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무기기 고효율화(고효율 사무기기 보급확대)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166-174)

m 감축 시나리오는 사무기기별 기술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한 효율 개선율과 대 기 전력 제한 정책인 「Standby Korea 2015 (산업자원부, 2013)」22) 를 바탕 으로 대기전력 저감에 의한 효과를 반영하여 설정함

­ 컴퓨터의 효율 개선율은 美 California Energy Commission의 에너지 저감 규제를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율을 벤치마킹했고, 모니터는 제조사별로 효율 개선율의 일관성을 볼 수 없어 유사한 기술 수준을 유지하는 가정부문의 TV 효율 개선율을 적용하였으며, 복합기의 경우, 후지제록스의 대당 전력소비량 개선성과를 벤치마킹함

기기

효율개선율(%) 2013년 2020년 2030년

컴퓨터 - 연 5.8% 개선

모니터 - 연 6.7% 개선

복합기 - 연 3.7% 개선

<표 4-13> 인천광역시 상업부문 기기 효율개선 시나리오

3) 건축물 냉·난방 에너지 저감(단열강화, 설비개선)

m ‘건축물 냉·난방에너지 저감’에 의한 감축잠재량 분석은 기존 건물보다 에너지 성능이 향상된 건물의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나타나는 에너지 소비 저감 효과 와 건물의 효율을 개선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 저감 효과를 모두 반 영하여 산정함

­ 상업부문의 경우, 건물 에너지 성능향상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단위로 연면적 을 적용하고, 기존 건물과 기존건 물을 대체하는 신축건물, 새롭게 지어지는 신축건물로 나누어 연면적 기준의 연도별 건물 stock을 구성

­ 각 stock별로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의 보급률과 건물의 효율 개선율을 적용하 여 감축잠재량을 산정

m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 보급에 관한 감축 시나리오는 「제1차 녹색건축물 기본 계획(국토교통부, 2014)」을 기반으로 설정함

­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은 그린리모델링 시행물량을 2020년까지 전체 비주거용 기존 건물의 68%23)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 Passive 기술도 입 계획, 2025년부터 모든 신축건물에 대해 제로 에너지 도입을 계획

­ 로드맵에는 기존 건물에 대한 보급률은 실제 보급수준을 고려하여 2030년까 지 68% 보급 확대, 신축건물에 대한 보급률은 2020년까지 100% 확대하는 감 축 시나리오를 설정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

보급비율(%) 2013년 2020년 2030년

감축 시나리오

기존건물 - 40 68

신축건물 - 100 100

<표 4-14> 인천광역시 상업부문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 보급 시나리오

m 건물에너지 성능향상에 관한 기술자료는 「건물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 수단 Pool 구축 (에너지관리공단, 건설기술연구원, 2013)」의 건물유형별·건축 시기 별 냉·난방에너지 부하량(외피 단열 및 냉·난방 설비개선 포함)을 분석하여 반 영함

m BAU 시나리오는 2013년 인천광역시 상업부문 연면적당 냉·난방에너지 소비 실적이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하였고, 감축 시나리오는 건물유형별·건축시기별 냉·난방에너지 부하의 효율 개선율을 적용하여 설정함

­ 상업부문의 경우, 사무소, 병원, 호텔, 학교(학원), 상점 표준모델의 건축 시기 별 냉·난방에너지 부하량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존 건물의 효율 개선율은 1980년 표준건물과 2005년 표준건물의 냉·난방 부하의 개선 정도(차이)를, 신 축건물의 효율 개선율은 2005년 표준건물과 2020년 표준건물의 냉·난방 개선 정도(차이)를 분석하여 반영

23) 「제1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국토교통부, 2014)」의 비주거용 기존건물 그린리모델링 시행물량 목표

건물효율개선(%) 2013년 2020년 2030년

난방 기존건물 - 22%

신축건물 - 40%

냉방 기존건물 - 13%

신축건물 - 40%

<표 4-15> 인천광역시 상업부문 건물 효율개선 시나리오

(3) 공공·기타 부문

1) 조명기기 고효율화(LED 조명 보급확대)

m ‘조명기기 고효율화’에 의한 감축잠재량 분석은 기존 조명보다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LED 조명의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나타나는 전력 소비 저감 효과와 형 광등과 LED 조명의 효율을 개선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전력 소비 저감 효과를 모두 반영하여 산정함

