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천광역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157-160)

m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은 곧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직결되기 때문에, 지자체별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평가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님

m 이러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평가의 특성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평가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일괄적으로 동일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지자체별 로 부여하였으므로, 인천광역시 역시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함

­ 지자체별 온실가스 감축목표설정 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평가로 인한 불확 실성 및 불공평성을 최소화

4.1.2.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평가방법

m 지자체별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평가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일괄적으로 동일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지자체별로 부여하기 때문에, 본 로드맵에서는 한국환 경공단에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평가한 방법을 활용함

m 인천광역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 후, 주요 감축 수 단별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산정하여 도출함

m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범위는 감축인벤토리 기준에 따라 지자체 관리부문인 건물(가정, 상업), 공공·기타, 수송(도로), 농축산, 폐기물부문으로 한정하였음 m 농축산부문 및 폐기물부문은 상세 감축 자료 수집 한계로 인해 국가 감축률을

일괄 적용함

부문 분석 기준

건물(가정, 상업) ¥ 지자체별 감축수단을 고려한 감축잠재량 적용 공공·기타 ¥ 지자체별 감축수단을 고려한 감축잠재량 적용 수송(도로) ¥ 지자체별 감축수단을 고려한 감축잠재량 적용

농축산 ¥ 국가 감축률 일괄 적용(2030년까지 8.2%) 폐기물 ¥ 국가 감축률 일괄 적용(2030년까지 28.9%)

<표 4-2>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 기준 공공/기타 25.3% (5.3백만톤)

¥LED 조명과 가로등 보급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건축물(신축 및

폐기물 28.9% (4.5백만톤) ¥폐기물 감량화·재활용·에너지화 등 농축산 8.2% (1.6백만톤) ¥농경지·축산 배출원 관리 등

4.2 인천광역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산정 방법론

4.2.1. 주요 감축수단 선정

m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로드맵의 감축수단을 기반으로 인천광역시에 적용 가 능한 감축수단을 선정함

m 건물(가정,상업)과 공공·기타부문은 ①조명기기 고효율화(LED 조명 보급확대),

②가전·사무기기 고효율화(고효율 기기 보급확대), ➂건축물 냉·난방 에너지 저 감(단열강화, 설비개선)이 주요 감축 수단으로 선정함

m 수송부문은 ①친환경차 보급 확대 및 연비 개선, ②운전행태 및 도로 여건 변 화를 통한 연비 향상, ➂대중교통 수송 분담률 증대를 주요 감축 수단으로 선 정함

부문 분석 기준

건물(가정, 상업) / 공공·기타

① 조명기기 고효율화(LED조명 보급확대)

② 가전·사무기기 고효율화(고효율 기기 보급확대)

➂ 건축물 냉·난방에너지 저감(단열강화, 설비개선)

수송부문

① 친환경차 보급 확대 및 연비 개선

② 운전행태 및 도로 여건 변화를 통한 연비 향상

➂ 대중교통 수송 분담율 증대

<표 4-3> 부문별 주요 감축수단

4.2.2. 주요 감축수단별 감축잠재량 산정 방법

m 감축잠재량 분석은 주요 감축수단별 예상배출량(BAU) 시나리오에서 감축기술 을 적용하여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을 산정하는 것을 의미함

m BAU 시나리오에서는 현재의 기술구성이 미래에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감축 시나리오에서는 현재의 기술구성 중 고효율 기술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기술의 효율도 개선될 것으로 가정함

m 기술자료를 이용하여 BAU 시나리오와 감축 시나리오 간의 에너지 저감 효과 를 산정하고, 감축수단 반영 효과로 저감된 에너지 소비량에 해당 원별 배출 계수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온실가스로 산정된 감축잠재량을 도출함

m 로드맵에서는 감축잠재량 분석을 위하여 주요 감축수단별 정부 정책, 관련 분 석 보고서 등을 조사하여 기술자료를 수집하고, 도입 시나리오를 설계를 바탕 으로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한 감축잠재량을 활용함

­ 기술자료의 경우 국가 공인 통계자료를 우선적으로 반영하고, 관련 국가 공인 통계자료가 없을 시에는 관련 부처나 국내·외 연구 기관에서 발표된 기술DB, 보고서, 기사자료 등을 근거로 분석

(1) 가정부문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15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