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일 반 연 수

관할 교육감 또는 교육공무원법 제2조 제2항~4항의 규정에 의하여 국 립학교 또는 기관의 장의 지명을 받아 1998년에 개정된 상위자격 획득에 필요한 일반연수 점수로 인정받을 수 있는 10일 이상 60시간 이상의 자격 연수를 제외한 연수를 말한다.

2 . 개 인 배 경 변 인

개인 배경 변인은 응답한 교원의 성별, 직위별, 경력별에 따른 구분을 말한다. 경력은 21년 이상을 고경력, 11년에서 20년 이하를 중경력, 10년 이하를 저경력으로 본다.

3 . 학 교 배 경 변 인

학교 배경 변인은 소재 지역별(서울, 경기도), 학교 급별(초 중등)에 따 른 구분을 말한다.

D . 연 구 의 제 한 점

1. 표집 대상은 경기도 교육청과 서울특별시 교육청 산하 공립 초 중등 학교 교원으로 한정하였다.

2. 본 연구는 질문지법으로만 자료를 수집하고 결과를 해석하였다.

Ⅱ . 이 론 적 배 경

본 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현직 교원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교원의 전문성 신장, 2000년 교원연수 방향, 주요 국가의 연수 동향을 중심 으로 문헌을 고찰하였다.

A . 현 직 교 육 의 내 용

1. 현 직 교 육 의 개 념

현직교육은 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전교육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현직연수, 현직교육, 교원연수, 재교육 등으로 특별한 구별 없이 사용되고 있다. 외국에서도 현직교육(in service tr aining ), 현직교육훈련(in 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of t eacher s INSET ), 직원능력 개발(staff dev elopm ent ), 전문적 개발(profes sional dev elopm ent ),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 등의 유사어들이 명확한 구별 없이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되고 있다.12 )

정태범은 현직교원의 전문적 자질향상을 위하여 실시되는 교육활동 또는

12) 이윤식 외, 교원연수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 국 교 원 개 발 원 연 구 보 고 , 93 - 9 (1993 ), p . 19.

교원 자신의 자기 연수활동이라 말하였으며13 ) 이득기는 현직에 있는 교사 가 교직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지식과 기술, 정보를 습득하고 그들의 가치관과 태도 및 교수- 학습 방법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라고 하였다.14 ) 또 조남근은 교원이 교직에 종사하고 있는 동안에 그들의 전문적 성장을 위하여 실시하는 계속교육이라고 하였으며15 ) 김종철과 이종재는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가질 수 있는 교직에 관한 연 수활동을 광범하게 포괄하는 개념으로 모든 연구와 수양과 기회를 활용하 여 교사가 자기 수양과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하였다.16 )

이상에서 논의된 여러 학자들의 현직교육 개념은 현직교육이 주로 개인 적 측면에서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개인적 집단적 활동으로 정의되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원의 전문적 성장은 주로 현직교육이란 방법으 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이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교직적 지도성 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교육이 필요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의미에서 현직교육이란 일정한 자격을 취득하고 임용된 뒤 현직에 종 사하는 교원에게 교직의 전문적 성장을 목적으로 자발적 또는 의무적으로 교직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일체의 활동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교원 자신의 혁신을 위한 학습활동이라 할 수 있다.

13 ) 정태범, 교 육 행 정 학 (서울 : 정민사, 1996 ), p . 274.

14 ) 이득기, 교사의 현직교육과 교장의 장학지도, 학 교 경 영 , 제141호 (1999. 11), p . 29.

15 ) 조남근, 교 육 행 정 학 개 론 ( 서울 : 양서원, 1995 ), p . 282.

16 ) 김종철, 이종재, 교 육 행 정 의 이 론 과 실 제 (서울 : 교육과학사, 1994 ), p . 472.

2 . 현 직 교 육 의 필 요 성

요즘 19세기의 시설에서 20세기의 교사들이 21세기의 학생들을 가르치 고 있다는 비아냥과 농경시대의 교사들이 정보화시대의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느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또 전국의 학교에서 교실의 붕 괴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교육정책의 실패, 학교와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지나친 간섭, 언론의 무책임한 보도 등의 탓도 있지만 교사들의 노력과 자 질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면 교원들은 미래 정보화사회에 알맞은 교육을 실 시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교육이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전문직으로서의 자기 직업에 대한 지식과 기능의 향 상을 위하여 부단한 탐구와 수양을 쌓을 수 있는 현직교육이 필요하다.17 )

이와 같이 학교환경과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고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 키기 위해 한국 교육행정학회는 현직교육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18 )

첫째, 현행 교원양성 체제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고, 교원들 이 현직에서의 맡은 바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요건들을 갖추게 하고 직전교육의 결손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원들은 현대 사회의 지식과 기술의 엄청난 증가와 급속한 변화 속도에 적응해야 하고 새로운 지식과 기능, 그리고 태도를 습득해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교원은 스스로 자기 향상을 위한 노력을 부 단히 경주함으로써 사회의 기대에 부응하고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17 ) 정태범, 전 게 서 , p . 274.

