법에 대해 교감(M =3.55)은 비교적 적절하다고 반응하고 있는데 반해 부장교사(M =3.07), 교사(M =2.64)들은 보통수준이라 고 반응하고 있어 대조적이었다.(p< =.001) 연수 대상자 선발 방법에 대하 여는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p< .001)

셋째, 연수성적 반응 비율에 대하여 경력에 관계없이 모두 보통수준이라 고 반응하고 있으나, 경력이 낮을수록 더 긍정적 반응을 하고 있었 다.(p< .001) 프로그램의 사전예고는 경기도 교원들(M =2.48)보다는 서울시 교원들(M =2.95)이 더 잘 되고 있다고 반응하고 있었다.(p< .001)

넷째, 비용의 자비부담에 관하여 남교원들(M =1.54)은 아주 부정적 반응 을 보이고 있었고, 여교원들(M =1.85)도 비교적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었 다.(p =.001) 또한 교원들(M =1.84)보다는 교감(M =1.44)이 자비부담에 대하여 아주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어 대조적이었다. 현행 일반연수 체제가 전 문성 시장 , 새 학교 문화 창조 에 도움이 된다고 여교원들이 남교원들보 다 더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p=.05) 또한 현행 일반연수 체제가

새 학교 문화 창조 구현 , 바른 교직관 확립 , 현장교육 개선 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서울시 교육청 소속 교원들이 경기도 교원들 보다 더 도움이 되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Ⅴ . 요 약 및 결 론

A . 요

일반연수는 승진규정의 개정으로 인하여 교원들의 연수에 대한 욕구와 교육부의 교원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과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부응해 야 하는 시대적 사명감에 의해 1998년부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일반연수는 연수 본래의 목적과 취지와는 달리 교원들의 불평의 소리도 높다. 그래서 일반연수의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일반연수의 개선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인 일반연수 체제에 대한 초 중등학교 교원들의 인식수준을 알 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연수 체제에 대한 초 중등학교 교원들(교감, 부장교사, 교사)의 인식수준을 알아보았다.

둘째, 일반연수 체제에 대한 초 중등학교 교원들(교감, 부장교사, 교원)의 인식수준이 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급별(초 중등), 지역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일반연수의 하위변인(내용, 방법, 지원조건, 효과)에 대한 교원의 인식수준이 개인배경 변인(성별, 직위별, 경력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 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일반연수의 하위변인(내용, 방법, 지원조건, 효과)에 대한 교원의 인식수준이 학교배경 변인(학교급별, 지역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학술지 및 선행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 으며, 그 결과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조사대상으로 경기도와 서울특별시 교육청 산하 공립 초 중등학교 60개 교 를 무선 표집하고 이들 각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감(60명), 부장교사(150 명), 교사(360명)를 대상으로 모두 570부를 발송하여 회수된 질문지 중 가 용성이 있는 526부를 자료 처리하였다. 도구제작은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를 토대로 연구자가 자작하였고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예비검사를 거쳐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안면 타당도를 높였다.

자료처리는 질문지 문항마다 라이커트(Likert )의 5단계 평정척도를 사용 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영역별, 변인별로 평균치 (M ), 표준편차(SD )를 구하고 변인간의 차이 검증은 t검증과 F 검증을 하였 으며 유의도(p )는 5%, 1%, 0.1%수준에서 알아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은 현행 일반연수 체제에 대해 보통수준(M =2.97)으로 인식 하고 있으며, 현행 일반연수 체제 중에서도 내용면(M =3.38)에 대한 인식수 준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효과면(M =3.03), 지원조건면(M =2.82), 방법면 (M =2.76)순이었는데 전반적으로 보통수준이었다.

둘째, 일반연수에 대한 개인배경 변인별 인식수준은 여교원(M =2.99)이 남교원(M =2.94)보다 높게 반응하였으며 부장교사(M =3.01), 저경력(M =3.00) 이 높게 반응하였다.

셋째, 일반연수에 대한 학교배경 변인별 인식수준은 초등학교(M =3.00)가 중등학교(M =2.94)보다, 서울특별시(M =3.04)가 경기도(M =2.90)보다 높게 반 응하였다.

넷째, 일반연수의 하위영역에 대한 성별 인식수준은 여교원(M =2.99)이 남교원(M =2.94)보다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내용면, 지원조건면, 효과면에서는 여교원이 남교원보다높게 반응하였다.

방법면에서는 남교원이 여교원보다 높게 반응하였으나 모두 긍정도 부정도 아닌 보통수준으로 반응하고 있다.

다섯째, 일반연수의 하위영역에 대한 직위별 인식수준은 부장교사 (M =3.01), 교사(M =2.97), 교감(M =2.93) 순으로 번응하였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효과면에서는 부장교사(M =3.08), 교감(M =3.02), 교사(M =3.01) 순 으로 반응하였다.

여섯째, 일반연수의 하위영역에 대한 경력별 인식수준은 저경력(M =3.00), 중경력(M =2.99), 고경력(M =2.94)순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모두 긍정도 부정 도 아닌 반응을 보였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내용면과 방법면에서는 중 경력이 지원조건면, 효과면에서는 저경력이 가장 높게 반응하였다.

일곱째, 일반연수의 하위영역에 대한 교원의 학급별 인식수준은 초등학 교 교원(M =3.00)이 중등학교 교원(M =2.94)보다 높게 반응하였다.

여덟째, 일반연수의 하위영역에 대한 교원의 지역별 인식수준은 서울특 별시 교원(M =3.04)이 경기도 교원(M =2.90)보다 높게 반응하였다.

B . 결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연수 체제에 대한 초 중등학교 교원들의 인식수 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은 현행 일반연수 체제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인식하지 못하 고 있고, 연수내용, 연수방법, 연수의 지원조건, 연수효과면 등과 같은 하위 영역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여교원이 남교원보다, 부장교사가 교감・ 교사보다, 저경력 교원 이 중경력・고경력 교원보다 현행 일반연수 체제가 더 잘 되고 있다고 보 고 있다. 특히 연수 내용면에서 여교원이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부장교사・중경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보통수준으로 반응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교원이 중등학교 교원보다 현행 일반연수가 더 잘 되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고, 연수 내용면에서 중등학교 교원보다 초등학교 교원이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고, 서울특별시 교원이 경기도 교원보다 일 반연수가 더 잘 되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연수 방법면과 연 수 효과면에서 경기도 교원보다는 서울특별시 교원들이 현행 일반연수에 대하여 더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