­ 로드맵에는 조명의 종류를 백열등, 형광등, LED,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조명 별 기술자료를 반영하여 분석

m LED 조명 보급에 관한 BAU 시나리오 설정을 위해서는 인천광역시 공공·기타 부문의 조명보급률 실적이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함

­ 공공·기타부문으로 분류된 조명 조사자료의 부재로,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의 조명보급률 실적은 「조명기기 이용실태조사 및 조명전력 절감방안연구(한 국광산업진흥회, 2014)」의 민간부문(가정, 산업(제조), 건물(상업)) 조명기기 이 용실태 현황 중 건물(상업)의 지역별·조명기기별 보급률 실적(2013년)으로 설정

­ 조명별 보급률에 관한 BAU 시나리오는 일반적으로 조명별 실적 추이를 반영 하여 설정하는데, 2013년 이전 조명 관련 지역별 실적데이터 부재로 실적추세 파악이 불가하여, 국가 단위의 BAU 시나리오의 보급률 증가율을 적용24)

­ 보급률은 조도 기준으로 설정하고, 이때 연면적당 400lx의 필요 조도에 따른 전체 연면적에 필요한 총광량을 조명별 조도에 따라 채운다고 가정하여 보급 률 설정

24) 국가단위의 LED 조명 보급 BAU 시나리오는 「조명기기 보급·이용실태조사,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m LED 조명 보급에 관한 감축 시나리오는 정부 정책을 기반으로 설정하였고, LED 조명 관련 정부 정책에는 「녹색조명사회 실현을 위한 ‘LED 2060 계획’

(산업자원부, 2011)」이 있음

­ ‘LED 2060 계획’은 LED 조명보급률을 2020년까지 국가 전체 60%, 공공기관 100% 달성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나, 로드맵에서는 현재 LED조명 보급 수준 등을 고려하여 2020년 60% 보급 목표 적용

LED 보급비율(%) 2013년 2020년 2030년

BAU 시나리오 15.1 19.4 24.3

감축 시나리오 15.1 60 80

<표 4-16>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LED 조명보급 시나리오

m 조명기기 효율 개선에 관한 기술자료는 「조명기기 이용실태조사 및 조명전력 절감방안연구(한국광산업진흥회, 2014)」의 민간부문(가정, 산업(제조), 건물(상 업)) 조명기기별 평균 광효율을 근거로 함

m BAU 시나리오는 조명기기별 2013년 평균 광효율 실적을 고정하고, 감축 시나 리오는 보고서상의 조명별(형광등, LED) 미래 효율 개선율을 적용하여 설정함

광효율(lm/W) 2013년 2020년 2030년

형광등

BAU

시나리오 100 100 100

감축

시나리오 100 125 138

LED

BAU

시나리오 147 147 147

감축

시나리오 147 209 257

<표 4-17>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조명 효율개선 시나리오

2) 사무기기 고효율화(고효율 사무기기 보급확대)

m ‘사무기기 고효율화’에 의한 감축잠재량 분석은 기존 기기보다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고효율 기기의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나타나는 전력소비 저감 효과와 사무기기의 효율을 개선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전력 소비 저감 효과를 모두 반 영하여 산정함

­ 로드맵에서는 주요 사무기기인 컴퓨터, 모니터, 복합기를 대상으로 기기별 기 술자료를 반영하여 분석

m 사무기기 보급에 관한 BAU 시나리오 설정을 위해서는 인천광역시 공공·기타 부문의 사무기기 보급 실적이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하나 사무기기 보급률 및 보급 대수에 관한 통계자료의 부재로 실적파악에 한계가 있음

­ 「지역별 고용조사(통계청)」의 ‘시도·산업별 취업자 수’를 활용, 공공·기타부문 에 해당하는 취업자가 모두 사무용 기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공공·기타부 문 사무기기 보급 실적을 추정

m 고효율 사무기기 보급에 관한 BAU 시나리오는 2013년 실적 기준의 기존 사 무기기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하였고, 감축 시나리오는 「국가 온실가 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 (국무조정실, 2014)」을 기반으로 설정함

­ 기존 국가 로드맵은 고효율 사무기기를 2020년까지 65% 보급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로드맵에는 실제 보급수준을 고려하여 2020년까 지 60%, 2030년까지 80% 보급 확대하는 감축 시나리오를 설정