18 ) 한국교육행정학회, 교 육 인 사 행 정 론 (서울 : 도서출판 하우, 1995 ), p . 198.

넷째, 교원은 풍부한 지식을 갖추고 새로운 교수- 학습 기술과 독창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의 성장 발달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전문성 향상을 통하여 교원의 자기 발전은 물론 교직의 공신력도 높여야 한다.

다섯째, 학생과 학부모의 질적 변화와 향상에 따라 교원의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

3 . 현 직 교 육 의 목 적

현직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람직한 교원상을 정립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어 OECD는 교원에 대한 현직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 지로 제시하고 있다.19)

첫째, 학교 교직원 전체 또는 교직원 일부 집단의 직무 수행 능력을 개 선시키려는 목적의 연수

둘째, 개개인 교원의 직무 수행능력을 개선시키려는 목적의 연수

셋째, 승진 또는 승급을 위한 개개인 교원의 사전 경험을 확장시키려는 목적의 연수

넷째, 개개인 교원의 전문적 지식 및 이해를 증진시키려는 목적의 연수 다섯째, 교원의 개인적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일반교양을 증진시키려는 목적의 연수이다.

이득기는 현직교육은 교사들의 직무수행에 있어서 적응을 돕고 직무수행

19 ) OE CD , I n - S erv ice E d uca t ion and T ra in ing of T eachers (P ar is : OE CD , 1982), p . 11.

을 위한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배양하는 데 있다. 또한 직전교육의 결함을 보완하고 계속적인 사회발전에 교사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수양과 연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도 큰 목적을 두고 있다고 하였다.20 )

이와 같이 현직교육은 교원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도와주는 활동이며 그것을 통해 바람직한 교원이 되는데 필요한 자질을 갖추는 기회를 제공하 는 것이다.21)

교육법 제 74조에 교원들은 품성과 자질의 향상, 학문의 연찬, 교육방법 의 탐구 연마 등에 힘써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직교육 에서 추구되어야 할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22)

첫째, 건전한 신념을 고취시킨다. 여기에는 인간과 사회의 질, 교육의 목 표에 대한 신념을 고취시키고 궁극적인 자아개념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일 등이 포함된다.

둘째, 교육기술을 함양한다. 여기에는 교수이론의 이해와 교수기술의 증 진 등이 포함된다.

셋째, 지식을 함양한다. 여기에는 일반교양의 증진뿐만 아니라 학습의 본 질을 이해하고 전문지식을 증진시키는 내용이 포함된다.

넷째, 지도력을 함양한다. 여기에는 지도력을 개발 육성하고 인간관계 기 술을 증진시키며, 장학에 대한 전문적인 소양과 기술을 습득시키는 일 등 이 포함된다.

20) 이득기, 전게문 p . 29

21) 한국교육행정학회, 전 게 서 , p . 199.

22) 김형립 외, 교 원 현 직 교 육 의 쇄 신 방 안 (서울 : 서강대학교, 1983 ), p . 22.

B . 교 원 의 전 문 성 신 장

1. 전 문 직 의 특 성

교직은 전문직이다 라고 할 때의 전문직이란 전통적 전문직(traditional pr ofession )을 말하는데 현실적으로 교직은 전문직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면 서도 다른 면에서는 그렇지 못한 반전문직에 속한다고 보는 사람도 있지만 교직은 전통적 전문직에 속하고 있고 또 속해야 한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 적이다. 전통적 전문직은 일반직과 달리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 다.23 )

첫째, 전문직 종사자들이 일반 사람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체를 갖는데서 나타난다.

둘째, 고도의 지식과 기술은 쉽게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장기간의 교육 과 훈련을 통해서 얻어진다.

셋째, 전문직 종사자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면허증이나 자격증 이 부여된다.

넷째, 전문직에서는 그 직의 수행에 필요한 자율권이 주어진다.

다섯째, 전문직은 인간의 생과 사를 다룬다.

여섯째, 전문직 종사자들은 윤리강령을 갖고 이에 어긋나지 않게 맡은 직무를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

일곱째, 전문직은 봉사직이다.

23 ) 강영삼, 장 학 론 (서울 : 세영사, 1997 ), p . 265.

여덟째, 전문직의 전문성은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가 높다.

교사는 직접 관련이 없는 면에서도 다양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으나 학 교에서 가르치는 일을 전문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종재는 다음과 같은 가르치는 일을 중심으로 하여 일차적으로 그 전문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24 )

첫째, 교사로서의 전문적 소양을 함양해야 한다.

둘째, 학생지도 능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학급의 관리능력이 있어야 하며, 학교의 운영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학교에서 요구하는 일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넷째, 교과지도의 능력이 있어야 한다.

넷째, 교과지도의 능력이 있어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