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q 가정부문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143-152)

m 자체 산정방법론에 따른 가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 3,231천톤 CO2eq에서 연평균 1.4%씩 증가하여, 2020년 3,690천톤CO2eq, 2030년에 3,975천톤CO2eq으로 전망됨

­ 기존 제공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값 대비 252천톤CO2eq 적게 배출할 것으로 전망

가정부문 실적 예상배출량 전망 연평균증감률

2015년 2020년 2025년 2030년 ‘15~’20 ‘21~’30 ‘15~’30

기존 3,231 3,610 3,923 4,227 2.2% 1.6% 1.8%

자체 3,231 3,690 3,849 3,975 2.8% 0.7% 1.4%

비교값

(기존-자체) 0 80 -73 -252 0.6% -0.9% -0.4%

<표 3-44> 가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단위:천톤CO2eq)

<그림 3-37> 가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m 가정부문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을 군·구별 분석해 본 결과, 서구, 남동구, 연수 구는 증가추세에 있음

­ 감소추세(부평구, 계양구) / 유지추세(남구, 옹진군, 강화군, 동구)

<그림 3-38> 가정부문 군·구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2016~2030년)

q 상업부문

m 자체 산정방법론에 따른 상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 3,757천톤 CO2eq에서 연평균 2.3%씩 증가하여, 2020년 4,416천톤CO2eq, 2030년에 5,306천톤CO2eq으로 전망됨

­ 기존 제공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값 대비 155천톤CO2eq 많게 배출할 것으로 전망

상업부문 실적 예상배출량 전망 연평균증감률

2015년 2020년 2025년 2030년 ‘15~’20 ‘21~’30 ‘15~’30

기존 3,757 4,305 4,739 5,151 2.8% 1.8% 2.1%

자체 3,757 4,416 4,861 5,306 3.3% 1.9% 2.3%

비교값

(기존-자체) 0 111 122 155 0.5% 0.1% 0.2%

<표 3-45> 상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단위:천톤CO2eq)

<그림 3-39> 상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m 상업부문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을 군·구별 분석해 본 결과, 서구, 중구, 연수구, 부평구는 증가추세에 있음

­ 유지추세(남동구, 남구, 계양구, 강화군, 동구, 옹진군)

<그림 3-40> 상업부문 군·구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2016~2030년)

q 공공·기타부문

m 자체 산정방법론에 따른 공공·기타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 669천톤 CO2eq에서 연평균 0.1%씩 감소하여, 2020년 659천톤CO2eq, 2030년에 657 천톤CO2eq으로 전망됨

­ 기존 제공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값 대비 21천톤CO2eq 적게 배출할 것으로 전망

공공·기타 부문

실적 예상배출량 전망 연평균증감률

2015년 2020년 2025년 2030년 ‘15~’20 ‘21~’30 ‘15~’30

기존 669 649 661 678 -0.6% 0.4% 0.1%

자체 669 659 657 657 -0.3% 0.0% -0.1%

비교값

(기존-자체) 0 10 -4 -21 0.3% -0.4% -0.2%

<표 3-46> 공공·기타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단위:천톤CO2eq)

<그림 3-41> 공공·기타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m 공공기타부문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을 군·구별 분석해 본 결과, 국가 BAU 적 용으로 유지추세를 보임

<그림 3-42> 공공·기타부문 군·구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2016~2030년)

q 수송부문

m 자체 산정방법론에 따른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 4,972천톤 CO2eq에서 연평균 0.6%씩 증가하여, 2020년 4,991천톤CO2eq, 2030년에 5,398천톤CO2eq으로 전망됨

­ 기존 제공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값 대비 237천톤CO2eq 적게 배출할 것으로 전망

수송부문 실적 예상배출량 전망 연평균증감률

2015년 2020년 2025년 2030년 ‘15~’20 ‘21~’30 ‘15~’30

기존 4,972 5,142 5,375 5,635 0.7% 0.9% 0.8%

자체 4,972 4,991 5,195 5,398 0.1% 0.8% 0.6%

비교값

(기존-자체) 0 -150 -180 -237 -0.6% -0.1% -0.2%

<표 3-47>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단위:천톤CO2eq)

<그림 3-43>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m 수송부문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을 군·구별 분석해 본 결과, 중구, 남동구, 연수 구는 증가추세에 있음

­ 감소추세(서구, 남구, 강화군) / 유지추세(부평구, 계양구, 동구 옹진군)

<그림 3-44> 수송부문 군·구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2016~2030년)

q 농축산부문

m 자체 산정방법론에 따른 농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 124천톤 CO2eq에서 연평균 0.5%씩 감소하여, 2020년 123천톤CO2eq, 2030년에 115 천톤CO2eq으로 전망됨

­ 기존 제공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값 대비 4천톤CO2eq 적게 배출할 것으로 전망

농축산부문 실적 예상배출량 전망 연평균증감률

2015년 2020년 2025년 2030년 ‘15~’20 ‘21~’30 ‘15~’30

기존 124 120 119 119 -0.6% -0.1% -0.3%

자체 124 123 119 115 -0.1% -0.7% -0.5%

비교값

(기존-자체) 0 3 0 -4 0.5% -0.6% -0.2%

<표 3-48> 농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단위:천톤CO2eq)

<그림 3-45> 농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m 농축산부문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을 군·구별 분석해 본 결과, 강화군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소폭 감소추세에 있음

<그림 3-46> 농축산부문 군·구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2016~2030년)

q 폐기물부문

m 자체 산정방법론에 따른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 1,303천톤 CO2eq에서 연평균 0.6%씩 감소하여, 2020년 1,328천톤CO2eq, 2030년에 1,423천톤CO2eq으로 전망됨

­ 기존 제공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값 대비 20천톤CO2eq 많게 배출할 것으로 전망

폐기물부문 실적 예상배출량 전망 연평균증감률

2015년 2020년 2025년 2030년 ‘15~’20 ‘21~’30 ‘15~’30

기존 1,303 1,344 1,377 1,403 0.6% 0.4% 0.5%

자체 1,303 1,328 1,383 1,423 0.4% 0.7% 0.6%

비교값

(기존-자체) 0 -17 6 20 -0.2% 0.3% 0.1%

<표 3-49>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단위:천톤CO2eq)

<그림 3-47>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기존-자체)

m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을 군·구별 분석해 본 결과, 서구, 옹진군, 남 구는 증가추세에 있음

­ 유지추세(강화군, 계양구, 남동구, 동구, 부평구, 연수구, 중구)

<그림 3-48> 폐기물부문 군·구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2016~2030년)

2)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14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