고효율기기

보급비율(%) 2013년 2020년 2030년

감축 시나리오 - 60 80

<표 4-18>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고효율기기 보급 시나리오

m 사무기기 효율 개선에 관한 기술자료는 사무기기별로 문헌조사, 제조사 웹사 이트 등을 통하여 수집함

m 사무기기 효율 개선에 관한 BAU 시나리오는 가전기기별 2013년 평균소비 전 력 실적으로 고정하였음

­ 컴퓨터와 모니터의 소비전력 실적은 「가전기기 보급률 및 가정용 전력 소비행 태 조사(전력거래소)」의 지역별·가전기기별 정격소비전력을 근거로 설정

m 감축 시나리오는 사무기기별 기술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한 효율 개선율과,

「Standby Korea 2015 (산업자원부, 2013)」25)를 바탕으로 대기 전력 저감에 의한 효과를 반영하여 설정함

­ 컴퓨터의 효율 개선율은 美 California Energy Commision의 에너지 저감 규제를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율을 벤치마킹했고, 모니터는 제조사별로 효율 개선율의 일관성을 볼 수 없어, 유사한 기술 수준을 유지하는 가정부문의 TV 효율 개선율을 적용하였으며, 복합기의 경우, 후지제록스의 대당 전력소비량 개선성과를 벤치마킹함

기기

효율개선율(%) 2013년 2020년 2030년

컴퓨터 - 연 5.8% 개선

모니터 - 연 6.7% 개선

복합기 - 연 3.7% 개선

<표 4-19>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기기 효율개선 시나리오

3) 건축물 냉·난방 에너지 저감(단열강화, 설비개선)

m ‘건축물 냉·난방에너지 저감’에 의한 감축잠재량 분석은 기존 건물보다 에너지 성능이 향상된 건물의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나타나는 에너지 소비 저감 효과 와 건물의 효율을 개선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 저감 효과를 모두 반 영하여 산정함

­ 공공·기타부문의 경우, 건물 에너지 성능향상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단위로 연 면적 적용하고, 기존 건물과 기존 건물을 대체하는 신축건물, 새롭게 지어지는 신축건물로 나누어 연면적 기준의 연도별 건물 stock을 구성

­ 각 stock별로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의 보급률과 건물의 효율 개선율을 적용하 여 감축잠재량을 산정

m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 보급에 관한 감축 시나리오는 「제1차 녹색건축물 기본 계획(국토교통부, 2014)」을 기반으로 설정함

­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은 그린리모델링 시행물량을 2020년까지 전체 비주거용 기존 건물의 68%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 Passive 기술도입 계획, 2025년부터 모든 신축건물에 대해 제로 에너지 도입을 계획

­ 로드맵에는 기존건물에 대한 보급률은 실제 보급수준을 고려하여 2030년까지 68% 보급 확대, 신축건물에 대한 보급률은 2020년까지 100% 확대하는 감축 시나리오를 설정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

보급비율(%) 2013년 2020년 2030년

감축 시나리오

기존건물 - 40 68

신축건물 - 100 100

<표 4-20>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에너지 성능향상 건물 보급 시나리오

m 건물 에너지 성능향상에 관한 기술자료는 「건물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 수단 Pool 구축 (에너지관리공단, 건설기술연구원, 2013)」의 건물유형별·건축 시기별 냉·난방에너지 부하량(외피단열 및 냉·난방 설비개선 포함)을 분석하여 반영함 m BAU 시나리오는 2013년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연면적당 냉·난방에너지

소비실적이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하였고, 감축 시나리오는 건물유형별·건축 시기별 냉·난방에너지 부하의 효율 개선율을 적용하여 설정함

­ 공공·기타부문의 경우, 사무소, 학교(학원)의 건축 시기별 냉·난방에너지 부하 량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존 건물의 효율 개선율은 1980년 표준건물과 2005년 표준건물의 냉·난방 부하의 개선 정도(차이)를, 신축건물의 효율 개선 율은 2005년 표준건물과 2020년 표준건물의 냉·난방 개선 정도(차이)를 분석 하여 반영

건물효율개선(%) 2013년 2020년 2030년

난방 기존건물 - 28%

신축건물 - 43%

냉방 기존건물 - 11%

신축건물 - 41%

<표 4-21> 인천광역시 공공·기타부문 건물 효율개선 시나리오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166-174)